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조선업 지난해 세계 발주량의 43% 수주...'18년 이후 2년 만에 1위 재탈환
상태바
한국 조선업 지난해 세계 발주량의 43% 수주...'18년 이후 2년 만에 1위 재탈환
  • 김국헌 기자
  • 승인 2021.01.12 09:1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세계 발주량 감소 속 LNG운반선, VLCC 等 주력선 효자 효과
- '21년 친환경 선박으로의 교체 수요 중심 발주 증가 전망

영국의 조선해운시황 분석업체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한국이 2020년 전 세계 선박 발주량 1,924만CGT(738척) 중 819만CGT(187척, 43%)를 수주하며 중국을 제치고 1위를 차지했다. 이는 2018년 이후 2년 만에 다시 1위 자리에 복귀한 것이다. 

한국은 하반기부터 주력 선종인 LNG운반선 등을 본격 수주하며 중국과의 격차를 점차 좁혀 나가다가 11~12월 두 달간 전체 수주량의 절반 이상인 411만CGT를 수주하며 중국에 역전했다.

한국은 2020년 발주된 대형 LNG운반선(140천㎥ 이상) 49척 중 36척(73%), VLCC 41척 중 35척(85%), S-Max급 원유운반선 28척 중 18척(64%)을 수주하며 주력 선종에서 높은 경쟁력을 보였다.

2020년 글로벌 누계 발주량은 1,924만CGT로 전년 2,910만CGT의 66% 수준으로 감소했지만 한국의 점유율(43%)은 최근 10년來 가장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12월 말 기준 수주잔량은 연말 수주량 증가에 힘입어 전월 대비 3% 반등했다. 

한편, 클락슨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선복량 대비 수주잔량이 1980년대 이후 최저 수준인 7%에 불과한 데다, IMO 규제에 따른 친환경 선박으로의 교체 수요로 올해 발주량은 지난해보다 24%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12월 한 달간 전 세계 선박 발주량은 392만CGT(86척)를 기록했으며, 국가별 수주량은 한국 285만CGT(42척, 73%), 중국 101만CGT(39척, 26%), 크로아티아 3만CGT(1척, 1%) 순이다. 

2020년 국가별 누계 수주 실적은 한국 819만CGT(187척, 43%), 중국 793만CGT(353척, 41%), 일본 137만CGT(86척, 7%) 순이다. 

최근 3년간 누계 선박 발주량은 '18년 3,510만CGT → '19년 2,910만CGT(17%↓) → '20년 1,924만CGT(34%↓)를 기록했다. 

선종별로 살펴보면, 2019년 대비 컨테이너선(12천TEU급 이상), 초대형 유조선(VLCC)은 발주량이 증가했고 대형 LNG선(140천㎥ 이상)은 전년 수준을 유지한 반면, S-Max급, A-Max급 유조선, 벌크선은 감소했다. 

12월 말 전 세계 수주잔량은 11월 말 대비 207만CGT(3%↑) 증가한 7,085만CGT를 기록함. 국가별로는 중국(19만CGT, 1%↑)은 소폭 증가, 일본(△30만CGT, 3%↓)은 감소한 반면, 한국(250만CGT, 13%↑)은 LNG선 대량 수주에 힘입어 수주잔량이 3개월 연속 증가하며 전체 증가세를 견인했다. 

전년 동기와 비교하면 일본(△484만CGT, 37%↓), 중국(△325만CGT, 11%↓)은 수주잔량이 큰 폭으로 줄어든 반면, 한국(△109만CGT, 5%↓)은 상대적으로 소폭 감소했다. 

국가별 수주잔량은 중국 2,544만CGT(36%)에 이어 한국 2,216만CGT(31%), 일본 829만CGT(12%) 순이다. 

12월 클락슨 신조선가지수(Newbuilding Price Index)는 지난달보다 1포인트 반등한 126포인트를 기록했다. 연초 기록 130포인트와 대비하면 4포인트 하락했다. 

선종별 선가 추이를 살펴보면, 2020년 초 대비 초대형 유조선(VLCC)은 9,200만 달러 → 8,500만 달러, S-max 유조선 6,150만 달러 → 5,600만 달러, A-max 유조선 4,850만 달러, → 4,600만 달러, 컨테이너선(13,000~14,000TEU)은 1억 900만 달러 → 1억 200만 달러로 하락한 반면, LNG선(174천㎥)은 1억 8,600만 달러로 동일했다. 
 

 

김국헌 기자  lycaon@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