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제 일자리.. 대기업(78%), 중소기업(73%) 만족
상태바
시간제 일자리.. 대기업(78%), 중소기업(73%) 만족
  • 조원영
  • 승인 2014.10.15 10: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 “비정규직 시간제를 정규직으로 채용하니 책임감 높아져 생산성 향상”
전국적 조직망을 갖춘 전문세탁서비스기업인 A사는 일찍부터 30~50대 주부 근로자를 비정규직 시간제로 채용했다.

그러나 정규직보다 책임감이 다소 부족했는데 시범적으로 정규직 시간선택제를 채용해보니 정규직이라는 자부심으로 책임감 있게 업무를 수행했다. 이에 A사는 정규직 시간선택제를 점차 늘리게 되었다. 정규직 시간선택제는 근로조건 만족도가 높고 정규직이라는 자부심으로 생산성이 향상돼 앞으로도 채용을 늘려갈 예정이다.

#2. “시간선택제 일자리 도입하니 직원 만족도 높아지고 퇴사율 감소”
종업원수 약 600명인 경북 소재 식품제조업체 B사는 여직원들이 육아를 이유로 퇴사하는 경우가 많아지자 근로자가 일과 육아를 병행할 수 있도록 시간선택제를 도입했다. 시간선택제 도입으로 회사는 직원을 더 뽑아야 하고 통근버스 운행 횟수를 늘려야 하는 등 관리비용이 다소 증가했다.

그러나 직원 만족도가 높아져 퇴사하는 근로자가 줄어들었고 신규근로자 채용에 따르는 채용비용 및 교육비용이 줄어드는 등 전반적인 비용은 오히려 절감됐다. 결혼과 출산을 앞둔 다른 직원들도 언제든지 시간선택제를 활용할 수 있어 회사에 대한 애정이 높아졌다.
시간선택제 일자리를 도입한 기업 10곳 중 7곳이 인력난 해소, 생산성 향상 등의 효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박용만)는 최근 시간선택제 일자리를 도입하고 있는 기업 72개사를 대상으로 시간선택제 일자리 활용에 대한 효과를 물은 결과, 응답기업의 75.0%가 ‘시간선택제 일자리를 활용해 피크타임 인력난 해소, 생산성 향상, 근로자 만족도 제고 등의 효과를 거뒀다’고 답했다. ‘별다른 효과가 없다’는 기업은 25.0%에 그쳤다.

기업규모별로는 대기업(77.8%)과 중소기업(73.3%) 모두 70%가 넘는 기업이 시간선택제 일자리에 만족감을 나타냈으며, 업종별로는 서비스업(79.2%)이 제조업(65.2%)보다 효과를 본 기업이 많았다.

시간선택제 일자리는 교육·육아 등의 필요에 의해 근로자가 전일제 근로자(8시간)보다 짧은 시간을 근무하며 임금은 근무시간에 비례하여 받고, 최저임금·사회보험 등은 정규직과 동일하게 보장받는 일자리를 말한다. 정부는 고용률 70%를 달성하기 위해 시간선택제 일자리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제도를 도입한 기업에 인건비의 50%를 1년간 지원하고 있다.

대한상의는 “OECD에 따르면 2012년 기준 우리나라의 시간제 근로자는 10.2%에 불과하지만 네덜란드(37.8%), 영국(24.9%), 일본(20.5%) 등 주요국에서는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며 ”전형적인 남성부양자(male breadwinner) 모델 국가로 낮은 여성고용률과 장시간근로를 해결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는 우리나라로서는 시간선택제 일자리가 해결책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시간선택제 일자리를 도입한 기업들은 그 이유로 ‘피크타임 업무 분산’(50.5%)를 가장 많이 꼽은 가운데 ‘장시간 근로 단축‘(19.4%), ‘신규 시간제직무 개발’(10.7%), ‘고령층 숙련근로자 활용’(8.7%), ’여성의 일‧가정 양립 지원‘(6.8%) 등을 차례로 꼽았다.

또한 이들 기업에서 일하고 있는 시간선택제 근로자들의 주당 근로시간은 ‘25시간 미만’(49.1%)이 가장 많았고, ‘30시간 이하’(35.6%), ‘30시간 초과’(15.3%) 순으로 조사돼 시간선택제가 근로자의 일·가정 양립부담 완화에 도움을 줄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선택제 未도입기업 “향후 도입 의사있어`” 25% 그쳐 ... ‘적합직무 없음’(44%), ‘업무연속성 저하’(36%) 우려

시간선택제가 보다 확산되기 위해서는 정부의 정책적 노력과 함께 기업의 의식변화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대한상의가 시간선택제 일자리를 도입하지 않은 기업 197개사에게 향후 시간선택제를 도입할 의향이 있는지를 묻자 25.4%만이 ‘도입을 검토하겠다’고 답했고, 74.6%의 기업은 ‘도입할 의향이 없다’고 답했다.

조원영  jwycp@hanmail.net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