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나무 재선충 피해 화산일로
상태바
소나무 재선충 피해 화산일로
  • 조원영
  • 승인 2014.10.13 09: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작년 한해 전국의 소나무 숲에 큰 피해를 입힌 소나무재선충병이 방제매뉴얼 미준수 등으로 올 해에도 다시 창궐하고 있어 방제당국에 비상이 걸렸을 뿐만 아니라 방제예산도 한 푼도 남아있지 않아 향후 방제에도 큰 어려움이 예상되고 있다.

김우남 농해수위 위원장실이 산림청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올해 5월 이후 소나무 고사목 발생은 총 50만 287 본으로(9월 20일 조사 시점) 9월 방제분 4만 7,978 본을 제외한 잔존 고사목 수는 45만 2,309 본으로 밝혀졌다. 이 추세라면 내년 4월까지 42만 1,052 본 발생이 예상된다.

그러나 산림청은 그동안 지자체의 고사목 집계에 허점이 있었다는 점을 감안해 재선충 재발생률을 52~53%로 계산하면 내년 4월까지의 고사목 수는 최소 109만 본에 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소나무재선충병은 솔수염하늘소 등의 매개충 안에 서식하던 소나무재선충이 나무에 침입한 후 고사시키는 병으로 감염되면 100% 고사하는 치명적인 피해를 입히기 때문에 ‘소나무의 에이즈’라고도 불리우고 있다.

작년 여름 고온 가뭄으로 매개충 활동이 증가하고 고사목 방치 등 방제에 실패하여 218만 본의 고사목이 발생하였으나, 올해 4월까지 고사목 전량 방제에 성공했다고 산림청이 밝힌 바 있다.

하지만, 훈증·파쇄·매몰·소각 등의 제거 작업이 매뉴얼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밀봉되어야 할 처리 소나무가 외부로 노출되거나 벌채목과 가지가 수거되지 않은 채 방치되는 등 올해에도 소나무재선충 피해가 재현될 우려가 높다는 지적이 있어왔다. 산림청 역시 이러한 지적에 동의하고 있다.

또 실제로 산림청 내부 감사 결과 모 국유림관리소에서 잣나무 고사목 시료 채취 시 벌채하지 않고 하단부에서 시료를 채취하거나, 지자체와 국유림관리소가 국·사유림을 공동방제하지 않은 사항이 적발되기도 하여 국유림관리소와 지자체 간 협조체제 점검이 시급한 실정이다.

한편 지역 별로는 9월까지 경남이 16만 5,185 본으로 가장 많은 소나무가 고사했으며, 제주가 14만 4,160본, 경북이 9만 6,975본, 울산이 3만 4,676 본 순이었다. 특히 7월까지 26 본의 소나무가 고사했던 제주에서 8월에만 7만 8,475 본, 9월에는 20일 간 6만 5,659 본의 고사목이 발견되어 피해규모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이에 방제를 위한 예산 확보가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현재 산림청은 올해 고사목 발생 본 수를 작년의 절반 수준인 109만 본 이하로 막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이 경우 방제비용은 전국적으로 약 809억원에 달할 전망이다. 하지만 산림청의 올해 방제예산은 모두 소진된 상태여서 추가 예산 확보가 시급한 실정이다.

또한 809억원 정도로 추산되는 전체 방제비용 중 188억원 정도를 감당해야 하는 지자체의 예산확보에도 비상이 걸렸다. 가을 피해가 극심한 제주의 경우도 지방비 80억 원만 확보한 상태이다. 내년 4월까지 27만 3천 본의 고사목이 발생할 경우 총 218억원의 비용이 필요하다.

조원영  jwycp@hanmail.net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