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 신재생에너지 확대정책에 기대...태양광 6배·풍력 15배 커져 업계 '수혜'
상태바
재계, 신재생에너지 확대정책에 기대...태양광 6배·풍력 15배 커져 업계 '수혜'
  • 한익재 기자
  • 승인 2017.12.20 15: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탈원전’ 문재인 정부 2030년까지 110조원 규모 재생에너지 설비 확충 계획 발표

정부가 오는 2030년까지 총 110조원을 투입해 태양광 풍력 발전 설비를 건설, 발전량 비중을 20% 수준까지 확대하겠다는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안을 발표하면서 신재생에너지 업계에 화색이 돌고 있다.

내수시장이 작아 수출위주의 사업전략을 세울 수밖에 없었던 태양광‧풍력 업계는 정부 정책에 힘입어 내수 사업을 확대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태양광과 풍력 발전 비중이 현재보다 8배 이상 커질 전망이기 때문이다.

신규 설비는 태양광이 63%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풍력이 34% 수준이다. 이 비율을 단순 적용하면 전체 110조원 중 69조 3000억원이 태양광에 투여될 것으로 추정된다.
 
70조 원대 블루오션시장이 열리는 만큼 국내 태양광 업계의 기대가 크다. 태양광업계는 그간 수익성 악화로 고전해왔다.

태양광 발전은 크게 폴리실리콘(원료 가공)→잉곳(원기둥)→웨이퍼(원판)→셀(태양 전지)→모듈(전지 집약체)→발전소 개발로 이어진다.

현재 국내에서는 한화케미칼과 OCI가 폴리실리콘을 생산하고 있으며, 잉곳과 웨이퍼는 웅진에너지와 넥솔론 등이 주요 생산업체다. 전지와 모듈은 한화큐셀, 신성이엔지 등이 만들고 이외에 다수의 설치 및 시공 업체들도 있다.

현재 국내 태양광 설치량은 연간 1GW 수준에도 못 미치는 상황이다. 이 때문에 대부분의 태양광업체들은 내수시장 보다는 해외 수출 위주로 사업 전략을 꾸려왔다.

한화큐셀은 미국 매출 비중이 30%에 달하고, OCI도 세계 최대 태양광 시장인 중국 사업 비중이 가장 높다. 특히 최근에는 중국의 반덤핑 관세, 미국의 세이프가드 등 글로벌 보호무역주의로 인해 불안감이 높아지기도 했다.

향후 내수시장이 크게 확대되면 대외변수에 영향을 덜 받으면서 안정적으로 사업을 꾸려갈 수 있다.

태양광 업계에서 최대 수혜자는 한화그룹이 될 것으로 보인다. 한화는 이번 정부 들어 태양광사업에 더 공을 들이고 있어 기대감도 높다.

한화 김승연 회장은 지난 10여년 동안 태양광 시장의 부침이 극심했음에도 불구하고 초지일관 한화를 세계 1위의 태양광기업으로 키우겠다는 입장을 고수해왔다.

한화그룹은 지난 6월 태양광발전 개발·운영 사업을 하는 한화솔라파워를 신규 설립하며 국내 태양광사업의 역할 분담을 더 세분화했다. 이어 지난달에는 해외 발전사업을 전담하는 한화솔라파워글로벌도 설립했다.

한화는 수직계열화 등을 통해 태양광 사업의 체계화를 지속해왔다. 한화의 태양광 계열사들은 한화케미칼·한화에너지-한화종합화학-한화큐셀코리아·한화솔라파워- 한반도·영암테크노·영암해오름·하이패스·해사랑태양광 등이다.

태양광 발전소 건설뿐만 아니라 향후 운영에서도 한화그룹의 역할이 주목된다. 한화종합화학이 지난 6월 설립한 자회사인 한화솔라파워가 그 주인공이다. 이 회사의 아이템은 국내에서 태양광발전소를 운영하고 개발하는 사업이다.
 
