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가 바꾼 한국경제⑬] 가상화폐, 제도권 진입 시동 걸다…개인 이어 유력 기업들도 '코인 열풍' 동참
상태바
[코로나19가 바꾼 한국경제⑬] 가상화폐, 제도권 진입 시동 걸다…개인 이어 유력 기업들도 '코인 열풍' 동참
  • 노우진 기자
  • 승인 2021.05.11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가상화폐거래소 상장’ 첫 주자 된 ‘코인베이스’…업비트·빗썸 등 뒤따를까
- 가상화폐 시장에 뛰어든 기업들, 일각에선 투자자산으로서의 신뢰성이 높아진다는 주장도
- 디지털 채권 발행·비트코인 펀드 출시…세계 경제, 가상화폐 받아들일 준비 하나
- “가상화폐, 인정할 수 없다” 가상화폐 제도화, 갈 길이 멀다

코로나19를 계기로 한국경제 지형도가 빠르게 바뀌고 있습니다. 쿠팡 100조원 기업가치 돌파가 상징하듯 집콕 트렌드로 온라인 쇼핑몰 시장은 급팽창 국면에 돌입했고 자연스럽게 프리미엄TV 수요가 크게 늘었습니다. 온라인 쇼핑몰 시장이 뜨면서 글로벌 물류 수요가 늘었으며 이에 따라 조선업도 활황입니다. 네이버, 카카오 등 온라인 대장기업들은 포털, 금융, 쇼핑, 엔터테인먼트 등 전방위에 걸쳐 기존 산업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화학적 영향을 서로 주고받으며 2차, 3차 변화를 일으키고 있습니다. 바야흐로 한국경제 대변혁의 시대입니다. 녹색경제신문은 창간 10주년을 맞아 코로나19가 바꾼 한국경제 지형도를 시리즈로 정리합니다. [편집자 주]

최근 가상화폐 열풍이 불며 많은 투자자들이 가상화폐 투자에 발을 들이고 있다. 가상화폐거래소의 주식이 뉴욕 증권시장에서 거래되는가 하면 기업들은 앞 다퉈 가상화폐 투자에 뛰어들었다.

월가를 대표하는 IB(투자은행)들은 잇달아 가상화폐 상품 출시를 예고하고 있다. 그야말로 가상화폐가 투자시장의 판도를 뒤바꾸고 있는 것이다. 이에 가상화폐 제도화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사진=Unsplash]
[사진=Unsplash]
 

'코인베이스’를 시작으로 잇달아 상장 추진하는 대형 가상화폐거래소들…업비트·빗썸도?


세계 최대의 가상화폐거래소인 코인베이스의 뉴욕 증시 상장은 제도권 편입의 첫 단추라는 의미가 있다. 투자회사 IVP의 톰 로버로는 “코인베이스의 상장은 일반투자자들이 가상화폐에 대한 신뢰도를 가늠할 수 있는 로르샤하 검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로이터 역시 코인베이스의 상장을 “가상화폐 지지자들의 역사적 승리”라고 평했고 CNBC는 “가상화폐 사업이 중요한 이정표를 세우게 됐다”고 분석했다.

미국의 대형 가상화폐거래소 크라켄 역시 나스닥 상장을 추진하고 있다. 크라켄은 코인베이스와 같이 직상장을 통해 내년 뉴욕 증시에 데뷔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스라엘의 가상화폐거래소는 스팩(SPAC·기업인수목적회사)을 통해 뉴욕증시에 우회상장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이에 국내 가상화폐거래소에 대한 관심도 뜨겁다. 국내 최대의 가상화폐거래소인 업비트의 운영사 두나무의 나스닥 상장 소식이 전해지자 두나무 관련 주식이 일제히 상승하기도 했다. 현재 두나무는 공식적인 발표를 유보하고 있다.

두나무 관계자는 “현재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검토 중”이라며 “회사의 발전을 위해 늘 여러 가지 성장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말했다.

가상화폐거래소 상장을 통해 투자자들은 가상화폐에 간접 투자할 수 있게 됐다. 가상화폐거래소의 주가는 가상화폐 시세와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며 상호작용한다.

즉 가상화폐에 직접 투자를 꺼리던 투자자들도 가상화폐거래소의 주식을 매수·매도하며 가상화폐 시장에 간접 투자를 할 수 있는 것이다. 가상화폐 투자의 접근성이 개선되면 증권 투자자들의 유입 역시 기대할 수 있다.


가상화폐 시장에 뛰어든 기업들, 신뢰성 척도 될까


가상화폐 지지자들은 가상화폐가 투자자산으로서의 신뢰성을 쌓아가고 있다고 주장한다. 최근 가상화폐에 대한 기업·기관의 매수세가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가상화폐 지지자로 알려진 일론 머스크의 테슬라는 보유현금의 7.7%를 비트코인에 투자했다. 지난 2월 공시된 테슬라의 비트코인 보유금액은 15조 달러, 한화로 약 1조6700억원이다.

지난 28일에는 넥슨의 일본 법인이 비트코인을 1억 달러어치 매수했다고 발표했다. 오웬 마호니 넥슨 일본법인 대표는 “비트코인은 가치를 유지할 가능성이 큰 현금의 형태”라고 투자 이유를 밝혔다.

