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화막는 세포다이어트 핵심물질은 'DNA복구단백질(SHPRH)'...IBS연구진
상태바
노화막는 세포다이어트 핵심물질은 'DNA복구단백질(SHPRH)'...IBS연구진
  • 한익재 기자
  • 승인 2017.04.12 18:3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SHPRH단백질이 세포다이어트에 관여해 항노화 항암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밝혀져 주목된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 김두철) 유전체 항상성 연구단 명경재 단장(UNIST 생명과학부 특훈교수)연구팀은 세포에서 단백질 생산을 줄여 건강한 다이어트를 수행하는 SHPRH 단백질의 새로운 기능을 밝히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SHPRH 단백질은 DNA 손상을 복구하는 단백질로 알려져 있는데, 이번 연구를 통해 DNA 손상이 없는 때에는 전반적인 단백질 생산을 줄이는 세포 다이어트에 관여해 항노화‧항암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연구에서 세포는 영양분이 부족한 경우, 엠토(mTOR)라는 인산화 효소를 이용해 단백질 생산을 줄이는 다이어트를 한다고 알려져 있었다.

세포의 이와 같은 다이어트는 단백질 합성 공장인 리보솜의 DNA(rDNA) 전사(transcription)를 억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다이어트 목적은 노화나 암과 같은 질병이 진행되지 않도록 대사를 조절하는 데 있다. 단식을 하거나 소식을 하면 건강에 좋다는 연구 결과들은 이러한 엠토 메커니즘을 기반으로 한다.

그러나 엠토 메커니즘은 항노화나 항암효과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을 뿐, 여기에 작용하는 단백질이나 구체적인 리보솜 DNA의 전사 억제메커니즘이 정확하게 알려지지 않았다. 특히 리보솜 DNA를 RNA로 전사하는 RNA 중합효소가 어떻게 전사 대상이 되는 DNA를 인식하는지에 대해서도 알려진 바가 없었다.

명경재 IBS 유전체 항상성 연구단장.

연구진은 이번 연구에서 RNA 중합효소가 DNA를 인식하도록 하는 데 SHPRH 단백질이 작용함을 새롭게 밝혔다.

명경재 IBS 유전체 항상성 연구단장은 “SHPRH가 세포 다이어트를 조절함을 밝힘으로써 개별 세포 단위에서 이루어지는 항노화 메커니즘 규명에 한발 더 다가섰다”며, “DNA 손상이 없을 경우에는 다른 기능을 수행할 것이라 추측했던 SHPRH 단백질의 리보솜 DNA 전사 조절 기능을 발견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인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IF=9.423) 온라인판에 미국 동부시간으로 4월 11일에 게재됐다.

한익재 기자  gogreen@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