한화 관계자는 "정부 정책에 맞춰 최대한의 시너지를 낼 수 있도록 태양광사업을 진행하고 있다"며 "아직 성장단계지만 분위기가 긍정적"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시작하는 단계인 만큼 적극적으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풍력발전의 확대로 당장 수혜가 예상되는 기업은 두산중공업, 유니슨, 효성중공업, 한진산업 등 풍력발전기 제조사들이다.

두산중공업은 지난해 국내 풍력시스템 신규 설치용량 200.1MW 가운데 점유율 78MW(38.8%)을 기록,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유니슨이 26.85MW(13.3%)로 2위, 효성중공업은 20MW(9.9%)로 3위를 각각 기록했다. 한진산업은 지난해 공급실적이 없었다.

특히 두산중공업은 지난해 상업가동에 들어간 우리나라 최초의 해상풍력 탐라해상풍력 외에도 올해 상반기 서남해 해상풍력 실증단지에 터빈을 공급하는 등 국내 기업 중 유일하게 해상풍력 관련 기술을 확보하고 있다.

정부가 풍력발전소는 환경 문제를 고려해 주로 해상에 짓겠다고 한 만큼 두산중공업이 더 많은 사업기회를 확보할 것으로 예상된다.

두산중공업 관계자는 "정부 계획에 발맞춰 경영전략을 검토해 재생에너지 사업을 확대하는데 적극 나설 예정"이라고 밝혔다.

SK디앤디, GS E&R 등 풍력발전소 개발·운영사들도 수혜 가능성이 높다.

SK가스의 자회사인 SK디앤디는 국내에서 총 90.6MW 규모의 풍력발전소를 운영하고 있다. 강원풍력(98MW)에 이어 국내 2위다. 특히 10년 안에 총 500MW 이상의 용량을 확보한다는 공격적인 사업계획을 발표한 상태여서 정책에 기대감이 높다.

GS의 자회사인 GS E&R 역시 2021년까지 국내에서 450MW 규모로 풍력사업을 확대하기로 발표했다.

국내 신재생에너지 업계는 시장이 넓어져 관련 기업들에 기회가 많아질 것이라고 기대감을 드러내면서도, 해외 업체들의 진출도 눈여겨봐야 한다고 지적한다.

한 태양광업체 관계자는 "국내 시장이 확보되면 국내업체들에게 기회가 많아져 호재인 것은 분명하다"면서도 "다만 외국 업체들이 들어올 문도 넓어지기 때문에 국내 업체들에 좀 더 유리한 환경이 조성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 역시 "태양광 부자재 업체들이 최근 한국시장이 커질 것으로 예상해 법인을 만드는 작업을 진행 중인 걸로 안다"며 "어쨌든 국내 업체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건 맞으니 정부가 추진력 있게 진행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신재생에너지업계는 더욱 확실한 규제개혁과 세제 혜택 등을 주문했다. 발전소에서 소비자에게 전력이 전달되는 계통문제는 업계에서도 우려가 적지 않았다.

에너지업계 관계자는 “미국에서는 투자세액공제(ITC)가 20%에 달하지만, 발표된 지금 이행계획은 세금감면이 1%로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세금감면을 더 해준다면 민간 참여가 더 활발해 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한 에너지 회사 관계자도 “방향성에는 찬성하지만 정부부처는 물론 지자체 등에서 규제가 적지 않은데 정부의 이행계획에는 규제 완화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이 보이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한 발전사 관계자는 재생에너지 산업 활성화에 핵심요소로 꼽히는 계통문제와 관련, “변전소 인프라가 부족한 상황에서 승인 업무를 담당하는 한전이 기술적으로나 행정적으로 잘 받아들일 수 있는지 우려가 없지 않다”고 말했다.

한 태양광 투자업체 관계자도 “정부의 재원은 설비투자에 대해서만 밝히고 있는데, 재생에너지시설을 운용하면서 사업자로부터 정부가 매입하는 발전단가는 기존의 타 에너지원 발전단가보다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정부가 인센티브(보조금 등)를 제공해야 할 텐데 이에 대한 예산 규모는 밝히지 않아 사업투자 등이 부담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익재 기자  lycaon@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