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 "처우 문제는 기술유출 여부 이슈와 상관없어"..."영업비밀침해 소송에 집중"

LG화학 직원들의 SK이노 이직 이유로 '낮은 처우' 손꼽혀... LG화학 관계자 "논의 없다"
보안 강화 얘기엔 '조심스런 태도' 보여... "헌법적 가치와 직결돼 쉽지 않을 것"이란 분석도

2019-05-28     양도웅 기자

LG화학 직원들의 SK이노베이션 이직 이유로 '낮은 처우'가 손꼽힌 가운데, LG화학은 현재 처우 개선 논의는 하고 있지 않다고 선을 그었다.

28일 LG화학 관계자는 "LG화학의 처우가 낮아 SK이노베이션으로 이직했다는 건 '기술 유출 여부'와 상관 없는 이슈"라며 "지금 처우 개선을 논하는 건 상황상 적절치 않고, 하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이어 "처우 문제는 SK이노베이션이 바라는 소재거리"라며 "우리는 영업비밀 침해 소송에 집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2018년 사업보고서 기준, LG화학 배터리부문 평균급여는 8300만원이다(남성 직원 기준).

반면, SK이노베이션은 사업부문별로 평균급여를 밝히지 않고 있어 배터리부문 평균급여를 알 수 없지만, 전사 평균급여는 1억4200만원이다(남성 직원 기준).

이와 함께 글로벌 배터리 시장 점유율 차이(LG화학 4위, SK이노베이션 9위)로 '기술 유출 여부'보다는 LG화학 직원들이 SK이노베이션으로 이직한 이유에 대한 추측들이 잇따랐다.

그 가운데 가장 많이 언급된 게 LG화학의 상대적으로 낮은 처우. 하지만 LG화학은 처우 개선 문제는 이번 '영업비밀 침해' 소송 건의 핵심 사안이 아니라고 못박았다.

◆ 인력 이동 시 '보안 규정 강화' 해야? "민감한 이슈... 일단 소송에 집중"

일각에서는 LG화학이 인력에 대한 보안 규정을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한 기업연구소의 조직관리 분야 연구원은 "퇴사하는 직원에게 신변 정리는 어떻게 해야 하고, 지금까지 일할 때 쓴 자료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등을 상세하게 안내해주는 대기업은, LG화학을 포함해 거의 없을 것"이라며 "퇴직 프로세스를 보다 철저하게 갖출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같은 보안 규정 강화 문제에 대해 LG화학 관계자는 "보안 관련 문제는 민감한 이슈"라면서 "일단은 이번 소송에 집중한 뒤 검토할지 말지를 봐야 할 것"이라고 조심스런 답변을 내놨다.

한 업계 관계자는 "LG화학이 '처우 개선'보다 '보안 강화'에서 신중한 태도를 보이는 건 직업 선택의 자유라는 헌법적 가치와 직결되기 때문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김준 SK이노베이션 총괄사장은 27일 기자간담회에서 "구성원들이 이 문제에 동요하지 않고 잘 따라와 줬으면 좋겠고, 고객사가 걱정하는 부분이 없게끔 대응을 잘해야겠다는 생각"이라며 "배터리 산업이 본격 성장하고 글로벌 경쟁이 심화되는 시점에 안타까운 일"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