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200대 유통기업 매출, 미국 코스트코 1개 보다 적어...롯데쇼핑 431위
상태바
국내 200대 유통기업 매출, 미국 코스트코 1개 보다 적어...롯데쇼핑 431위
  • 박근우 기자
  • 승인 2018.10.10 19: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규환 의원 “의무휴업일 기준을 휴일에서 평일로 변경했을 때 편익 분석 요청”

지난 2016년 기준 국내 유통 기업 상위 200개사의 전체 매출액(128조4000원)이 미국의 코스트코 1개사의 매출액(137조8000억원) 보다 작은 것은 물론 유통산업 경쟁력이 떨어진다는 분석이 나와 대책이 요구된다.

이러한 유통산업 발전에 대한 의견이 부분한 가운데 의무휴업 기준일을 휴일에서 평일로 변경했을 때의 편익 분석을 통해 유통업체의 사회공헌을 확대하고 지역경제에 직접적으로 이바지하자는 제안이 나와 귀추가 주목된다.

김규환 의원(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자유한국당)이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제출받은 ‘전국 광역지자체별 대형마트 의무휴업일 현황’에 따르면, 대형마트 및 SSM이 출점한 185개 기초지자체(전체 229개) 중 영업제한 처분 시행 지자체는 159개로 나타났다고 10일 밝혔다.

이 중 의무휴업을 공휴일(2, 4주 日)로 처분한 지자체가 132개(83.0%), 평일(2, 4주 月, 水)로 처분한 지자체가 18개(11.3%), 공휴일‧평일을 혼합한 지자체가 9곳으로 분류됐다.

하지만 그간의 규제가 골목상권을 살리는데 성과가 있었는지는 다양한 의견이 제시되고 있다. 규제의 낙수효과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측과 유통업체에 납품하는 농어민과 중소 식품제조업체의 피해 및 소비자들의 편익을 우려하는 측의 의견이 공존한 상황이다.

유통업태별 매출액 추이 변동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0년을 100으로 했을 때, 2017년 온라인(310.4)과 편의점(285.6)은 3배 가까이 증가했다. 다음은 SSM이 150, 전체 슈퍼는 128.3, 백화점은 118.3, 대형마트는 111.6 순이었다. 전통시장은 2011년부터 2015년까지 93~98로 하락했다가, 2016년 101.9로 2010년 매출액에서 정체된 상황이다. 2002년부터 시작한 전통시장 지원 사업 누적 예산은 3조6555억원에 달했다.

대형마트를 못 가게 막아 어쩔 수 없이 전통시장으로 가도록 하는 규제로는 유통산업 생태계 전반을 해칠 수 있다는 지적이 힘을 얻고 있다. 실질적으로 국내 유통산업 경쟁력은 글로벌 시장과 겨뤘을 때 취약한 상황이다.

미국과 한국 유통 및 산업별 1위 비교

한국경제연구원 자료에 따르면 2016년 국내 유통 기업 상위 200개사의 전체 매출액은 128조4000원으로 미국의 코스트코 1개사의 매출액 137조8000억원 보다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17년 포춘 글로벌 500에서 한국 기업이 포함된 9개 산업군을 분석해 보면 산업 내 글로벌 1위 기업과 국내 기업 간 매출액 격차가 가장 심각한 분야는 유통산업이었다.

국내 유통사는 롯데쇼핑이 431위로 포함되었는데, 글로벌 1위 업체와 비교했을 때 19.1배로 가장 큰 격차를 보였다. 전자와 제철이 각각 1.0배와 1.4배로 높은 경쟁력을 보여줬다.

김규환 의원

이에 김규환 의원은 “소비패턴이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전환하고 있으며, 아마존‧이베이‧알리바바 등 세계 주요 유통기업은 4차 산업혁명의 기술을 활용해 혁신하고 있는 중에 한국에서만 여전히 대형마트 대 전통시장의 구도로 규제를 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한 쪽을 규제해 다른 한 쪽을 키우겠다는 규제가 아니라, 전통시장은 영수증 복권제도 도입 등 새로운 유입요인을 만들고, 유통산업은 지역과 상생하며 발전 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김 의원은 “지역사회 스스로 의무 휴업일을 휴일에서 평일로 바꾼 곳이 이미 18곳이나 되는 만큼, 애초 기준을 평일로 하고, 협의를 통해 휴일로 바꾸는 안에 대해서 정부와 유통사가 모여 편익 분석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김 의원은 “휴일에서 평일로 휴업일이 변경됨에 따라 발생하는 차액의 일정 부분에 대해서는 민관 협의를 통해 지역사회에 직접적으로 기여 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도 상생의 한 방안이 될 수 있다”고 제안했다.

박근우 기자  lycaon@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