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소, 미공개정보 이용·부정거래 증가추세...코스닥·소형주·한계기업 주의보
상태바
거래소, 미공개정보 이용·부정거래 증가추세...코스닥·소형주·한계기업 주의보
  • 황동현 기자
  • 승인 2019.03.11 23:4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해 주식불공정거래의 70%가 내부자거래
한국거래소 <사진=녹색경제신문DB>

전통적 시세조종은 감소 추세에 있는 반면, 미공개정보이용 및 부정거래 비중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지난해 주식 불공정거래의 70%가 내부자거래였고, 코스닥·소형주·한계기업의 주식이 주된 타겠이었다.

또, 올해에는 또 4.3 재보궐 선거 등에 따른 정치테마주를 비롯해 수소차 관련주, 남북경협주, 의료용 대마 수입허용 관련주 등 각종 사회이슈에 따른 테마형성 및 불공정거래 증가가 예상된다

한국거래소 시장감시위원회가 지난 10일 발표한 '2018년도 불공정거래 심리실적 및 특징 분석' 에 따르면 지난해 거래소가 적발해 금융당국에 통보한 불공정거래 적발건수는 118건이었고 그중 주요 주식 불공정거래 사건은 모두 105건이었다.   

연도별 혐의통보건은 2017년 117건과 유사한 수준이었다.

다만, 여러 혐의가 동시에 적발되는 복합 불공정거래 등 대규모 사건 다수적발에 따라 혐의계좌 및 불공정거래 가담자 등 혐의 규모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혐의유형별 특징을 보면 미공개정보 이용행위가 67건(57%), 시세조종 22건(19%), 부정거래 19건(16%), 보고의무 위반 10건(9%) 등이었다. 

통정·가장매매 방식의 전통적 시세조종은 감소 추세에 있는 반면, 미공개정보이용 및 부정거래 비중은 지속적 증가 추세를 보였다.

자료=한국거래소

코스닥 기업에서는 총 89건의 불공정거래가 발생해 전체 75.4%의 비중을 차지했다. 유가증권시장은 22건(22%), 코넥스 1건(0.8%), 파생상품시장 1건, 계좌중심 1건 등으로 나타났다.

또한 코스닥시장 혐의통보사건의 75%(67종목)는 소형주에 해당했다. 유가증권시장의 경우도 소형주가 50%(13종목)을 차지했다.

신약개발·바이오산업 진출 등 바이오·제약 테마주를 이용한 불공정거래 사건도 기승을 부렸다. 이 중 최대주주나 대표이사 등 회사 관련 내부자 또는 준내부자가 연루된 사건은 73건(70%)에 달했다.

특히 한계기업은 부정거래, 시세조종, 미공개정보 등 여러 유형의 혐의가 동시에 발생하는 복합불공정거래 대상이 될 가능성이 높았다.

지난해 불공정거래 혐의통보 사건의 주요특징은 ▲ 가담자 측면에서는 내부자 및 준내부자의 연루비중이 크게 높아졌고, ▲유형 측면에서는 다수 혐의가 중복적으로 발견된 복합 불공정거래 혐의 사건이 증가하였으며, ▲대상기업 측면에서는 최근 3년 내 혐의통보된 전력이 있는 기업이 42.9%를 차지하였고, ▲ 코스닥시장, 소형주 및 재무구조가 부실한 한계기업이 불공정거래의 주된 타겟으로 나타나는 특징을 보였다

올해에는 또 4.3 재보궐 선거 등에 따른 정치테마주를 비롯해 수소차 관련주, 남북경협주, 의료용 대마 수입허용 관련주 등 각종 사회이슈에 따른 테마형성 및 불공정거래 증가가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거래소 관계자는 "상장폐지사유 발생·관리종목지정·우려기업 등으로 영업실적이 저조하고 부채비율이 높아 CB발행, 유상증자 등 자금조달이 빈번하고 주가 및 거래량변동률이 시장평균대비 높은 기업들에 대한 재무구조·영업실적·거래양태를 면밀히 살피는 등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합리적 이유 없이 급등하는 테마에 편승하지 않고 기업가치 및 실적분석을 통한 책임투자를 당부드린다"며 "특히 정치 테마주, 수소차 관련주, 남북경협주, 의료용 대마 수입 허용 관련주 등 각종 사회이슈에 따른 테마 형성 및 불공정거래 증가가 예상되니 합리적 이유 없이 급등하는 테마에 편승하지 말고 기업가치·실적 분석을 통한 책임 투자를 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시장감시위원회는 "올해 혐의특성의 변화에 대응해 더욱 정밀한 심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분석 툴을 강화하고, 불공정거래 개연성이 큰 이슈사건에 신속하고 선제적인 대응 체계를 구축할 것"이며, "금융위·금감원·검찰 등 관계기관과 협업을 강화하고 공조를 확대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황동현 기자  financial@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