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금융, 첫 자사주 소각에 화답한 주가 ‘닷새째 상승’...1위 신한 '맹추격'
상태바
KB금융, 첫 자사주 소각에 화답한 주가 ‘닷새째 상승’...1위 신한 '맹추격'
  • 이석호 기자
  • 승인 2019.12.11 03: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은행지주 사상 첫 자사주 소각...주주환원 정책에 주가 연일 상승 '산타랠리 中'
- 은행주, 실적 대비 역사적 최저점 ‘저평가’...주주친화 행보에 증권가 호평 이어져
윤종규 KB금융그룹 회장 [사진=KB금융그룹]
윤종규 KB금융그룹 회장 [사진=KB금융그룹]

 

KB금융이 은행지주 사상 첫 자사주 소각에 나서자 증시에서 즉각 화답하며 주가가 연일 고공 행진 중이다. 은행주가 그간 실적 대비 부진했던 가운데 연말 ‘나홀로 산타 랠리’를 기대하게 하고 있다.

▲은행지주 사상 첫 자사주 소각...주주환원 정책에 주가 연일 상승 '산타랠리 中'

KB금융은 지난 6일 이사회에서 보유 중인 자기주식의 8.1%(약 230만 주)를 소각하기로 결정하자 주가가 최근 닷새째 오름세를 이어가며 연중 전 고점을 향해 바짝 다가서고 있다.

이번 소각 규모는 1000억 원 가량으로 크지 않지만 KB금융 경영진의 이 같은 결정이 증시에서는 적극적인 주주환원정책의 신호탄으로 받아들여져 주가 상승에 파란 불이 켜진 상태다.

지난 10일 증시에서도 KB금융 주가는 0.52% 오른 4만 8300원으로 장을 마쳐 5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시가총액도 올해 2월 초 이후로 거의 10개월 만에 20조 원을 넘어서며 1위를 수성하고 있는 신한지주와 차이를 7000억 원 정도까지 좁혀가고 있다.

올해 은행주는 사상 최대 이익을 거두고 있는 실적 중심 장세에서 벗어나 주가순자산비율(PBR) 하락세가 지속되면서 고배당 매력에도 주가가 역사상 최저점 수준을 맴돌았다.

대외적으로는 미·중 무역 분쟁이 장기화되면서 글로벌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국내 경제는 저성장 사이클에 접어든 채 아직 바닥권에서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어 경기 회복 속도가 더디게 나타나고 있다.

이에 사상 최저 금리 수준이 계속되고 내년에도 금리 인하 기조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면서 은행권 순이자마진(NIM) 하락 전망에 주가도 부정적으로 움직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게다가 은행권의 ‘파생결합펀드(DLF) 사태’ 여파로 금융당국이 고위험 금융상품 투자자보호 강화 조치를 내리며 신탁 판매 불가 입장까지 내비쳐 은행들의 수수료수입 감소도 우려되는 상황이다.

 

자료=키움증권
자료=키움증권

 

▲은행주, 실적 대비 역사적 최저점 ‘저평가’...주주친화 행보에 증권가 호평 이어져

KB금융의 이번 자사주 소각 결정이 일회성 이벤트가 아니라 향후 정책적으로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에 힘이 실리면서 증권가에서도 목표주가를 상향하는 보고서를 쏟아내며 칭찬 일색이다.

서영수 키움증권 연구원은 “KB금융은 타사와 달리 보수적인 여신관리를 해온 데다 업계 최고의 자본비율을 유지해 정부의 정책 기조에도 양호한 주가 수익률을 시현할 것”이라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한편, KB금융의 이 같은 주주친화적 행보가 다른 금융지주들에게도 영향을 미칠지에 시장의 이목이 쏠려 있다.

은행의 자사주 소각은 금융당국의 승인 없이는 불가능한 사안으로 일각에서는 이번 KB금융의 선제적인 조치가 은행권 자사주 소각에 대한 금융당국 정책의 전향적인 변화로 읽을 수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신한지주는 지난달 오렌지라이프 잔여 지분 인수를 발표하면서 내년 자사주 소각 계획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하나금융도 지난 6월 3000억 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을 진행했다.

하지만 이번 이슈가 향후 은행권의 자사주 소각 확대로 이어질지에 대한 과도한 해석을 경계하며 일부 은행지주들에 국한된 상황으로 판단에 신중해야 한다는 입장도 있다.

김수현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이번 자사주 소각이 감독 당국의 전향적인 정책 변화인지의 여부는 좀 더 확인이 필요하다. KB금융과 신한지주 모두 자회사 M&A 과정에서 유상증자를 통해 시장으로부터의 자본 확충이 있었기 때문”이라며 “만약 확충된 자본 범위 안에서 자사주 소각이라는 전제 조건이 있었다면 향후 자사주 소각 규모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고, 타행으로 확산되기도 힘들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석호 기자  financial@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