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전사 자금조달 우려 해소될까...유동성 리스크 관리방안 시급
상태바
여전사 자금조달 우려 해소될까...유동성 리스크 관리방안 시급
  • 박소연 기자
  • 승인 2020.03.30 09: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자금경색 조짐을 보인 여전업계가 정부의 유동성 공급에 한숨 돌릴 것으로 보인다. 다만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될 가능성이 남아 있는 만큼 유동성 리스크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은 시급한 문제로 떠올랐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여전업계가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정부가 유동성 공급에 나섰다.  

수신 기능이 없는 여신전문금융회사들은 여전채, 자산유동화증권(ABS) 등의 발행으로 자금을 마련한다. 코로나19 사태로 여전채 시장이 얼어붙으며 여전사들의 자금조달에는 빨간불이 켜졌다. 여전채 수요가 감소하면 여전사들은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코로나19 여파에 대출 수요 확대가 예상되는 상황에서 이같은 여전사의 자금조달 난항으로 인해 소상공인과 자영업자의 대출 문턱이 높아질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됐다.

금융위원회는 지난 24일 발표한 금융시장 안정화 방안을 통해 민생·금융안정 패키지 프로그램을 100조원 상당의 규모로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코로나19로 인한 자금애로 해소와 금융시장의 안정 유지를 위한 것으로 1차 비상경제회의 시 밝힌 50조원 상당의 규모에 비해 크게 확대된 것이다.

이 가운데 41조8000억원은 주식시장, 회사채시장, 단기자금시장 등금융시장 불안요인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해 관심을 모았다. 채권시장안정펀드는 20조원 규모로 가동된다. 회사채, 우량기업CP, 금융채 등이 투자대상으로 4월 초 본격 매입에 들어갈 예정이다. 시장안정을 지원해 시장불안심리가 회사채 시장 등의 경색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하겠다는 의미다.

정부의 유동성 공급에 따라 여전업계는 일단 숨통이 트일 것으로 관측되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리스크 관리 방안 또한 필요한 시점으로 보인다.

금융당국은 여전사 유동성 리스크와 관련, 지난해 '비은행권 거시건전성 관리강화방안'을 통해 개별 여전사 차원에서는 ‘여전사 유동성리스크 관리 기준’을 신설하고 여전업권 전반에 대해서는 유동성리스크 평가를 실시해 위험 수준이 과도해진 경우 거시건전성 관리조치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박소연 기자  financial@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