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 평가점수 제각각, 어느 장단에 발맞추나?…ESG 공시 표준화 본격화
상태바
ESG 평가점수 제각각, 어느 장단에 발맞추나?…ESG 공시 표준화 본격화
  • 김윤화 기자
  • 승인 2021.10.18 16:5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국내외 ESG 평가기관 간 기준·점수 제각각
- IFRS 내년 중 기후관련 ESG 회계규정 공표 예정
- 한국 ESG 공시의무, K-ESG 평가지표 등 표준화
[출처=픽사베이]
[출처=픽사베이]

국내외 ESG 평가기관들이 같은 기업에 제각각 다른 평가를 내놓으며 혼란을 키우고 있다. MIT 대학의 한 연구에 따르면 무디스, MSCI 등 전 세계 5개 주요 ESG 평가기관의 평가결과에서 큰 차이가 나타났다.

평가기관별 차이에 기업과 투자자의 혼란은 커지는 분위기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은 ‘국내외 ESG 평가 동향과 시사점’에서 국내외 평가기관별 등급이 최대 5단계까지 벌어진다며 이 문제를 지적했다. 또 MIT의 연구에 따르면 지난해 ESG 평가에 기초한 연기금 등의 글로벌 투자금액은 약 30조달러(약 3경3천조원)로 알려졌다.

전문가들은 기업의 ESG 정보공시와 관련된 표준화 절차가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비표준화된 기업의 ESG 정보가 평가기관 사이의 방법론적 차이를 비롯한 평가격차를 유발한다는 분석이다. 이에 최근 국제회계기준재단(IFRS)을 비롯한 다수의 국내외 기관들이 ESG 정보공개 표준화에 나서고 있다.

◇ 국내외 ESG 평가기관 간 평가격차 발생…표준화된 정보공개절차 필요

국내 ESG 평가기관 간 종합등급 비교 [출처=자본시장연구원]
국내 ESG 평가기관 간 종합등급 비교 [출처=자본시장연구원]

지난해 MIT 슬로언 대학의 연구에 따르면 무디스, MSCI 등 전 세계 5개 주요 ESG 평가기관의 ESG 등급 간 상관계수가 평균 0.54로 나타났다. 이는 평가대상 기업에 대한 5개 기관의 평가결과가 절반가량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평가결과와 비교하면 이 격차는 더욱 두드러진다. 같은 기관의 채권 평가등급 간 상관계수는 0.99로 이들과 비교해 높은 일관성을 나타냈다.

국내 평가기관 사이의 점수에도 큰 차이를 보였다. 자본시장연구원의 ‘ESG 평가 체계 현황과 특성 분석’ 연구에 따르면 국내 주요 ESG 평가기관(한국기업지배구조원, 서스틴베스트) 간 평가점수의 상관계수는 평균 0.61로 낮은 일관성을 나타냈다. 특히 두 기관은 개별 ESG 중 지배구조(G) 부문에서 0.29의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환경, 사회 부문과 비교해 기업의 지배구조 평가에 필요한 정량적 자료가 부족한 이유로 풀이된다.

전문가들은 기업의 ESG 공시 비표준화를 해당 문제의 가장 큰 원인으로 꼽는다. 기업의 경우 ESG 요인을 측정 및 보고할 기준이 없고 이에 평가기관도 정량화된 정보를 얻을 수 없어 개별 해석에 크게 의존할 수밖에 없다는 이유다. 자본시장연구원 이인형 선임연구원은 “(ESG 평가결과가) 기업의 신용등급에 준하는 객관성과 평가의 안정성을 원한다면 기업들의 ESG 관련 공시가 규정화된 준칙에 의하여 새롭게 정립될 필요성은 있다”고 전했다

◇ 국제사회, ESG 정보공시 표준마련…한국은?

이에 최근 국제사회는 ESG 공시 표준화에 대한 움직임으로 분주하다. 국제증권감독위원회(IOSCO)의 요청에 지난해 CDP 등의 국제기구는 기후관련 재무정보 공시기준 원형(prototype)을 처음으로 발표했다. 이후 국제회계기준재단(IRFS)도 다음 달 제26차 유엔기후변화당사국총회(COP26)에서 국제지속가능기준위원회(ISSB)을 공식 발족할 예정이라 밝혔다. ISSB는 내년 하반기 중에 기후 관련 정보공개 표준을 ESG 표준회계의 일부로 공표할 계획이다.

국내에도 ESG 의무 공시와 더불어 표준화 절차가 진행되고 있다. 금융위는 지난 1월 친환경, 사회적 책임활동을 포함한 ‘지속가능경영보고서’ 공시의무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자산 2조원 이상 코스피 상장사는 2025년까지, 전 코스피 상장사는 2030년까지 해당 보고서를 공시해야하는 의무를 가진다. 지난 4월 산업부는 ‘K-ESG’ 지표초안을 공개했다. 정부차원의 ESG 평가표준을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자본시장연구원 이인형 선임연구위원은 “국내에서도 기업들의 지속가능 활동에 대한 의무 공시가 시행될 예정이다”며 "국내에서도 환경, 사회 및 지배구조와 관련된 공식화된 분류체계를 중요도 관점에서 마련해야 하고, 기업과 금융기관 및 금융상품 차원에서의 객관적인 지표 기준의 투명한 공시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 한국형 지표 개발의 표준을 정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국제 논의 동향에 당사자로 참여하여 우리의 이해를 대변하고 정합성을 살펴보는 것도 중요하다”고 전했다.

김윤화 기자  financial@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