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존 클라우드서비스 중단 사태, 정부 조사 착수...AWS "본사와 시차로 사후조치 늦어져"
상태바
아마존 클라우드서비스 중단 사태, 정부 조사 착수...AWS "본사와 시차로 사후조치 늦어져"
  • 박근우 기자
  • 승인 2018.12.01 16: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아마존 해명 "한국지사와 미국 본사와의 시차 때문에 제 때 공지 등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지난 22일 서비스 장애를 일으킨 세계1위 클라우드서비스업체 아마존웹서비스(AWS)에 대해 정부가 다음주 초 조사에 착수할 것으로 알려졌다.

AWS가 사고원인, 피해보상 등 사후 조치를 전혀 내놓지 않은 가운데 AWS측은 한국지사와 미국 본사 사이의 시차로 인해 긴급 상황 발생시 제 때 공지 등을 못하고 있다고 인정했다. 

1일 업계에 따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중앙전파관리소는 지난 26일 AWS 한국법인에 대해 조사에 착수할 것이라고 통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7월 시행된 클라우드컴퓨팅법에 따른 것으로 국내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해외 사업자에 이 법이 적용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AWS는 국내 클라우드서비스 시장의 80~90%를 독점하고 있으며 국내 매출은 연 7000억~8000억원으로 추산된다.

암호화폐 관련 업체들도 아마존 서비스 장애로 큰 피해를 입었다.

과기정통부의 소프트웨어진흥정책 관련 관계자는 "서비스 중단 당일부터 관련 법 규정을 검토하는 등 조사 절차에 착수해왔다"며 "클라우드컴퓨팅법과 정보통신망법, 정보통신기반 보호법, 전기통신사업법 위반 소지 등을 조사하고 정보보호 관리체계 등도 함께 살피기 위해 관련 부처가 협의 중"이라고 밝혔다. 

클라우드컴퓨팅 발전 및 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 제25조와 시행령 제16조 등에 따르면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자는 침해 사고 발생 시 지체 없이 그 사실을 해당 이용자에게 알려야 한다.

중단 기간이 연속 10분 이상이거나 24시간 이내 2회 이상, 중단된 시간의 합이 15분 이상이면 해당 고객에게 통지해야 할 의무가 있다. AWS 서비스 중단은 22일 오전 8시 30분부터 최대 2시간 이상 지속됐다. 

사고 이후 AWS 측은 "84분간 서비스가 중단됐다"고 공식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쿠팡·넥슨 등을 비롯한 대다수 업체들은 AWS로부터 AWS 클라우드서비스 상태 대시보드를 통해서만 사실을 알게 됐을 뿐 어떤 통지도 받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22일 서비스 장애로 인해 피해를 본 곳은 온라인 유통은 물론 게임, 항공, 암호화폐 거래 사이트까지 주요 산업이 망라됐다. 쿠팡·넥슨·마켓컬리·배달의민족·이스타항공·나이키·블라인드·코인원·업비트·야놀자 등 국내 기업 수십 곳의 사이트가 ‘먹통’ 돼 이용자들이 불편을 겪었다. 

AWS는 현재까지 사고 원인과 재발 방지 대책 마련, 피해 보상 등 후속 조치가 전혀 없어 업체들의 불만이 고조되고 있다. AWS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해온 한 업체는 "사고원인에 관한 통보와 피해 보상에 대해 어떤 얘기도 아직 AWS 측에서 알려온 게 없다"고 말했다. 

AWS 측은 "한국지사와 미국 본사와의 시차 때문에 제 때 공지 등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사실상 문제점을 시인했다. 미국 본사의 지시를 받느라 한국에 공지 등이 늦어졌고 이후 사후 조치도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것은 새로운 문제다.

아마존 DNS서버 문제로 이번 장애가 발생했다는 공지가 나온다.

현재 AWS 서비스 중단은 서버 장애, 즉 아마존 내부의 DNS서버에서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암호화폐 거래업체 올비트는 "AWS 서울리전 네트워크에서 장애가 발생한 것"이라고 밝혔다.

최근 구글, 애플 등 해외 IT업체는 물론 BMW 등 해외 자동차 제조사까지 국내 시장에서 '갑질 논란'을 조성하고 있는 가운데 아마존(AWS) 마저 배짱 영업을 하는 것은 아닌가 우려의 시선이 커지고 있다. 

해외업체들의 이러한 '갑질'은 정부의 조사 결과 위법 소지가 발견돼도 과태료 등 '솜방망이 처벌'에 그치기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구글, 애플, 아마존 등의 갑질은 국내 업체와 소비자들에 대한 '역차별 논란'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박근우 기자  lycaon@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