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최저임금, OECD 1위 '사실상 세계 1위'....'주휴수당' 포함시 1만30원, '미국·일본 보다 높아'
상태바
한국 최저임금, OECD 1위 '사실상 세계 1위'....'주휴수당' 포함시 1만30원, '미국·일본 보다 높아'
  • 박근우 기자
  • 승인 2019.05.04 15:58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주휴수당·4대 보험·퇴직급여 포함한 인건비는 '11,834원'...최저임금 8,350원 보다 41.7% 높아

올해 우리나라 최저임금 수준이 주휴수당을 포함하면 시간당 1만원을 초과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1위라는 분석이 나왔다. 

OECD가 세계 선진국들의 모임이라는 점에서 사실상 한국이 '최저임금 세계 1위국가'인 셈이다. 

경영계는 대내외적 경영환경이 악화되는 상황에서 최저임금 산정기준에 '기업의 지불능력'을 반영해야 경영리스크를 줄일 수 있다는 목소리가 커진다. 

올해 2019년 고용노동부가 고시한 최저임금은 8,350원이다. 

하지만 주 15시간 이상 근무할 경우 주휴수당을 포함한 실제 최저임금은 10,030원이다.

4일 한국경제연구원 분석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최저임금 8,350원을 기준으로 하면 국민총소득(1인당 GNI) 대비 최저임금은 한국이 OECD 27개국 중 7위지만 주휴수당을 포함하면 1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한국은 최근 2년간 최저임금을 29.1% 올렸는데, 이는 국내총생산(1인당GDP) 3만불 이상 OECD 국가 중 가장 높은 인상률이었다.

국민소득 고려한 최저임금, 한국 OECD 7위 → 주휴수당 포함 시 '1위'

한국이 주휴수당 포함시 최저임금 1위 국가다.

한경연은 우리나라의 최저임금 수준을 살펴보기 위해 OECD 27개국을 대상으로 1인당 국민총소득(GNI per capita, 2017년) 대비 최저임금을 비교했다.

OECD 국가들은 국가 간 소득 편차가 크기 때문에 한 국가의 최저임금 수준을 파악하려면 소득 수준과 최저임금을 상대 비교할 필요가 있다.

그 결과, 한국의 최저임금은 고시 최저임금인 8,350원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 공동 7위에 해당했다.

OECD 36개국 중 최저임금제 없는 8개국(노르웨이, 덴마크, 스웨덴, 스위스,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핀란드, 아이슬란드) 및 시급 환산기준을 확보하지 못한 칠레(월급 기준으로 공표) 제외했다.

하지만 주휴수당을 포함한 10,030원을 기준으로 하면 한국의 소득 대비 최저임금은 1위로 가장 높았다.

주요 선진국들의 경우 프랑스 4위, 영국 6위, 독일 11위, 일본 19위 등으로 나타났다.

최근 2년 간 최저임금 인상률, GDP 3만불 이상 국가 중 한국이 가장 높아

한국이 3만불 이상 국가 중 최저임금 인상률이 가장 높다.

한국의 최저임금은 2017년 6,470원에서 2019년 8,350원으로 최근 2년간 29.1% 올랐다.

이는 1인당 국내총생산(GDP per capita, 2018년)이 3만불을 넘는 OECD 선진국 중 가장 높은 인상률인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 독일, 프랑스, 일본 등 주요 선진국은 인상률이 한 자리 수에 그쳤고, 미국*의 경우 연방 최저임금이 2009년 이후 동결된 상태였다. 1인당 GDP가 3만불 이상인 15개국의 평균 인상률은 한국의 3분의 1 수준에도 못 미치는 8.9%였다.

1인당 국민소득이 3만불 아래인 OECD 국가 중에서도 한국보다 인상률이 높은 국가는 터키(43.9%)와 리투아니아(46.1%) 뿐이었다.

미국의 최저임금은 주별로 다르나, 여기서는 연방법인 공정노동기준법 기준을 따랐다.

일본은 한국과 최저임금 목표(1만원) 같으나 3%대 신중한 인상

한국과 일본 최저임금 인상 추이

한국이 이렇게 최저임금을 최근 들어 급격히 인상한 배경은 2017년 당시 ‘2020년 최저임금 1만원’ 대선 공약 때문이다.

