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들 72,9%," 현재 공시제도 복잡하다"
상태바
기업들 72,9%," 현재 공시제도 복잡하다"
  • 조원영
  • 승인 2014.10.07 09: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업들은 72.9%가 현 공시제도에 대해 복잡하다고 느끼고 있고, 투자자를 과잉보호한다는 의견도 절반이 넘는 것(50.09%)으로 나타났다.

전경련은 거래소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상장회사 공시제도 현황과 개선과제’를 조사하였고, 개선과제를 거래소, 금융감독원 등 공시제도 관련 기관에 건의했다고 밝혔다.

세부 항목별로 살펴보면, 공시제도의 난이도에 대하여 복잡하다는 의견이 72.9%(매우 복잡 7.5% + 다소 복잡 65.4%)로 적절하다는 의견(27.1%) 보다 훨씬 많았다. 예를 들어, 그룹내 계열사 A사와 B사가 거래를 할 때, 예상거래금액을 미리 공시하도록 하고 있다. 계열사간 거래는 상시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정확한 거래규모를 예측하기가 어려움에도 공시한 예상거래 금액이 이후 실거래 금액과 20% 이상 차이가 나면 신규로 다시 공시하도록 하고 있어 절차가 매우 번거롭고 복잡하다. 실제 계열사간 거래가 끝난 후 거래금액이 확정되면 그때 공시 하도록 규정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전경련은 주장했다.

현 공시제도가 투자자를 과잉보호한다는 의견이 50.9%(매우 과잉 2.8% + 다소 과잉 48.1%)로 적정(43.9%) 또는 부족하다는 의견(5.2%) 보다 높았다. 예를 들어, 지주회사의 자회사에 대한 연결사항 공시의 경우 채무증권 발행실적 등 일부사항은 과거 3개년 치를 모두 기재하도록 규정하고 있는데, 실제 투자자들은 연결재무제표를 통해 재무정보를 파악하고 있기 때문에 과도한 공시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現공시제도의 업종별 특성 반영정도에 대해서도 잘 반영하지 못한다는 의견(39.7%)인 것으로 나타났다.
 

 

CEO들은 공시업무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공시담당자의 공시업무 전담비율은 낮다.

 

CEO의 공시업무 중요성 인식정도에 대해, 중요하게 인식한다는 응답이 65.0%으로 나왔다. 그러나 실제 공시업무 전담정도에 대해서는, 그 외 업무와 동일비중 수행(45.8%)이 가장 높았으며, 심지어 그 외 업무를 주로하고 공시업무를 부수적으로 한다는 응답도 다수(34.1%)여서, 중요도 대비 공시업무 비중이 높지 않음을 나타냈다.

 

다수의 공시 담당자가 공시업무 수행에 부담(78.5%)을 느끼고 있으며, 공시 관련 제재규정이 과도(65.3%)하다고 느끼고 있다.

 

공시업무 수행에 부담을 느끼는 정도에 대해 다소 부담(57.0%) 또는 매우 부담(21.5%)된다는 응답이 보통(19.2%) 또는 용이(2.3%)하다는 응답보다 높아, 공시담당자들은 공시제도 자체의 문제(복잡, 중복, 과잉 등)나 업무겸직 등으로 공시업무에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시 관련 제재정도에 대해서도 과도(65.3%)하다는 응답이 적정(33.3%) 또는 부족(1.4%)하다는 응답보다 높았다.

조원영  jwycp@hanmail.net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