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연 한화 회장, 한국항공우주 '몰락' 2달 전 감 잡았나?...1주일 차 '희비교차'
상태바
김승연 한화 회장, 한국항공우주 '몰락' 2달 전 감 잡았나?...1주일 차 '희비교차'
  • 박근우 기자
  • 승인 2018.09.28 19: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7월 10일 KAI 지분 전량 매각, 1주일 후 '마린온' 추락 사고 이어 미군 APT 입찰 '탈락'

한국항공우주(KAI)가 지난 7월 ‘마린온(MARINEON)’ 추락사고에 이어 오늘(28일) 미국 공군 고등훈련기(APT) 입찰에 탈락하면서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66)의 '선견지명'이 업계에 회자되고 있다.

한화그룹은 '마린온' 추락 사고 1주일 전인 7월초, 보유 중이던 KAI 주식 전량을 매각한 바 있어 오늘 KAI의 미국 고등훈련기 입찰 탈락 후 하한가 근접한 상황을 감안할 때 약 300억원 이상 손실을 피해갈 수 있었기 때문이다.

오늘 한국항공우주는 29.80%까지 내린 3만51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장중에는 하한가(3만5000원)를 찍기도 했다. 하한가까지 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김승연 회장의 결단과 KAI 지분 전량 매각, 절묘한 시점 '선견지명'인가

재계 관계자는 "미국통인 김승연 회장이 이번 미국 공군 고등훈련기 입찰에서 탈락할 것을 사전에 예견했던 것은 아닌지 이야기가 나돌고 있다"며 "한화가 한국항공우주 지분을 전량 매각한 시점이 절묘해 김 회장의 선견지명이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은 미국 보수성향 헤리티지 재단과 오랜 인연이 있다.

한화그룹 계열사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지난 7월 10일 장 종료 직후 KAI 주식 584만7511주(5.99%)를 블록딜(시간외 대량매매)을 통해 전량 매각했다. 이는 지난 2016년 1월 KAI 지분 4.01%(390만주)를 처분하고 남은 지분이었다. 종가 4만3000원에서 6% 할인율을 적용해, 총 2364억원 규모였다. 오늘 하한가 수준을 감안하면 한화는 300억원 이상의 손실을 막은 셈이다. 

한화가 KAI 지분을 매각한지 1주일 후인 7월 17일, 공교롭게도 KAI가 제작한 해병대 상륙기동 헬기 '마린온'이 경북 포항 비행장 활주로에서 추락해 해병대원 5명이 사망하는 대형 사고가 발생했다. 민관군 합동조사단은 최근 KAI의 부품 결함 사고로 결론을 내렸고 KAI는 공개 사과를 했다.

이번 고등훈련기 사업 입찰 탈락은 KAI에게 더욱 뼈아프다. 고등훈련기 사업은 미국 공군의 오래된 T-38 훈련기를 교체하는 것으로, 1차분 물량만 350대(17조원)에 달하는 대규모 프로젝트다. KAI는 록히드마틴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입찰에 참여했지만 보잉-사브 컨소시엄에 고배를 마셨다.

KAI 지분 매각 2364억원 "항공엔진 투자재원 확보"...300억원 가량 손실 막은 셈

KAI 지분 매각 당시 “글로벌 항공엔진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한 투자재원 확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본업인 항공기엔진과 엔진부품 제조사업의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2015년 미국의 대표적 복합기업인 유나이티드테크놀로지스의 자회사 프랫앤휘트니(P&W)와 기어드터보팬(GTF) 엔진의 국제공동개발사업(RSP) 계약을 체결했다. 

국제공동개발사업으로 2017년에 478억 원의 투자비를 지출했으며 올해 1분기에도 184억 원의 투자비를 썼다. 개발 일정 등을 감안할 때 앞으로 최소 5년 동안 해마다 수백억 원의 영업손실을 감수해야 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2월, 김승연 한화 회장의 안내를 받으며 한화큐셀 진천공장을 둘러보고 있다.

특히, KAI의 불운에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이 거론되는 것은 미국통으로서 김 회장의 오랜 경험과 혜안이 오버랩되는 이유다. 우연의 일치일 수도 있다. 하지만 한화그룹 입장에서는 최근 KAI의 악재를 보면서 김 회장의 결단이 없었다면 어떠했을까 가슴을 쓸어내릴 만 하다.

김 회장이 미국통으로 확실히 각인된 것은 2017년 1월 미국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에 한국 기업인으로는 유일하게 초대받은 일이다. 헤리티지 재단의 추천이 있었다. 당시 건강상 이유로 참석은 못했다. 지난 2017년 6월, 문재인 대통령의 미국 방문시에는 김 회장을 대신해 신현우 한화테크윈 사장이 포함돼 있을 정도였다. 문 대통령이 처음으로 한화큐셀 공장을 방문한 것도 이런 관계가 있다.

'미국통' 김승연 회장, 헤리티지재단 추천으로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 초청받아

김 회장이 대표적 ‘미국통’으로 꼽히는 이유는 선친인 김종희 전 한화 회장이 한미친선협회 이사로 활동하면서 구축한 미국 내 공화당 인맥을 이어받았고, 이를 바탕으로 2001년부터는 한미교류협회장으로 활동하며 미국 정계에 폭넓은 인맥을 형성했던 데 있다.

한화그룹 김승연 회장은 지난 1월, 서울 더플라자 호텔에서 에드윈 퓰너(Edwin J. Feulner Jr.) 미국 헤리티지재단 회장을 만나 한미간 경제교류 및 한반도 상황 등 현안에 대해 논의했다.

김 회장은 트럼프 미국 대통령 핵심 측근인 에드윈 퓰너 미국 헤리티지재단 회장과도 친분이 깊다. 김 회장이 한미FTA(자유무역협정) 재협상 논란 등에 민간외교에 나선 것도 헤리티지 인맥 도움이 컸다. 헤리티지재단은 민간외교에 기여한 김 회장의 공로를 인정해 2011년 워싱턴 펜실베이니아에 있는 헤리티지 의회 빌딩 2층 콘퍼런스센터를 ‘김승연 콘퍼런스센터’로 명명하기도 했다.

재계 관계자는 "KAI의 잇단 대형 악재와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은 아무 관계도 없을 수 있지만 1주일 차이의 기이한 '희비교차'가 아닐 수 없다"며 "그 만큼 김 회장이 방산산업에 대한 경험이 많고 미국통으로서 김 회장의 위상이 큰 때문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어쨌든 김 회장이 이번 KAI 지분 매각 관련 내린 순간의 결단이 한화그룹에게는 리스크 매니지먼트 차원에서 큰 역할을 한 사례라는 점에서 재계에 회자될 것으로 보인다. 

박근우 기자  lycaon@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