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 대안’ 가스냉방 늘리려면… 정책지원금 2배 높여야
상태바
‘전력 대안’ 가스냉방 늘리려면… 정책지원금 2배 높여야
  • 서창완 기자
  • 승인 2019.10.11 16:3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력 대체효과·에너지 절감 등 투자 대비 효과 뛰어나
정부 장려 정책에도 보금률 제자리걸음… 설치장려금 2배로 높여야
한국가스공사는 가스냉방 지원사업을 펼치고 있다. 사진은 한국가스공사 전경.
한국가스공사는 가스냉방 지원사업을 펼치고 있다. 사진은 한국가스공사 전경.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 기온 현상이 잦아지면서 가스냉방이 주목받고 있다. 전력 대체효과와 에너지 절감 등 투자 대비 효과가 뛰어나다는 평가 때문이다. 국내에서도 이런 효과에 따라 2013년부터 본격적으로 장려 정책을 펼치고 있다.

다만, 신규 보급이 잘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지난해에 이어 올해 국정감사에서도 나왔다. 전문가들은 사용자 입장에서 가스냉방의 동기부여를 불러일으킬 정부지원금 확대 등 대책이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전기냉방 기기보다 비싼 초기투자 비용만 잡아도 확대를 꾀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해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산자위) 국감 지정사항을 받아들여 지난 5월부터 ‘가스냉방 가동률 제고 와 보급 확대방안 연구’ 용역을 진행하고 있다. 한국가스공사와 한국에너지공단이 공동발주해 오는 11월까지 진행된다. 여기서 나온 결과를 바탕으로 가스냉방 보급에 대한 중·장기 정책플랜을 수립하겠다는 계획이다.

가스냉방은 1차 에너지인 가스를 연소해 발생한 열에너지를 사용해 압축기를 가동하거나 냉매를 재생하는 원리다. 전기 대신 가스를 열원으로 활용해 난방 효과도 뛰어나다. 가스냉방은 냉방을 위한 압축기를 가스 엔진을 사용해 구동하는 가스히트펌프(GHP) 방식과 물을 냉매로 작동하는 흡수식으로 나뉜다.

가스냉난방은 냉난방 전력수요를 가스로 대체해 전력피크를 완화한다는 장점이 있다. 에너지원 다양화 효과도 있어 에너지전환 정책에 중요한 열쇠라는 기대감도 더해진다. 국내 냉방용 전력 소비량 비율은 2008년 약 20.9%에서 2016년 약 27.4%로 증가했다. 지난해 7월 전력예비율이 7.7%를 기록해 전국 곳곳에 대규모 정전이 속출한 데 이어 지난 8월에는 그보다 낮은 6.7%를 나타냈다.

강용태 고려대 기계공학과 교수는 “국내 여름 최대 전력 소비량이 매년 증가하는 추세인데, 발전소 증설과 기저설비 확충만으로 피크 전력부하에 대한 부담을 해소하기 어렵다”며 “가스냉방은 전기냉방보다 1RT당 0.75kW의 전력 대체 효과를 보일 수 있는 만큼 정부의 에너지 전환 정책 측면에서도 적극 권장해야 한다”고 말했다. 1RT는 3.5kW 수준으로 약 10평을 냉방할 수 있는 냉방기기 용량이다.

효과가 입증됐다는 평가를 받는 가스냉방의 국내 보급률은 전력 대체 효과로 추정했을 때 5~10% 정도다. 2010년 12.8%이던 전력대체효과가 2015년에는 오히려 7.7%로 감소했다. 전체냉방부하가 꾸준히 증가하는 속도를 따라가지 못한 측면이 크다. 전문가들은 이 수치를 20% 정도로 높이면 비용절감과 에너지관리 효과를 볼 수 있을 거라고 예측한다.

정시영 서강대학교 기계공학과 교수는 ‘전력부하 완화와 가스냉방 확대방안’ 자료에서 가스냉방 전력 대체율을 9.3% 수준에서 20%로 높였을 때 약 2000MW 규모의 복합발전 건설 규모를 감당할 수 있다고 봤다. 전기 펌프 방식이 1차 에너지를 사용해 발전한 뒤 생기는 2차 에너지인 점을 따져보면 가스냉방이 에너지 공급 시점에서 낭비가 없는 점도 장점으로 꼽았다.

일본은 가스냉방에서 우리보다 한발 앞서 있다. 일본가스협회 자료를 보면 지난 2015년 3월 기준 1279만8000RT가 보급돼 있다. 반면 국내는 지난 2016년 9월 기준 설치용량이 432만617RT이다. 한국도시가스협회의 지난해 12월 말 기준 보급현황 자료를 보면 수치가 총 427만3600RT로 오히려 용량이 줄어들었다. 일본의 3분의 1 수준이다.

국내 가스냉방 확대가 더딘 이유로 강용태 교수는 설치장려금이 부족한 점을 꼽았다. 2011년부터 2016년까지 설치 장려금은 50억 원에서 75억 원까지 증가했는데, 대부분 조기 소진됐다. 2017년부터는 70억 원에서 올해 67억 원까지 감소했다. 2016~2018년에는 2013~2015년 편성됐던 추경예산도 편성되지 않았다.

강 교수는 “설치장려금 예산 규모가 현행 2배 수준인 130~150억 원 정도로 올라야 안정적 공급이 가능하다”며 “이를 통한 가격 경쟁력 확보와 시장 점유율 확대 정책을 펼치면서 가스가 질적으로 우수하고 저렴한 에너지원이라는 홍보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서창완 기자  science@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