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생물자원관, 늪·해안에서 자라는 멸종위기종 식물 조사에 드론 최초 활용
상태바
국립생물자원관, 늪·해안에서 자라는 멸종위기종 식물 조사에 드론 최초 활용
  • 박근우 기자
  • 승인 2018.11.07 23: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구자가 직접 관찰하기 힘든 개체군 크기와 정확한 분포정보 확보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은 최근 연구자가 직접 관찰하기 어려운 멸종위기 야생생물 식물분야 분포 조사에 무인항공기(이하 드론)를 처음으로 활용하고 있다고 7일 밝혔다.

그간 생물자원 분야에서 드론 활용은 침엽수 군락분포 변화와 고사목 관찰을 위해 쓰인 적은 있으나, 멸종위기종 식물을 대상으로 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국립생물자원관 연구진은 올해 8월부터 10월까지 낙동강 하구 습지, 동해안 석호, 제주도 해안 등에서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식물인 가시연, 순채, 검은별고사리 등 3종의 분포 모습을 드론으로 촬영하고, 관련 영상을 분석했다.   

이들 멸종위기종 식물은 늪, 호수, 해안 등에 서식하기 때문에 그간 연구자의 접근이 어려워 분포 면적 등 정확한 정보를 얻기 힘들었다.

낙동강 배후습지 가시연

연구진은 드론을 활용하면 관찰하기 힘든 장소에 사는 멸종위기종 식물의 정확한 분포 정보를 확보하는 데에 효과적이라고 판단했다.  

연구진은 낙동강 하구 배후 습지에 분포하는 가시연과 강원도 석호에 분포하는 순채, 제주도 해안의 검은별고사리의 개체 식별과 서식지를 5m 또는 30m 상공에서 드론으로 촬영했다.  

촬영한 영상을 정사영상으로 제작하여 개체군 수와 분포면적을 분석한 결과, 가시연은 6개의 개체군이 1,983㎡, 순채는 2개 개체군이 2만 4,179㎡, 검은별고사리는 3개 개체군이 1,731㎡의 면적에 각각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사영상은 항공사진 또는 인공위성 등의 영상정보 등을 지형 기복에 의한 기하학적 왜곡을 보정하고 물체를 수직으로 내려다본 모습으로 변환한 사진이다.  

국립생물자원관은 내년 5~6월에는 멸종위기 야생생물Ⅰ급 풍란과 Ⅱ급인 석곡의 분포 기록이 있던 제주도 서귀포의 해안 절벽 지역을 드론으로 촬영할 계획이다. 

풍란과 석곡은 난초과 여러해살이풀로 제주도와 남해안의 바닷가 절벽 등에 살며 개화기는 5~6월이다.

국립생물자원관은 멸종위기종 식물의 보전과 복원에 필요한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드론 촬영과 같은 첨단기술을 멸종위기종 조사에 꾸준히 도입할 계획이다.

강원 고성 순채

한편, 기존 드론 활용 사례에는▲농촌진흥청은 농작물의 예찰과 방제 작업에 농업용 드론 활용 ▲기상청은 도심지 미세먼지 측정과 영상 촬영 제공 ▲해양수산부의 적조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예찰용 드론 도입 ▲산림청의 산불과 산림병해충 예찰 등에 활용 ▲국립공원관리공단의 고지대의 침엽수의 수목 변화를 조사 등이 있다. 

드론 조사 예정인 멸종위기종 야생생물에는 해안절벽이나 암벽위에 분포하고 있는 종(대청부채, 풍란, 석곡, 나노풍란, 지네발란, 콩짜개란 등), 호소와 습지 안에 분포하고 있어 면적 조사가 필요한 종(가시연, 순채, 각시수련, 조름나물, 검은별고사리, 전주물꼬리풀 등), 산 정상에 널리 분포하고 있어 개체 수 확인이 어려운 종(한라솜다리, 한라송이풀, 섬개야광나무 등) 등이 있다. 

박근우 기자  lycaon@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