반면 일본 아베총리도 한국과 동일하게 최저임금 전국평균 1,000엔(약 10,085원)을 달성한다는 목표를 수립(2017년 3월)했으나, 한국과 달리 급격한 인상은 없었다.

애초에 연간 약 3% 인상을 목표로 경제성장률을 고려하여 목표금액을 달성하겠다는 계획을 세웠기 때문이다.

실제 2018년 일본은 최저임금을 3.0% 인상했으며, 2002년 이후 최대 인상폭이라는 2019년에도 3.1% 인상에 그쳤다.

그 결과, 일본과 한국의 최저임금 차이는 2017년 1,830원에서 2019년 576원으로 감소했다. 일본에 주휴수당에 대한 규정이 없다는 점을 감안할 경우에는 2018년부터 한국의 최저임금이 일본보다 높았다.

또한 일본은 최저임금을 결정할 때 ‘근로자 생계비’, ‘유사근로자 임금’ 외에 기업들의 부가가치액, 경상이익 등의 자료를 기초로 ‘통상 사업의 임금 지불능력’도 반영하고 있어 근로자뿐만 아니라 임금을 부담하는 주체의 상황도 함께 고려하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 최저임금법은 기업 지불능력을 결정기준에 포함하지 않고 있다.

작년에 고용노동부에서 최저임금 결정체계 개편을 논의할 때 초안에는 기업 지불능력을 포함했지만 결국 제외된 채로 국회에 발의되어 계류 중인 상황이다.

최저임금법 일부개정안은 지난 2월 27일, 신창현 의원이 대표 발의했다. 

주휴수당 받는 근로자의 4대보험‧퇴직급여 포함 법정 인건비는 '1만 1,834원'

고용노동부에서 고시한 올해 우리나라 최저임금은 8,350원이다. 여기에 근로기준법과 개정 최저임금법 시행령에 따라 사업주는 주 15시간 이상 일한 근로자에게 1주일에 1일분(8시간)의 주휴수당을 의무적으로 지급해야 한다.

주휴수당을 받는 근로자의 사실상 최저임금은 시급 10,030원으로 올해 처음으로 1만원을 초과했다.

주 15시간 이상 근무자에게 1주 1회 이상의 유급휴일을 부여하는데 이때 지급하는 수당이 주휴수당이다. 주 15시간 이상 근로하면 시간에 비례해 지급한다. 

주휴수당을 포함한 최저임금이 10,030원인 상황에서 사업주는 주 15시간 이상 근무한 근로자에 대해 4대 보험료를 추가로 부담한다.

소상공인연합회는 최저임금법 시행령 개정안 철회를 요구했다.

또한 근로자가 1년 이상 근무할 경우에는 퇴직급여를 적립해야 한다.

4대 보험료와 퇴직급여를 시간당 금액으로 환산하면 각각 968원, 836원이다.

결국 최저임금을 받는 근로자 1인을 고용할 때 사업주가 부담하는 법정 인건비는 최저임금과 주휴수당, 4대 보험료와 퇴직금여를 모두 합산한 시간당 11,834원이다.

이는 고시 최저임금 8,350원보다 41.7% 가량 높은 금액이다.

추광호 한국경제연구원 일자리전략 실장은 “주휴수당을 포함한 최저임금이 1만원을 넘어 부담이 가중되고 있고, 국민총소득 대비 최저임금이 OECD 중 가장 높다”면서 “일본은 기업과 경제에 미칠 영향을 고려하여 최저임금을 결정하고 있다는 점을 참고하여, 최저임금 결정기준에 기업의 지불능력을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박근우 기자  lycaon@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11 2019-05-08 13:21:30
이러네 저러네 해도 결국 한국의 연간근로시간 2113시간 평균월임금2273 시간당 12.9달러 미국 근로시간 1674시간 평균월임금 3267시간당 23.4달러 일본1719근로2463수령 시간당 17.2달러 주휴 포함해도 한국이 일본이나 미국보다 많이 받는거 아님 알겠니? 그런걸 올려야지 무슨 단순 최저임금 다들 최저임금받고 일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