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자원공사, 아시아 첫 워터본드 발행..친환경금융 다시주목
상태바
수자원공사, 아시아 첫 워터본드 발행..친환경금융 다시주목
  • 황동현 기자
  • 승인 2018.05.15 09:4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남북긴장 완화, 한국채권에 대한 투자심리 개선과 금리인하에 영향

한국수자원공사(K-water)가 남북정상회담 이후 첫 해외채권 발행에 성공하며 친환경금융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K-water는 지난 8일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3억달러(한화 3200억 원 상당)의 워터본드 발행에 성공했다고 11일 밝혔다. 워터본드란 친환경 프로젝트에 투자할 자금 마련을 목적으로 발행하는 '그린본드(녹색채권)'의 일종으로 물 관련 투자에만 사용할 수 있다.

<한국수자원공사>

최근 금융시장에서 사회책임투자(SRI)가 강조되면서 그린본드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그린본드 발행에는 국제공인기관의 적격성 검증 등 일반채권보다 엄격한 기준이 적용된다. 

이번에 K-water의 워터본드 발행에는 161개 기관에서 목표의 6배 수준인 18억 달러 이상의 투자 주문이 들어왔고 K-water는 최종적으로 3억 달러의 달러화 채권을 발행했다.

특히 미 금리인상과 미·중 무역 분쟁 등으로 인해 투자심리가 크게 위축된 상황이지만 투자주문이 발행 목표액을 크게 넘으면서 당초 K-water가 제시한 금리보다 0.25% 포인트 낮은 3.875%로 최종 금리가 결정됐다.

이번 발행은 남북 정상회담 이후 국내기업의 첫 해외채권 발행으로, 남북긴장 완화가 한국채권에 대한 투자심리 개선과 금리인하에 기여했고, 아시아 최초의 워터본드 발행이면서 금융 공기업을 제외한 국내 공기업 최초 그린본드 발행이란 점도 투자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K-water는 설명했다. 

K-water는 이번에 확보한 자금을 물 부족지역 용수공급과 노후수도관 개량, 청정에너지 개발 등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한 다양한 물 관련 사업에 사용할 방침이다. K-water 이학수 사장은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K-water의 우수한 신용도를 인정받은 것이라 생각한다. 투자자들의 신뢰와 기대에 보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수자원공사의 워터본드는 남북정상회담 이전부터 워터본드 발행을 추진해 왔으나 기재부 허가를 받지 못해 계속 미뤄져 왔다.

수자원공사의 워터본드는 아시아 시장에서 최초로 시도되는 채권이다. 그린본드(Green-bond) 중에서 깨끗한 물 공급과 관련된 투자를 집행할 수 있는 채권이 워터본드다. 수자원공사와 겹치는 사업 영역이 많아 워터본드 발행에 가장 최적화된 발행사로 꼽힌다.

앞서, 수출입은행은 대만 포모사본드 시장에서 그린본드(Greenbond)를 발행해 4억 달러를 조달한 바있다. 한국물(Korean Paper·KP) 시장에서는 최초로 성사된 포모사 그린본드다. 가산금리는 90bp다. 수출입은행은 환경 개선 및 신재생 에너지 프로젝트 등에 투자할 예정이다.

올해들어 전세계 그린본드 발행이 크게 늘었다. 특히 아시아금융의 중심지인 홍콩이 역대 최대규모의 소버린(정부) 그린본드 프로그램을 발표했다.

폴란드(10억 유로), 인도네시아(12억 5000만 달러), 벨기에(45억 유로)에 이어 홍콩(128억 달러)이 그린본드 프로그램을 발표한 것이다. 그동안 선진국에 몰렸던 발행 국가가 이제는 아시아로 확산한 것이다. 2016년 말 폴란드가 첫 소버린 그린본드를 발행한 이후 2017년 프랑스, 피지, 나이지리아에서 발행했으며 2018년 폴란드, 인도네시아, 벨기에로 확대됐다.

발행액도 최근 몇년 급격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올해 그린본드 총 발행액은 2015년 459억달러에서 2016년 950억달러로 2배 이상 늘었다. 2017년에는 1,546억달러를 기록, 또다시 1.6배의 성장세를 기록했다. 이처럼 그린본드 발행이 기지개를 켜는 것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s)를 달성하기 위해서 2020년까지 그린본드 시장이 무려 1조 달러 까지 늘어나야 하기 때문이다. 

국제금융센터는 향후 선진국은 물론 신흥 아시아 국가들의 소버린 그린본드 발행이 증가하고, 특히 동남아 국가들의 발행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황동현 기자  financial@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