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노 본사의 경고장 "약속 안지키면 새 방법 찾을것"...격화된 노사갈등 잠재울까
상태바
르노 본사의 경고장 "약속 안지키면 새 방법 찾을것"...격화된 노사갈등 잠재울까
  • 김명현 기자
  • 승인 2021.02.09 13:5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로스 모조스 부회장 9일 "서바이벌 플랜, 반드시 진행해야"
부산공장 제조원가 스페인 2배...생산 경쟁력 10위로 추락

르노그룹 총괄부회장이 르노삼성자동차에 공개적으로 경고장을 던졌다. 르노삼성이 2020년 임단협과 희망퇴직 등으로 노사갈등이 격화하는 가운데, 본사 임원의 강력한 메시지가 갈등 국면을 잠재울 수 있을지 주목된다.

르노그룹의 제조 및 공급 총괄 임원인 호세 비센트 드 로스 모조스 부회장은 9일 오전 르노삼성 부산공장 임직원들에게 전달한 영상 메시지를 통해 부산공장의 높은 생산비용에 대한 우려를 표하며 "부산공장이 반드시 이행해야 하는 약속이 지켜지지 않는다면 새로운 방법을 찾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로스 모조스 부회장은 우선 르노그룹의 르놀루션 발표에 따른 수익성 추구 경영전략을 설명한 뒤 “지난해 부산공장을 방문했을 때, 부산공장은 뉴 아르카나(XM3 수출 차량)의 유럽 수출 물량을 확보하기 위해 경쟁력을 향상시키겠다고 약속했었다”며 “그 약속을 믿고 르노그룹 최고 경영진들을 설득해 뉴 아르카나 유럽 물량의 부산공장 생산을 결정했었다”고 말문을 열었다.

앞서 지난해 1월 로스 모조스 부회장은 르노삼성차 부산공장을 직접 방문해 XM3 수출 차량은 경쟁이 매우 치열한 유럽시장을 목표로 하고 있기 때문에, 부산공장이 생산성과 제조원가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 노사가 화합해줄 것을 당부한 바 있다.

로스 모조스 부회장은 이어 “작년 말 기준으로 그 약속은 이행되지 않았으며, 부산공장의 공장제조원가는 스페인에서 생산되는 캡쳐와 비교하면 두 배에 달한다”는 우려를 표하고 “이는 부산공장의 경쟁력에 문제가 있는 것이며 시급한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르노그룹 본사. [사진 르노]

르노삼성 부산공장의 생산 경쟁력(QCTP)은 2013년 13위에서 2016년 1위에 올라선 뒤 2017년 2위로 한 계단 내려갔지만 2018년 다시 1위를 차지했다. 하지만 2019년 5위로 내려간데 이어 2020년 10위로 추락했다.

이는 공장제조원가 등 비용 항목의 점수가 가장 저조한 것이 원인으로 지목됐다. 작년 기준으로 부산공장의 공장제조원가 점수는 르노그룹 소속 전 세계 19개 공장 중 17위로 평균에도 크게 못 미쳤다.

특히 로스 모조스 부회장은 XM3의 성공적인 유럽 진출을 위해 최고의 품질과 생산 비용 절감, 생산 납기 준수 등 세 가지 목표를 달성할 것을 부산공장에 주문했다.

<br>
로스 모조스 부회장.

로스 모조스 부회장은 “나는 부산공장 임직원들을 믿고 뉴 아르카나 생산을 결정했지만, 우리는 심각한 문제에 직면해 있다"며 "부산공장의 서바이벌플랜과 전략은 스스로를 위한 최우선적 생존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서바이벌 플랜은 부산공장의 경쟁력을 높이고 미래를 이어갈 수 있는 방안이기 때문에 반드시 진행해야만 한다는 얘기다.

아울러 그는 “수요 대비 공급의 과잉 투자 환경에서 경쟁력이 향상되지 않으면 미래에 어려움을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앞서 루카 데 메오 르노그룹 CEO는 지난달 수익성을 중심으로 경영 전략을 전환하는 ‘르놀루션’을 발표하고, 한국을 라틴 아메리카, 인도와 함께 수익성을 강화해야 하는 지역으로 지목한 바 있다. 

라틴 아메리카 지역 브라질의 경우 이미 1300여명을 감원하고 신입사원 임금의 20%를 삭감했다. 노동조합과의 임금·단체 협약 주기도 4년으로 변경했다. 르노삼성은 최근 본사 지침에 따라 경영 효율화의 일환으로 서바이벌 플랜을 가동하며 희망퇴직 등을 진행하고 있다.

르노삼성 노조는 서바이벌 플랜을 두고 사측과 마찰을 빚으며 또다시 파업 카드를 꺼내들었다. 노사갈등이 장기화 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노조는 지난 1일부터 이틀간 진행한 쟁의행위 찬반투표에서 총 유권자 2180명 중 1245명이 찬성해 57.1% 찬성률로 파업을 가결시켰다. 언제든 파업에 나설 수 있게 된 것이다. 

노조는 희망퇴직 등 구조조정에 나선 사측에 대한 방어권을 행사하는 차원이라는 입장이지만, '2020년 임단협' 타결 조건으로 기본급 인상을 요구하고 있어 이를 관철하기 위한 게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김명현 기자  lycaon@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