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생에너지 계통연계 노하우, 유럽서 찾는다
상태바
재생에너지 계통연계 노하우, 유럽서 찾는다
  • 서창완 기자
  • 승인 2019.09.26 19: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재생에너지 계통연계, ‘유연성’과 ‘역동성’ 필요
송·배전 분리, 계통 안전성 확보 등에 유럽도 긴 시간 걸려
‘한-EU 재생에너지 정책 워크숍’이 26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렸다. [사진=서창완]
‘한-EU 재생에너지 정책 워크숍’이 26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렸다. [사진=서창완]

정부 ‘에너지 전환’ 정책에 따라 국내 태양광·풍력 발전이 늘어나면서 우리나라도 전력계통 문제를 고민할 때가 됐다. 우리보다 앞서 재생에너지 정책을 시작한 유럽의 사례를 보면 전력 발전과 송·배전 체계의 유연성이 눈에 띈다. 유럽연합(EU) 역시 15년 넘는 긴 시간 동안 민주적 과정에 따라 서서히 변화를 이뤄온 만큼 기술의 발전보다 법적·제도적 뒷받침에 따른 정책적 의지도 중요한 과제다.

26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한-EU 재생에너지 정책 워크숍’에서 유럽연합 에너지부의 폴라 세바요스는 재생에너지 계통연계에 필요한 점으로 분리(언번들링), 실시간 데이터, 수요자원(DR)을 꼽았다. 이를 관통하는 단어는 ’유연성‘이다.

한국의 전력계통은 전력거래소와 한국전력공사가 독점하고 있다. 전력거래소는 입찰관리와 정산, 가격결정, 전력계통운영 등을 맡는다. 한전은 국내 유일한 송전·배전·판매 사업자다. 송배전선로와 설비를 건설·관리하고, 전력을 판매 영업하는 일까지 맡는다. 전력계통에서 2개 공공기관이 차지하는 비중이 막중한 셈이다.

대규모 발전사를 운영하는 전력 시스템에서는 이런 시스템이 효율적이었다. 안정적 전력수급을 목표로 발전단지를 대규모하는 방식이 필요했다. 이런 방식이 기후와 환경 문제를 일으키자 세계적인 에너지 전환 흐름이 이어졌고, 계통연계 역시 변화가 필요해졌다. 분산화 전력이라는 특징, 인버터 설비의 필요성 등 재생에너지의 특징이 패러다임 전환을 요구하는 셈이다.

세바요스는 발전·송전·배전의 통합을 끊는 언번들링이 유럽 재생에너지를 안정적으로 정착시켰다고 설명했다. 재생에너지를 전력계통에서 안정적·효율적으로 관리하려면 분리를 끊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세바요스는 “발전된 전기를 고객에게 전달하는 과정에 경쟁이 허용되면서 재생에너지라는 새로운 생산업체가 들어올 여력이 생겼다”면서 “조화를 이루면서 다양한 규제를 국가별로 소화하는 범유럽의 전력 시장이 구축된 셈”이라고 말했다.

실시간 데이터 수집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재생에너지 발전소들이 실시간 생산되는 전력에 따라 가격을 결정할 수 있게 해 자유롭게 전력 시장에 참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 이렇게 실시간 집계되는 전력이 수요관리(DR)에 적용되면 전력 수요와 공급에 따른 시장 가격 조절도 가능해진다.

유럽송전시스템운영자네트워크(ENTSO-e)의 마르코 포레스티는 재생에너지 시장이 커짐에 따라 불거질 혼잡에 대처하려면 계통 안전성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계통망 개발 속도가 재생에너지 발전 속도보다 늦게 되면 전력 공급에 차질을 빚을 수 있어서다.

날씨 등 변수가 많은 풍력·태양광 등 재생에너지는 계통망과의 상호 연계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포레스티는 ‘역동성’을 강조했다. 분산형인데다 변동성이 큰 에너지 체계인 만큼 양방향으로 전력 상황을 실시간 관리해야 할 필요성이 높아진 것이다.

송전망운영자(TSO, Transmission System Operater)와 배전망운영자(DSO, Distribution System Operator)와 긴밀히 협력해야 한다는 의견도 덧붙였다. 과거와 달리 소비자도 발전을 할 수 있게 된 시장에서 유연성 자원을 잘 활용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유럽에는 DSO만 2700여개 존재할 정도다. TSO와 DSO가 수평적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조건이 형성돼 있는 셈이다.

포레스티는 “유럽에서도 이와 같은 인프라를 갖추는데 오랜 시간이 걸렸다. 계통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드는 만큼 시민사회를 설득하는 노력과 효율을 증명하는 능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서창완 기자  science@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