은행권 가계대출 1.2조 감소..."'디레버리징'은 미지수"
상태바
은행권 가계대출 1.2조 감소..."'디레버리징'은 미지수"
  • 박금재 기자
  • 승인 2022.10.13 17: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은행권 가계대출 감소, 통계 속보치 작성 이후 처음
"디레버리징 전환 가능성 현재로서는 판단 어려워"
가계대출 증가율. [이미지=금융위원회]
가계대출 증가율. [이미지=금융위원회]

고금리와 가계대출 규제가 겹치면서 가계대출 감소세가 나타났다. 이에 금융권에서는 '디레버리징'이 화두로 떠오르고 있지만, 다수의 전문가들은 연간 단위의 디레버리징 전환을 놓고서는 가능성이 낮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13일 녹색경제신문 취재결과를 종합하면 금융권은 가계대출 감소세가 일시적일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대형은행의 한 관계자는 "대출금리가 지나치게 높아져 일시적으로 가계대출이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디레버리징으로 들어섰는지는 의문"이라고 말했다.

한국은행의 '2022년 9월중 금융시장 동향'을 살펴보면 올 9월 말 기준 은행권 가계대출 잔액은 1059조5000억원으로 한 달 전보다 1조2000억원 줄어 1개월 만에 감소 전환했다. 9월 기준으로는 지난 2004년 관련 통계 속보치 작성 이후 처음으로 감소했다.

가계대출 가운데 전세대출 등 주택담보대출은 증가세를 보인 반면,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은 감소했다.

주택담보대출은 주택거래 부진이 계속되는 가운데 전세 및 집단대출 취급이 줄어들면서 9000억원 증가하는 데 그쳤다. 

기타대출은 대출금리 상승, 대출규제 지속 등의 영향으로 신용대출 중심으로 감소폭이 확대됐다. 

가계대출은 올 들어 9월까지 누적으로 1조2000억원이 줄었다. 한은이 10월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올려 연 3%로 높였고 11월에도 추가 금리 인상이 이뤄질 것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가계대출 감소세가 연말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일각에서는 올해가 첫 디버레이징의 해가 되는 것이 아니냐는 목소리도 나온다.

한은 관계자는 "가계대출 증가세가 둔화되는 것은 맞으나 디레버리징으로 완전 전환됐다고 현재로서는 판단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한편 기업대출은 역대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달 기업대출은 전월 말 대비 9조4000억원 늘어난 1155조5000억원으로 집계돼 9개월 연속 증가했다. 회사채 시장이 위축되고 기업 대출 수요와 은행의 기업대출 취급 노력 등이 맞물리며 큰 폭으로 증가했다. 9월 기준으로 지난 2009년 6월 관련 통계 속보치 작성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대기업 대출은 4조7000억원이 늘어나 207조2000억원을 기록했다. 9월 기준으로 2009년 6월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따. 중소기업대출은 4조7000억원 증가한 948조2000억원으로 집계됐다. 개인사업자대출은 1조8000억원 늘어난 442조1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를 놓고 코로나19 등에 따른 자금수요 등도 있지만 가계대출 규제 강화로 은행들이 기업대출에 대한 태도를 완화하면서 대출이 늘어난 영향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한은 관계자는 "분기말 일시상환 등 계절적 감소요인에도 대기업 대출을 중심으로 높은 증가세를 지속했다"면서 "중소기업은 코로나19 금융지원과 운전자금 수요가 이어지며 상당폭 증가했고, 대기업은 회사 시장 위축에 따른 기업의 대출 수요가 확대되면서 큰 폭으로 증가했다"고 말했다.

박금재 기자  game@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