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현대엔지니어링 노조, 경영진 무성의한 단체협약에 쟁의 '불사'
상태바
[단독]현대엔지니어링 노조, 경영진 무성의한 단체협약에 쟁의 '불사'
  • 박근우 기자
  • 승인 2018.07.23 07:3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장 및 임원은 회의에 불참...노조 사무실 등 기본사항 비협조에 분개
현대엔지니어링 노조가 이번 주 26일로 예정된 12차 단체교섭에서도 최종안이 타결되지 않으면 그간 경영진의 비협조적이고 무성의한 행태에 반발, 중앙노동위원회 조정 신청은 물론 쟁의도 불사하겠다는 강경 입장을 밝혔다.
 
현대엔지니어링 노동조합은 지난해 12월 민주노총 건설기업노조의 지부로 인정받아 회사 창립 43년 만에 정식 출범했으며 올해 1월부터 단체교섭을 요청해 무려 7개월째 회사측과 협상을 진행 중이다. 

현재 11차례 단체교섭 협상 회의를 진행하는 동안 성상록 대표이사 사장은 공식 교섭 회의에 단 한차례도 참석하지 않았다. 대신 최정환 인사팀 부장 등 중간 간부급 4명이 위임장을 받아 회사측 교섭위원으로 참석한 것으로 드러났다. 성상록 사장은 물론 임원급도 단체교섭에 참여하지 않은 셈이다. 
 
이 뿐이 아니다. 노조는 1월부터 회사측에게 단체교섭권을 요청했는데 난색을 표하다 마지못해 협상에 임했다. 노조에 의하면 "사측은 단체교섭 장소도 회사 내에서는 못한다"며 외부에서만 가능하다는 조건이 붙었다. 따라서 1차 단체교섭은 저녁 6시 이후 외부 장소인 서울역 회의실에서 열렸을 정도다. 외부에서 몇차례 회의가 진행되다가 현재는 회사 내 회의실로 바뀌었다.

지난 3월 말에는 노조 집행부가 성상록 사장의 불성실하고 비협조적인 태도에 분개해 항의 방문하기도 했다. 노조측에 따르면 당시 노조 사무실, 노조 전임자 등 조합 운영을 위한 기본적인 요구사항에 묵묵부답인 사측 행태에 항의하고 대표이사의 교섭 참석 요구, 교섭에 임하는 사측의 의지 등을 요청했지만 뚜렷한 답변을 듣지 못했다. 성상록 사장은 교섭위원에게 위임했다는 원론적 답변만 반복하고 있다는 것이다. 
 
심지어 면담 후 노조 간부가 사측으로부터 협박성 공문도 받았다고 노조측은 폭로했다. 노조 소식에 따르면 "사측은 성 사장과의 면담 이후 당시 물리적인 충돌이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불법 점거 및 폭력이 있었던 것 처럼 특정 노조 간부에 대한 인사적 법적 대응하겠다는 노조 탄압적 반협박성 공문을 송부했다. 대표이사의 이러한 이중적 행태에 경악을 금치 못하고 있으며 노조의 명예를 훼손하려는 행태에 분노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사측 교섭위원 대표격인 최정환 팀장은 "대표이사 명의 공문이 있었다"는 사실을 인정했다.
 
노조는 사측이 일방적으로 취업규칙을 변경하는 것에도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노조는 기존 무급휴일을 휴무일로 변경, 진급연한을 4년에서 5년으로 연장, 연장근무 시 교통비 폐지 등을 반대했다. 노조의 반대에도 사측은 지난 5일 취업규칙 변경 설명회를 강행했다. 노조측은 노조와 사전 협의도 없이 하루 전에 통보하는 등 일방통행식 진행을 했다고 분개했다. 노조는 지난 13일 취업규칙 일방적 변경에 대해 노동부에 진정을 요청한 상태다.
 
강대진 노조위원장은 "그간 노조는 노사간 단체교섭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  최대한 사측에 배려와 양보로 교섭에 임하고 있었다. 그러나 사측이 노조를 무시하고 비협조적인 행태에 실망하고 있다. 적극적인 해결 의지가 안보인다"며 "최종안을 이미 제출한 상태이며 결렬되면 중앙노동위원회에 조정 신청은 물론 쟁의도 염두해 두고 있다"면서 최악의 경우 쟁의도 불사하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에 대해 사측은 성실히 임하겠다는 원칙적인 입장만 밝혔다.
 
현대엔지어링 노사의 단체교섭은 막바지 단계로 이번 주가 고비가 될 전망이다. 노조는 26일 12차 단체교섭을 마지노선으로 상정했다. 노조는 이미 상당 부분을 양보한 최종안을 제출한 상태이며 그 결과에 따라 중앙노동위 조정 신청 등 단계적 압박 수위를 높일 계획이다.
 
한편, 현대엔지어링 노조는 지난 해 12월 창립 당시 "그동안 회사내 여러가지 불합리한 부분들에 대해 직원들이 침묵하며 버텼다. 현대엠코와 합병, 목동 사옥 매각 등 과정에서 직원들의 희생이 따랐지만 문제를 제기할 수단조차 없었다. 특히 합병 후 현대차 그룹 인사들이 경영을 맡아 직원들의 업무 자율성을 통제하고, 그룹 내부 계열사의 연관된 사업을 수주에 반영하게 해 사업원가를 맞춰야 하는 등 직원들의 부담을 가중시켰다"며 "불합리한 제도를 개선해 나가겠다"는 취지를 분명히 한 바 있다. 

박근우 기자  lycaon@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