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사회 2026년 GDP, 2014년 대비 약 8% 떨어진다
상태바
고령사회 2026년 GDP, 2014년 대비 약 8% 떨어진다
  • 조원영
  • 승인 2016.08.09 13:5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우리나라가 초고령사회로 진입하는 2026년에 국내총생산이 2014년보다 7.95% 하락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원장 권태신, 이하 한경연)은 「고령화 시대의 성장동력 제고를 위한 고용률 수준 추정」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고령화율*이 1% 포인트 높아지면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약 0.97%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가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되는 2026년의 국내총생산은 12년 전인 2014년보다 7.95% 하락할 전망이다. 한경연은 고령화율이 2014년 12.68%에서 2026년 20.83%로 8.15% 포인트 상승함에 따라, 2026년에 국내총생산이 2014년 대비 7.95%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 고령화율: 65세 이상의 고령자 인구(노령인구)가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 일반적으로 고령화율이 7%를 넘는 사회를 '고령화사회', 14%를 넘는 사회를 '고령사회', 20%를 넘는 사회를 '초고령사회'라 지칭

    <우리나라 고령화 심화에 따른 경제적 영향과 성장동력 제고를 위한 고용률 수준>

고령화 단계

고령화 수준

GDP

성장제고를 위한 최소 고용률 수준(15~64세)

현재기준(2014년)

12.68%

-

65.30%

고령사회 진입(예: 2018년)

14.46%

1.74% 감소

67.00%

초고령사회 진입(예: 2026년)

20.83%

7.95% 감소

73.08%

고령화 가속화(예: 2050년)

35.15%

21.90% 감소

86.74%

· 자료: World Bank, 통계청, UN
· 주 : 성장제고를 위한 고용률 수준이란 고령화로 야기된 GDP감소분을 만회하기 위해 필요한 고용률의 수준으로 실증분석 결과의 계수값을 이용해 저자가 계산

한편 국제연합(UN)의 분석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2050년 고령화율은 35.15%에 달할 전망이다. 국민 세 명 중 한명이 65세 이상 고령자인 셈이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국내총생산은 2014년 대비 21.90% 떨어질 것으로 추정됐다.

유진성 한경연 연구위원은 “고령화가 진행될수록 국내총생산 감소 현상은 불가피할 것”이라며, “적어도 GDP를 현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고용률 제고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유 연구위원은 “고용률이 1% 포인트 상승하면 실질 GDP가 약 1.02%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며, “2026년 고용률을 2014년(65.3%) 보다 최소 7.8% 포인트 높은 73.1%까지 끌어올려야 현재 수준의 GDP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취업자 수를 기준으로 환산할 경우 2014년보다 약 287만 명이 늘어나야 하는 셈이다.

한경연은 “과거 2002년부터 2014년까지 12년간 고용률이 약 2% 포인트 상승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고용률 제고는 쉽지 않은 과제”라면서, △파견법 개정, △일반해고·취업규칙 변경요건 완화 지침 정착, △대체근로 허용 등 적극적인 노동시장 개혁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65세 이상 고령층의 노동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취업구조를 단순노동중심에서 전문지식분야로 확대하는 방안도 모색해야 한다고 한경연은 덧붙였다.

조원영  jwycp@hanmail.net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