떠오르는 ‘메르스’의 악몽... 중국 악재, 다시 면세업계 덮치다
상태바
떠오르는 ‘메르스’의 악몽... 중국 악재, 다시 면세업계 덮치다
  • 양현석 기자
  • 승인 2020.01.29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여파로 중국 의존도 높은 면세업 타격 예상
마스크·손세정제 판매 폭등... “빠른 대처로 피해 막은 ‘사스’ 경험 살려야”
면세점 업계는 새해 벽두 닥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이라는 악재를 막기 위해 최선을 다 하고 있다. 사진은 롯데면세점 명동 본점 내부 모습.[사진=롯데면세점]
면세점 업계는 새해 벽두 닥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이라는 악재를 막기 위해 최선을 다 하고 있다. 사진은 롯데면세점 명동 본점 내부 모습.[사진=롯데면세점]

 

지난해 힘든 나날을 보냈던 면세점과 여행업계가 새해 벽두부터 닥친 중국 발 전염병 경보로 또 다시 시름하고 있다.

29일 면세 및 여행업계에 따르면, 중국 의존도가 높은 면세점과 여행업계가 소위 우한 폐렴으로 불리는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여파로 설 연휴 기간을 기점으로 타격을 입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초 한중관계 개선이 전망되며 올해 20% 이상 성장이 점쳐졌던 면세점 업계로서는 돌발 악재를 맞은 셈이다. 실제로 설 연휴를 끝내고 증시가 개장한 28일 신라면세점의 모기업인 호텔신라 주가는 10% 급락했다. 면세점은 아니지만, 마찬가지로 중국 의존도가 높은 백화점들의 주식도 크게 내려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의 악영향에서 자유롭지 못했다.

현재 면세점 업계에서 중국 따이궁(소규모 도매상)의 역할은 절대적이다. 일부에서는 면세점 1년 매출의 70~80%를 따이궁이 책임진다는 말까지 나올 정도다. 그러나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의 여파로 중국의 설 명절인 춘절을 보내러 귀국한 따이궁들이 연휴가 끝나는 2월 초에 다시 한국을 찾을 가능성이 매우 낮아진 것이 사실이다.

또 중국 관광객이 찾는다 해도 면세점이 주 감염 경로가 되는 상황 역시 큰 악재다. 이에 따라 면세점들은 각기 비상대책을 마련했다.

먼저 롯데면세점은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확산 방지와 고객과 직원의 안전을 위해 24일 대표이사를 위원장으로 한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하고 상시 대응 체계에 들어갔다.

우선 전 직원 일일 발열 체크를 의무화하고, 발열 직원은 조기귀가 후 의료기관 진료를 실시한다. 매장 및 인도장 근무자 마스크 착용 의무화, 매장 및 인도장 주 2회 방재 소독, 손소독제 매장 내 배치 확대, 고객 마스크 지급 등을 진행하기로 했다. 더불어 중국 방문 직원은 귀국 후 14일간 휴가 조치 후 관찰 진행을 실시하며, 임산부 및 만성질환 직원을 대상으로 휴직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갑 롯데면세점 대표이사는 “롯데면세점은 고객과 직원 안전을 최우선 목표로, 향후 상황 변화에 따른 신속하고 추가적인 대응 조치들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라며 “앞으로 질병관리본부, 인천공항공사, 한국공항공사 등 관계 기관과의 긴밀한 협력관계를 통해 유기적인 대응을 이어나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신라면세점도 비슷한 대응을 하고 있다. 신라면세점은 한인규 사장을 본부장으로 하는 비상대응 TF를 가동해 국가 질병관리본부의 감염병 예방수칙 준수를 지속하고, 직원 출입구 발열 감시 열화상 카메라 가동 및 임직원(협력사 포함) 보건용 마스크 착용, 고객 마스크 지급 등 영업장 사전 예방활동을 강화한다.

신라면세점 관계자는 “신라면세점은 안전환경 담당부서가 별도로 있어 보건복지부 등 관계기간의 지침에 의거 단계별 고객과 임직원의 안전이나 위생에 대한 관리를 해오고 있으며, 보건복지 등의 지침에 따라 관련 활동을 강화했다”고 밝혔다.

반면, 편의점과 온라인쇼핑몰에서는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한 공포가 확산되면서 마스크와 손 세정제 등 위생용품 판매량이 최대 30배 이상 폭증하는 현상도 발생하고 있다.

한 보건 전문가는 “초기 방역에 실패할 시 과거 메르스 사태 때와 같은 전 사회적 ‘패닉’ 현상이 발생해 경제와 사회적으로 큰 타격을 받게 된다”면서 “모범적으로 빨리 대처해 조기에 감염 확산을 막았던 ‘사스’ 때의 경험을 되살려 보건 당국이 잘 대처한다면 이번 주 내로 혼란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양현석 기자  market@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