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필수의 자동차세상] 독일과 영국, 프랑스의 내연車 판매중지 선언, 우리는 언제할까?
상태바
[김필수의 자동차세상] 독일과 영국, 프랑스의 내연車 판매중지 선언, 우리는 언제할까?
  • 한익재 기자
  • 승인 2017.10.15 14: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 필 수 (김필수 자동차연구소(자동차 애프터마켓 연구소) 소장, 대림대학교 교수)

 

최근의 화두는 전기차와 자율주행차이다. 이제 세계적인 모터쇼 등 각종 행사에서 이 두 가지를 빼놓고는 자동차를 언급하기 힘들 정도다. 전기차는 현재 진행형이고 자율주행차는 이제 시작이다. 특히 전기차의 단점을 지우고 장점을 부각시키는 연구개발과 양산형 차종 투입이 가속화되고 있다.

전기차의 단점인 일충전거리 부족과 충전시간의 낭비는 물론이고 충전 인프라 부족 등이 각종 노력을 통하여 개선되고 있고 이 속도는 더욱 빨라지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자동차산업이 국가 경제 양대 축 중의 하나인 우리로서는 소홀히 할 수도 없다. 그러나 우리는 다른 선진국에 비해 전기차 등 친환경차 개발과 보급측면에서 뒤진 형국이다. 약 3년 정도 뒤진 상태여서 하루속히 한국형 선진모델이 필수적인 이유라고 할 수 있다.

최근 전기차가 자동차 주류로 편입되면서 각국이나 메이커에서 전기차 선언이 봇물을 이루고 있다. 노르웨이와 네덜란드가 오는 2025년 자국 내 내연기관차 판매중지를 선언하였고 독일과 인도 등이 뒤를 잇고 있으며, 영국과 프랑스가 2040년을 선언하였다. 중국도 이를 적극적으로 고려 중이다.

메이커들도 선언이 이어지고 있다. 디젤게이트로 곤혹을 치뤘던 폭스바겐이 2019년까지 약 80개의 전기차를 개발하겠다고 선언했고 벤츠 등도 다양한 전기차 개발을 언급했다.볼보는 아예 2019년부터 내연기관차를 판매하지 않겠다고 발표했다. 

토요타도 수소 연료전지차 뿐만 아니라 전기차도 개발 보급하겠다고 발표했다. 이제 전기차는 완전한 대세 흐름이 되고 있으며, 선택이 아닌 필수요소로까지 발전했다.

특히 선진국 대비 내연기관차 원천기술 개발에 한계를 느꼈던 중국은 모두가 시작인 전기차를 중점적인 대상으로 삼아, 중앙정부 차원에서 모든 것을 전기차에 걸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은 1년 유예가 되었지만 메이커의 의부 판매제 등 강력한 제도를 2019년부터 시행할 예정이어서 글로벌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이미 작년 판매된 전기차 약 80만대 중 과반을 중국이 차지할 정도로 절대적인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글로벌 메이커 입장에서는 그리 탐탁치 않은 상황이다. 지난 120여년 동안 수직 하청구조의 중심이었던 내연기관 중심에서 핵심부품인 엔진과 변속기를 빼고 배터리와 모터를 넣는 수평 구조로 탈바꿈하는 것이 별도 달갑지 않기 때문이다. 내연기관은 아직 경쟁력이 높고 현실적으로 가장 안정화됐으며 향후 발전 가능성도 아직 많기 때문이다. 급격하게 변하기 보다는 하이브리드차 등 다양한 친환경성으로 단계별로 발전하는 양상이 더욱 바람직하다고 느끼는 자동차업체들이 많은 것도 현실이다.

이에비해 분명히 전기차는 아직 부작용도 크고 완성도가 약한 측면도 많은 것은 물론 보조금 지급으로 연명하는 인큐베이터 역할이 필요한 상황이다. 완전한 민간 비즈니스 모델이 확립되기에는 아직 경쟁력이 매우 약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최근에서야 엔진과 변속기 등 핵심 역량을 가지기 시작한 현대차 그룹 등에서는 당연히 내연기관쪽에 미련이 생길 수밖에 없을 것이다. 

한국전기차협회장을 맡고 있는 필자의 생각도 아직 전기차는 세컨드카이고 무공해가 필요한 영역에서 도심형단거리용으로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한다. 아직은 경쟁력 제고가 필요하고 플러그 인 하이브리드차 등 다양한 친환경차가 등장하면서 단계적으로 발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생각이다.

그러나 문제는 현실은 다르다는 것이다. 국제적 환경 기준이 강화되고 미세먼지 등 현안 문제가 부각되면서 전기차의 등장과 보급이 예상보다 가속도가 붙고 있다. 더구나 내년 후반을 전기차의 빅뱅이라고 할 정도로 각종 전기차 단점이 사라지기 때문이다.

전기차의 흐름은 단순히 미풍이라 생각하고 소홀히 하기보다는 주도권을 쥔 주인공으로 이미 등장했다. 최근 정부에서 메이커의 전기차 의무 판매제 등을 거론하며 지금까지의 전기차에 대한 국내 메이커의 적극적인 역할을 주문하고 나선 것은 이때문이다.

아직은 일본이나 미국 등은 전기차 선언을 아끼고 있는 상황이다. 독일 등도 완전한 선언적 입장보다는 기존 디젤 게이트를 탈피하고자 전기차를 활용하고자 하는 의도가 보인다고 할 수 있다. 아직 세계 주도권을 쥔 글로벌 메이커는 목소리를 아끼고 있다. 아직 내연기관차와 하이브리드차 등 주권을 당분간 주도할 수 있는 차종으로 역할을 분담하고자 하는 의도도 분명하다. 충분히 설득력 있고 자격도 갖추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할 것인가? 다른 선언 국가와 같이 적당한 기일을 삼아 발표를 할 것인가?

무작정 발표만 하고 아니면 말고 식의 선언적 의미만 부여한다면 안하느니 못하다는 얘기를 들을 수 있다.

안그래도 이번 문재인 정부는 자동차관련 대통령 공약도 현실과 동떨어진 문제점도 많았다. 2030년 경유차 퇴출이나 임기 내 전기 이륜차 260만대 보급 등 현실과 너무 동떨어진 정책이 대표적이다.

제대로 보고 제대로 평가하여 확실하고 신뢰성 높은 마스터 플랜을 잡아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확신한다. 과연 우리는 몇 년에 내연기관차 판매중지 등을 선언하는 것이 좋을까? 굳이 한다면 영국이나 프랑스와 같이 2040년 정도가 가장 적절하지 않나 싶다. 업계나 정부 등의 입장은 물론 우리의 보급이나 기술 정도 등을 고려할 때  가장 무난한 시기가 아닌가 싶다.

 

한익재 기자  lycaon@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