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 75% “국가이미지, 상품 구매에 영향”
상태바
소비자 75% “국가이미지, 상품 구매에 영향”
  • 조원영
  • 승인 2012.11.13 09: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내 소비자 10명 중 8명은 상품 구매시 제조국가의 이미지를 고려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손경식)는 최근 수도권 및 6대 광역시 소비자 514명을 대상으로 ‘국가이미지가 구매에 미치는 영향 및 시사점’을 조사한 결과, 상품 구매시 제조국가의 이미지를 고려하는지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74.5%가 ‘그렇다’고 답했다고 13일 밝혔다. ‘그렇지 않다’는 응답은 25.5%였다.

국가 이미지를 결정하는 요인으로는 ‘해당국가의 경제규모와 대표 기업’(31.1%), ‘정치·외교’(17.1%), ‘대중문화’(15.6%), ‘과학·기술’(11.3%), ‘전통문화·예술’(8.4%) 순으로 답했다. <‘국민성’ 4.9%, ‘유명인사’ 4.5%, ‘스포츠’ 3.9%, ‘여행·관광’ 3.2%>

대한상의는 “FTA 등으로 세계 시장의 벽이 허물어지면서 유형의 상품에 더해 무형의 국가 브랜드가 소비자의 중요한 선택 기준이 되고 있다”며 “특히 나라를 대표하는 기업이나 경제적 위상이 국가 이미지 형성에 점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 우리나라 국가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 가장 많은 응답자들이 ‘글로벌 기업의 선전’(27.4%)을 꼽은데 이어, ‘한류 열풍’(25.9%), ‘과학·기술의 성과’(23.5%), ‘국제 스포츠 행사에서의 선전’(8.6%), ‘유명인사의 대외활동’(8.4%)을 차례로 꼽았고, <‘문화·예술 수준 향상’ 3.5%, ‘시민의식’ 2.7%>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는 ‘정치갈등’(35.2%), ‘외국기업과의 갈등’(16.9%), ‘외교갈등’(15.6%), ‘인터넷 악플’(13.2%) 등을 차례로 지적했다. <‘북한문제’ 6.8%, ‘사회문제’ 6.2%, ‘해외여행자 에티켓’ 5.6%, ‘기타’ 0.5%>

같은 가격과 품질이라면 어느 국가의 상품을 구매할 것인지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들은 ‘한국’(23.3%)을 가장 많이 꼽았고, 이어 ‘독일’(17.7%), ‘일본’(16.9%), ‘미국’(16.5%), ‘프랑스’(11.7%), ‘이탈리아’(6.4%), ‘영국’(5.8%), ‘중국’(1.7%)을 차례로 답했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농수산·식료품’(35.5%), ‘전자제품’(30.2%)은 ‘국산’을, ‘자동차’(31.0%)는 ‘독일’, ‘생활용품’(25.8%)은 ‘일본’, ‘의류·패션잡화’(35.3%)는 ‘프랑스’를 선호하는 소비자들이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국산품을 선호하는 이유는 ‘A/S 등의 편리함’(39.7%), ‘국산품에 대한 신뢰’(38.9%), ‘애국심’(18.8%), ‘외제품에 대한 거부감’(2.2%), ‘주위의 이목’(0.4%)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산품을 100점 기준으로 했을 때 외국상품의 이미지 가치를 평가한 결과, ‘일본’(116점)이 가장 높은 점수를 기록했고, 이어 ‘독일’(112점), ‘미국’(105점), ‘프랑스’(103점), ‘이탈리아’(101점), ‘영국’(100점), ‘중국’(88점) 순으로 점수가 높았다.

이에 대해 대한상의는 “산업의 전반적인 경쟁력보다는 독일의 자동차 3사, 일본의 기저귀 등 생활용품, 유럽의 명품 패션잡화 등 국가의 특정 상품에 대한 이미지가 소비자의 뇌리에 크게 각인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국가이미지 제고를 위한 정책과제로는 ‘기업경쟁력 제고’(29.2%)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이어 ‘관광산업 육성’(22.6%), ‘남북한갈등 완화’(10.1%), ‘정치권과의 갈등 완화’(8.9%), ‘과학기술 지원‘(8.8%), ‘외교갈등 완화’(7.8%), ‘한류 지원’(7.4%), ‘스포츠 분야 지원’(2.9%), ‘문화·예술분야 지원’(2.3%) 등이 뒤를 이었다.

김경종 대한상의 유통물류진흥원장은 “국가 이미지는 해당 국가를 대표하는 기업과 상품에 의해 결정된다”며 “기업은 세계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우수한 제품을 개발하는 노력을 지속하고, 정부는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춘 기업들이 지속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잠재력 있는 기업들을 적극적으로 육성하고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조원영  jwycp@hanmail.net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