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 그룹중 18개 그룹, 올해 안전. 환경투자 늘린다
상태바
30대 그룹중 18개 그룹, 올해 안전. 환경투자 늘린다
  • 조원영
  • 승인 2014.09.21 09: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근 언전.환경문제의 관심 증가에 따른 선제 대응

전국경제연합회가 자산 상위 30대 그룹(‘14.4월 공정위 발표, 금융그룹 제외)을 대상으로 ‘2014년 안전·환경 투자계획’을 조사(조사기간: 8.20~9.5, 응답: 29개 그룹)한 결과, 18개 그룹(62.1%)이 올해 안전 및 환경 투자 규모를 지난해보다 늘릴 것으로 나타났다.

10개 그룹(34.5%)은 전년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응답했으며, 1개 그룹(3.4%)은 전년보다 감소할 것으로 답했다.

안전·환경 투자가 증가할 것으로 응답한 18개 그룹은 그 이유로, ‘최근 안전·환경 문제의 관심 증가에 따른 선제적 대응(14개 그룹, 77.8%)’을 가장 많이 들었으며, 다음으로 ‘연초 사업계획 및 경영전략에 따른 투자확대(3개 그룹, 16.7%)’, ‘시설 노후화 및 교체시기 도래(1개 그룹, 5.5%)’ 순으로 제시했다. 

현재 직면하고 있는 안전 및 환경 이슈 관련 가장 큰 어려움은 ‘관련 비용 증가에 따른 경영부담 증가(13개 그룹, 44.9%)’인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1,2차 협력사 관리 및 교육의 어려움(7개 그룹, 24.1%), ▷기관별 중복적 과잉 점검 및 현장 조사(4개 그룹, 13.8%), ▷관련 기술 및 전문인력 부족(4개 그룹, 13.8%) 등이 그 뒤를 이었다.

 

 

그룹들은 안전 및 환경 투자 활성화를 위해 가장 우선적으로 추진되어야할 정책과제로 ‘안전 및 환경규제 도입 전 충분한 산업계 의견 수렴(18개 그룹, 62.1%)’을 가장 많이 꼽았으며, 다음으로 ▷관련기술 개발 및 세제 지원(7개 그룹, 24.1%), ▷전문인력 양성(2개 그룹, 6.9%), ▷중소기업의 안전·환경 관련 교육·설비 지원(2개 그룹, 6.9%) 순으로 응답했다.

 

올해 그룹들의 안전 및 환경 분야 예상 투자금액은 ▷1조원 이상: 2곳, ▷5천억~1조원: 3곳, ▷1천억~5천억 원: 6곳, ▷1천억 원 이하: 18곳으로 각각 조사되었다. 

전경련 송원근 경제본부장은 “최근 안전 및 환경 이슈가 중요해지면서 국내외 경제여건이 좋지 않은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기업들이 안전·환경 분야 투자에 적극 나서고 있다”며, “정부가 안전·환경 투자에 대한 세제지원 등을 늘리고, 규제 도입 전 기업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한다면 기업의 경영부담이 덜어질 수 있을 것이다”고 덧붙였다. 

[1. 올해 귀 그룹의 안전 및 환경 분야 투자규모는 어느 정도로 예상하십니까? ( )
① 전년대비 증가(18개, 62.1%) ② 전년수준(10개, 34.5%) ③ 전년대비 감소(1개, 3.4%)

2. 귀 그룹의 안전 및 환경 분야 투자금액이 전년대비 확대되었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 )
① 연초 사업계획 및 경영전략에 따른 투자 확대(3개, 16.7%)
② 최근 재난·재해 등 안전·환경문제에 대한 관심증가에 따른 선제적 대응(14개, 77.8%)
③ 시설노후화 및 교체시기 도래에 따른 유지관리보수 비용 증대(1개, 5.6%)

3. 현재 귀 그룹이 겪고 있는 안전 및 환경 이슈와 관련한 어려움은 무엇입니까? ( )
① 관련 비용 증가에 따른 기업의 경영부담 증가(13개, 44.9%)
② 관련 기술 및 전문인력 부족(4개, 13.8%)
③ 1,2차 협력사 관리 및 교육의 어려움(7개, 24.1%)
④ 기관별 중복적 과잉 점검 및 현장조사(4개, 13.8%)
⑤ 기타(1개, 3.4%)

4. 기업의 안전 및 환경투자 활성화를 위해 정부에서 우선적으로 추진해야하는 것은 무엇입니까? ( )
① 안전 및 환경규제 도입 전 충분한 산업계 의견 수렴(18개, 62.1%)
② 관련 기술 개발 및 세제 지원(7개, 24.1%)
③ 현장에 바로 투입이 가능한 전문인력 양성(2개, 6.9%)
④ 여력이 부족한 중소기업의 안전·환경 관련 교육·설비 지원(2개, 6.9%)

6. 귀 그룹의 올해 안전 및 환경 분야 투자금액은 어느 정도로 예상 하십니까? ( )
① 1,000억원 이하(18개, 62.1%) ② 1,000억원~5,000억원(6개, 20.7%)
③ 5,000억원~1조원(3개, 10.3%) ④ 1조원 이상(2개, 6.9%)

조원영  jwycp@hanmail.net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