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땅 속 시설물, 스마트관리체계로 전환
상태바
전국 땅 속 시설물, 스마트관리체계로 전환
  • 녹색경제
  • 승인 2011.04.12 13:1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토해양부(장관:정종환)는 전국 82개 市의 상·하수도 관로 등 7대 지하시설물* 의 매설위치 등에 관한 데이터 통합작업을 완료하였으며, 금년말까지 도로점용·굴착 인허가 시스템 등과 함께 지자체에 배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상수도, 하수도, 전기, 가스, 통신, 난방, 송유

시설물 관리기관(지자체, 통신사업자 등)에서 개별적으로 지하시설물 정보를 관리하여 공동 활용이 원활치 않아, 국토해양부가 정보화전략계획(ISP, 2008)을 수립하여 2009년부터 2년여에 걸쳐 총 27만km에 달하는 지하시설물 정보를 통합하게 된 것으로, 이는 지구둘레 7배에 해당하는 방대한 분량이다.

이번에 통합된 모든 지하시설물 정보는 활용시스템을 통해 시설물 관리부서에서 인터넷으로 손쉽게 조회할 수 있고 동시에 각종 민원을 처리할 수 있게 되어, 서비스가 본격적으로 실시되는 2012년부터 민원인은 관공서 방문없이 인터넷상으로 도로점용·굴착 인허가를 받을 수 있게 될 것이다.
* 평균 10회 기관 방문, 최대 90일 소요 ⇒ 무방문, 평균 3일 소요

지하시설물 전산화 사업은 서울 아현동(‘94)과 대구지하철(’95) 가스폭발사고를 계기로 도로굴착으로 인한 재난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추진하여 왔으나, 이제는 이에 국한시키지 않고 지진피해 대응시스템(소방방재청), 광역상수도·실시간 수돗물 관리시스템(환경부) 등과 공유함으로써 그 활용범위를 확대하고 있다.

한편, 국토해양부는 지하시설물 정보통합성과를 지자체와 공유하기 위하여 이번달 14일, LH공사 대전연수원에서 市·郡 담당공무원 250여명을 초대하여 ‘7대 지하시설물 정보통합 중간보고회’를 개최할 계획이다.

지난해 도로법 개정으로 지하시설물 매설공사에 대한 실측도면 제출이 의무화된 이후 처음 갖는 이번 행사를 통해 동 제도정착을 위한 합리적이고 현실적인 방안을 논의할 것이며, 지자체별 우수활용사례 발표와 지하시설물 통합정보 활용시스템 시연 등을 통해 향후 지하시설물 전산화의 발전방향을 가늠해 볼 수 있는 뜻깊은 자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정우택 기자

녹색경제  green@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