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을 품다] 땅 파는 ‘두더지 로봇’ 나왔다
상태바
[과학을 품다] 땅 파는 ‘두더지 로봇’ 나왔다
  • 정종오 기자
  • 승인 2020.06.04 09:4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카이스트 연구팀 개발, 극한지역·우주 탐사에 활용
두더지 로봇인 '몰봇'은 무인 지하 탐사나 극한지역, 우주 행성 탐사에 효율적으로 활용 가능하다.[사진=카이스트]
두더지 로봇인 '몰봇'은 무인 지하 탐사나 극한지역, 우주 행성 탐사에 효율적으로 활용 가능하다.[사진=카이스트]

국내 연구팀이 두더지의 생물학적 구조와 굴착 습성을 모방해 무인 지하 탐사나 극한지역 또는 우주 행성 탐사에 효율적으로 활용 가능한 생체모방형 두더지 로봇을 개발했다.

카이스트(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명현 교수 연구팀(미래도시 로봇연구실)이 일명 두더지 로봇인 ‘몰봇(Mole-bot)’을 내놓았다. 몰봇은 석유, 석탄 등 기존 에너지원을 대체해 신 에너지원으로 사용 가능한 탄층 메탄가스(Coalbed Methane)나 전자기기에 이용되는 희토류 등이 매설된 지역의 탐사, 우주 행성의 표본 채취를 목표로 KAIST 연구팀에 의해 개발됐다.

기존 천부 굴착작업은 시추기와 파이프라인, 펌프 등 각종 장비를 조합해 작업을 진행해야 하는데 ‘몰봇’ 로봇 하나면 모든 작업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임베디드 방식이라고 표현하는데, ‘몰봇’ 개발을 계기로 기존의 거대하고 복잡한 드릴링 장비 사용과 이로 인한 복잡한 공정, 환경 오염 유발 등 많은 문제점이 해결될 것으로 기대된다.

몰봇은 크게 드릴링부, 잔해 제거부, 방향전환을 위한 허리부, 이동과 고정부로 구성된다. 크기는 지름 25cm, 길이 84cm이며, 무게는 26kg이다. 드릴링 메커니즘은 이빨로 토양을 긁어내는 두더지 종 중의 하나인 ‘치젤 투스(Chisel tooth mole)’를 생체모방해 새로운 확장형 메커니즘을 개발했는데 기존 기술 대비 높은 확장성을 가지며 안정적 드릴링이 가능하다.

잔해 제거 메커니즘은 크고 강력한 앞발을 이용해 굴착 및 잔해를 제거하는 또 다른 두더지 종인 ‘휴머럴 로테이션(Humeral rotation mole)’의 특별한 어깨구조를 모사해 설계했다. 휴머럴 로테이션은 길쭉한 형태의 견갑골을 가져 견갑골의 직선운동을 상완골에서 강력한 회전력으로 변환할 수 있다. 연구팀은 이러한 생물학적 구조를 모방해 효율적인 잔해 제거가 가능하도록 앞발 메커니즘을 새로 개발했다.

허리부는 두더지의 허리를 모사한 메커니즘을 통해 지하 내에서 360도 자유롭게 방향전환이 가능하다. 몰봇은 굴착 메커니즘을 가지는 앞몸체와 이동, 고정 역할을 하는 뒷몸체로 각각 구성돼있다. 두 몸체 사이를 선형 구동기로 연결하고 스트로크 조절을 통해 자유롭게 좌우회전을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동부는 동일한 3개의 유닛을 삼각형 형태(120도간격)로 균등 배치해 지하 내에서 안정적 지지와 이동을 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불규칙한 토양 환경, 암석 등 예측 불가능한 지하 내에서 안정적인 이동을 위해 무한궤도를 이용한 이동 방식을 적용한 것이다.

연구팀은 이 밖에 개발된 로봇에 지하에서 로봇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시스템과 알고리즘을 탑재했다. 지하 환경은 주변이 암석과 흙으로 이뤄져 있어 무선통신 신호를 활용하기 어렵고 또 내부가 협소하고 어둡기 때문에 비전 및 레이저 센서를 사용하기 어렵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몰봇에 자기장 센서가 포함된 관성항법 센서를 탑재했는데 이 결과, 지구 자기장 데이터의 변화를 측정해 로봇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즉, 연구팀은 지구 자기장 시계열 데이터를 매칭시키는 그래프 기반의 SLAM(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동시적 위치 인식 및 맵핑) 기술을 자체적으로 개발해 로봇 위치를 측정하는 문제를 해결했으며, 이는 지하 공간에서의 3차원적인 자율 주행을 가능케 한다.

명 교수 연구팀은 몰봇이 기존 로봇들에 반해 훨씬 효율적인 방법으로 지하자원 탐사가 가능할뿐만 아니라 경제성도 뛰어나고, 최근 스페이스X에 의해 촉발된 우주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해 세계시장 진출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정종오 기자  science@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