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능 식품이면 ‘삑’…1만8천개 매장 도입
상태바
방사능 식품이면 ‘삑’…1만8천개 매장 도입
  • 녹색경제
  • 승인 2011.04.05 12: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방사능 식품이 계산대에 올라오면 삑~~~’ 이러한 차단시스템이 전국 1만8천개 매장에서 확대 실시된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손경식)는 지식경제부, 농협중앙회와 공동으로 5일 하나로클럽 양재점에서 바코드만으로 방사능 오염 식품 등 위해상품을 매장 계산대에서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선보이고 “현재 1천만명의 소비자가 이같은 안심쇼핑을 즐길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위해상품 판매차단 시스템’이라고 일컬어지는 이 시스템은 추가적인 비용없이 기존의 ‘상품 바코드’ 인프라만으로 판정이 가능하다는데 그 의미가 있다. 우선 식품의약품안전청 등의 검사기관들은 일본산 또는 일본의 원재료가 사용된 상품을 무작위로 수거, 검사한다. 이후 방사능 등 위해성분의 기준치가 초과했을 경우, 실시간으로 해당상품의 바코드를 대한상의 코리안넷에 전송하게 된다.

우리나라의 바코드 인증을 맡고 있는 상의는 연계된 매장에 이같은 정보를 실시간으로 알려주고 매장 계산대는 상품바코드 스캔만으로 방사능 오염상품을 찾아낼 수 있게 된다.

대한상의측은 “과거처럼 오염 상품이 발견되고 나서 이를 지자체와 유통업체가 회수에 나서는 것이 아니라 ‘선 차단조치, 후 상품회수’라는 고리를 만들게 된 셈”이라고 평가했다.

지난 2009년 10월 첫 선을 보인 이 시스템은 현재까지 멜라민 과자, 석면 화장품 등을 걸러냄으로써 총 516건의 위해상품을 골라낸 바 있다. 이번에 농협의 전국 매장이 이 사업에 동참하게 됨으로써 ‘안심매장’은 전국 1만8천곳에 이르게 됐다. 안심매장은 인증마크(그림)만으로도 구분이 가능하다.

이날 대한상의는 지식경제부, 농협중앙회 등과 ‘식품안전과 유통선진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위해상품 판매차단 시스템’ 인증식도 가졌다.

행사에서 이동근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최근 일본 원전사고로 방사능 오염 상품에 대한 국민의 우려가 높다”며 “이번 위해상품 차단시스템 확대로 국민들이 접하는 먹거리의 상당량을 방사능 위협으로부터 지켜낼 수 있게 됐다”고 기대했다.

이덕수 농협중앙회 농업경제 대표이사는 “농협은 전국 읍면 단위까지 촘촘한 유통망을 가지고 있다”면서 “이번 시스템 구축이 국민의 안심쇼핑에 큰 보탬이 될 것”고 말했다.

이날 행사에는 이동근 부회장, 이덕수 대표와 농협중앙회 각 분사장, 박청원 지식경제부 산업경제정책관, 최동미 식약청 과장 등 20여명의 관계자와 당일 내점객 1백여명이 이를 지켜봤다.
조원영 기자

녹색경제  green@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