이 외에도 미국의 소프트웨어 기업 마이크로스트레티지가 10억달러 규모의 비트코인을 매수하며 가상화폐 시장에 뛰어들었다. 모바일 결제 기업 스퀘어 역시 1억7000만 달러의 비트코인을 사들였다.

국내에서도 다수의 기업이 가상화폐 시장에 뛰어들었다. 카카오와 옐로모바일을 비롯한 국내 기업은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 등 대형 가상화폐에 투자하거나 직접 가상화폐를 발행해 유통하고 있다. 카카오는 비상장 암호화폐를 231억9800만원 보유하고 있다고 공시했다. 이는 가상화폐거래소인 빗썸 코리아의 보유 규모보다 크다.


디지털 채권 발행·비트코인 펀드 상품 출시, 가상자산으로서 가치 인정 받나


가상화폐의 일부는 가상자산으로서의 입지를 굳혀가고 있다. 최근 급등세를 타고있는 이더리움이 대표적이다. 

유럽투자은행(EIB)는 이더리움의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1억 유로, 한화로 약 1343억원 상당의 2년 만기 디지털 채권을 발행했다.

이에 대해 프랑스중앙은행은 “EIB의 디지털 채권은 유럽중앙은행(ECB) 발행 디지털화폐(CBDC) 테스트의 일환”이라고 공식 발표했다. 즉 유럽 CBDC가 이더리움 네트워크를 활용하게 될 가능성을 시사한 것이다.

이더리움은 최근 투자대상으로 떠오르고 있는 가상자산 NFT(대체 불가능 토큰)의 거래 통화로도 널리 쓰이고 있다.

가상화폐 ‘대장주’로 불리는 비트코인 역시 펀드나 ETF(상장지수펀드) 상품 형태로 주류 시장 편입을 준비하고 있다.

모건스탠리는 이미 비트코인 펀드를 출시해 2주 만에 2940만 달러, 한화 약 328억원을 끌어 모았다. 전문가들은 이에 대해 “투자자들이 얼마나 비트코인 상품에 굶주려 있었는지 보여준다”고 평했다.

골드만삭스 역시 가상화폐에 간접투자하는 상품을 출시할 것이라 예고했다. 골드만삭스 개인자산관리 부문 디지털자산 글로벌 헤드 메리 리치는 최근 CNBC와의 인터뷰에서 “인플레이션 헤지 수단으로 비트코인을 찾는 고객들이 생겼다”며 “지난 한 해 동안의 거시적 배경이 확실히 영향을 미쳤다”고 상품 출시 배경을 설명했다.

여기에 JP모건까지 올해 여름 비트코인 펀드를 출시하겠다고 밝히면서 월가의 3대 투자은행이 전부 가상화폐 시장에 뛰어든 셈이다.


국내의 가상화폐 제도화, 어디까지 왔나?…가상화폐 제도화 두고 대립하는 정치권


세계 경제는 가상화폐를 받아들일 준비를 하고 있지만 국내의 가상화폐 제도화까지는 갈 길이 멀다. 가상화폐 제도화를 두고 정치권에서는 첨예한 대립이 이어지고 있다.

최근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가상화폐 비판 발언으로 곤욕을 치렀다. 은 위원장은 “가상화폐는 잘못된 길”이라며 “가상화폐에 투자한 이들까지 정부에서 다 보호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은 위원장은 또 가상화폐거래소를 대거 폐쇄할 것이라 예고했다. 이에 2030세대 투자자들은 “가상화폐에 과세한다면서 보호는 왜 안 해주는 거냐”며 반발하고 있다.

은 위원장의 발언에서 알 수 있듯 가상화폐 제도화에 대한 정부의 입장은 단호하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가상화폐를 금융투자 자산으로 보기 어렵다는 것이 금융위원회의 의견”이라며 “자본법상 규제나 보호의 대상도 아니라는 것”이라고 입장을 재확인했다.

한 금융위 관계자는 “가상화폐 투자는 개인 책임 하에 하는 것”이라며 “가상화폐는 기존 시장의 틀에서 크게 벗어나 있어 금융투자 상품으로 대할 예정은 없다”고 말했다.

반면 국회의원들은 잇달아 가상화폐의 제도화를 촉구했다.

이광재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가상화폐 제도화의 필요성에 대해 말하며 “가상화폐가 투기판이 되지 않으려면 제도를 만들어서 투자로 전환할 수 있도록 안정화 시켜줘야 한다”고 의견을 피력했다. 이어 “미국이나 선진국은 다 변화하고 있는데 우리는 변화하고 있지 않는 것이 오히려 문제”라고 지적했다.

같은 당 박용진 의원도 페이스북 글을 통해 "암호화폐의 제도적 틀을 정비하고 투자자 보호를 위한 적극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면서 거래소 인허가제 등 제도화를 촉구했다.

주호영 국민의힘 전 원내대표는 “정부가 엄포만 놓을 것이 아니라 이를 제도화할지, 투자자 보호를 어떻게 해야 할지를 논의해야 한다”며 가상화폐TF(태스크포스)를 조직하겠다고 밝혔다.

노우진 기자  financial@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