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삼성동에 우리나라서 가장높은 571m GBC 건설 계획
상태바
현대차, 삼성동에 우리나라서 가장높은 571m GBC 건설 계획
  • 조원영
  • 승인 2015.02.01 20:3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현대자동차그룹이 서울 삼성동 한국전력 본사 부지에 115층(높이 571m) 규모의 글로벌비즈니스센터(GBC)를 건설하기로 결정했다. 현대차그룹의 GBC는 제2롯데월드보다 층수는 8층 작지만, 높이는 오히려 16m 더 높다. 층고가 높은 컨벤션센터 등을 포함하고 있어서다.

1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그룹은 지난 30일 용적률 799%를 적용해 지상 115층의 업무시설과 7층 높이의 전시컨벤션시설, 62층 높이의 호텔·판매시설 등을 포함한 한전부지에 대한 개발구상 및 사전협상 제안서를 서울시에 제출했다.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은 올초 시무식에서 삼성동 한전부지에 100층 이상의 초고층 빌딩을 건설하겠다고 밝혔다.

업계에서는 정 회장이 직접 나선만큼 GBC가 국내 최대 높이가 될 것으로 예상했다. 실제로 현재 잠실에 건설 중인 제2롯데월드보다 16m 더 높다. 국내 대기업 업무시설 중에서 가장 높은 빌딩이다.

GBC 모형도(안)
현대차그룹의 GBC 층수는 115층으로 제2롯데월드(123층)보다 8층 낮다. 그럼에도 높이가 더 높은 것은 층고가 높기 때문이다. GBC는 본사 사옥과 컨벤션센터, 자동차 테마파크 등과 함께 건설된다. 때문에 백화점, 면세점, 호텔 등 상업시설만 입주하는 제2롯데월드보다 층고가 높을 수 밖에 없다.

현대차그룹의 GBC가 완공되면 제2롯데월드를 제치고 국내 최고 높이의 빌딩이 된다. 세계적으로도 두바이의 '부르즈칼리파'(828m·163층), 중국 선전에 건설 중인 '핑안 국제 금융 센터'(648m·115층), 중국 상하이 타워(632m·128층), 사우디아라비아의 '메카 로얄 클락 타워 호텔'(601층·95층), 중국 골든 파이낸스(597m·117층) 등에 이어 6위권(준공 기준)이다.

다만 현재 추진 중인 인천타워나 사업자 공모 예정인 상암동 랜드마크빌딩의 준공 여부에 따라 국내 초고층 빌딩의 순위가 바뀔 수는 있다.

현대차는 GBC 건립을 통해 국내·외 그룹사를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콘트롤타워 기능을 확보하고 문화, 생활, 컨벤션기능 등을 아우르는 랜드마크를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BMW, 폭스바겐, 토요타 등 글로벌 경쟁업체들은 본사 및 인근 공간을 활용해 출고센터, 박물관, 전시장 등을 하나로 묶은 '복합문화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특히 폭스바겐이 독일 볼프스부르크 본사와 촐고센터, 박물관 등을 연계해서 운영 중인 '아우도슈타트'가 대표적인 예다. 독일 관광청에 따르면 아우토슈타트는 연간 250만명의 관광객이 방문하는 대표적인 관광명소가 됐다.

현대차그룹도 GBC 건립을 통해 브랜드 가치를 높일 계획이다. 현대차그룹 GBC는 글로벌 통합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는 업무시설과 함께 호텔, 컨벤션센터, 자동차 테마파크, 문화 클러스터 등을 포함하고 있다. 현재 서울시는 코엑스∼잠실운동장 일대 82만㎡(약 24만8050평)를 국제업무·MICE(회의·관광·컨벤션·전시회)·스포츠·문화엔터테인먼트 중심의 국제교류 복합지구로 개발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현대차그룹의 자동차 복합문화단지는 서울시 계획의 한 축을 담당할 수 있게 된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GBC가 조성되면 건설 및 운영과정에서 발생하는 생산, 부가가치, 고용, 소득유발 효과와 신규 컨벤션 수요 창출 등 대규모 경제 효과가 예상된다"며 "매년 현대차그룹 차원에서 진행하는 딜러 초청행사 등 해외에서 7만~8만여명의 인원이 참석할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현대차는 지난해동안 대리점·딜러 초청행사, 고객 및 언론 초청행사 등 해외에서 진행한 행사가 270여회에 달한다. 이 행사들에 참석한 총 인원도 2만8000명을 넘어섰다. 기아차도 지난해 해외에서 2만여명을 초청해 각종 행사를 치룬 바 있다. 현대차그룹은 GBC가 건립되면, 각종 행사를 국내에서 개최할 수 있게 돼 연간 1조3000억원 규모의 소비가 국내에서 발생할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서울시는 현대차그룹의 제안서와 관련해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협상조정 협의회'를 구성하고 교통·환경영향 등 검토를 진행하는 등 사전협상에 착수한다는 계획이다. 사전협상을 통해 공공성 있는 계획안이 마련되면 △도시건축공동위원회 심의 △세부개발계획 수립 및 도시관리계획 변경 △건축심의 및 건축인허가 등의 절차를 거쳐 본격적인 공사에 들어가게 된다.

조원영  jwycp@hanmail.net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