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원 많은 대기업엔 왜 #미투가 적을까?
상태바
직원 많은 대기업엔 왜 #미투가 적을까?
  • 백성요 기자
  • 승인 2018.04.08 09:5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전교육과 발빠른 초기대응..."잃을 게 많다"는 인식도 한 몫

최근 미투 운동이 사회적으로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서지현 검사의 폭로에서 시작된 성추행, 성폭행 피해자들의 고백은 문화계, 정치계, 의료계, 연예계 등 분야를 가리지 않고 하루가 멀다하고 터져 나온다. 

그럼에도 직원수가 많고 직장내 서열이 분명한 대기업에서의 사례는 드문 편이다. 오히려 중견기업이나 중소기업의 직장내 성추행 사례가 더욱 많이 공개되고 있다. 재계에서는 대기업의 경우 사전 교육이 철저하고 사건 발생시 초기 대응이 적절하게 이뤄지는 등 발빠른 사후 대처가 가능하기 때문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이와함께 승진에 목매는 대기업의 특성도 성 관련 추문이 적은 이유중 하나라는 분석이 나온다. 특히 임원 승진을 앞둔 경우 경쟁자에게 작은 빌미라도 주지 않기 위해서라는 설명이다. 

즉 중소기업에 비해서 그만큼 사회적으로 물질적으로 잃을 수 있는 게 많기(?) 때문에 스스로 조심한다는 것이다.

국내 대기업의 한 관계자는 "직원이 많은 만큼 사내 루머 등도 많이 떠돌아 다닌다. 특히 성 관련 루머는 대기업에서 과거부터 승진 누락의 이유가 됐다는 인식이 많다"며 "고위직이 될수록 보는 눈이 많아지고, 라인(인맥)이 존재하기 때문에 스스로 조심하는 문화가 있다"고 귀띔했다. 

실제로 최근 여직원을 회식자리에 불러 술시중을 들게 했다는 의혹이 제기된 현대차그룹의 여자 임원은, 사건이 불거지자마자 사직서를 제출했다.

대기업들의 경우 회사 내 불미스러운 일이 외부로 알려질 경우의 브랜드 이미지 타격 등을 우려해 공공기관보다 엄격한 교육과 기준을 갖춰놓고 있다. 

삼성전자는 매년 1회 이상 임직원을 대상으로 온, 오프라인 통한 성 관련 교육을 진행중이고, 오후 9시 이전 귀가라는 회식 문화 캠페인을 진행중이다. 사내 인트라넷과는 분리된 별도 애플리케이션으로 성희롱 등의 사건을 제보할 수 있는 창구도 운영중이다. 제보 내용은 비공개 처리되며, 사실관계가 확인되면 무관용 원칙을 적용한다. 

현대차그룹은 연 1회 이상의 성희롱 예방교육을 실시하고, 온라인 고충상담페이지도 운영한다. '무관용, 무자비 원칙'에 따라 직책, 직급과 관계없이 징계하는 시스템을 도입했다. 

LG그룹은 성희롱, 성추행 등을 'LG 윤리규범' 위반행위로 규정해 놓고 있다. 진상조사와 징계위원회가 신속히 개최되며, 계열사별 전담조직도 갖췄다. 

SK그룹은 연 2회 성희롱 예방 교육을 실시하며, 온라인 교육은 임직원 필수 이수 항목이다. 

한화는 연 1회 이상의 성희롱 예방교육과 매주 수요일, 금요일에는 저녁 회식을 금지하고 있다. 

한편, 여성가족부는 최근 성범죄에 대한 처벌을 대폭 강화하고 피해자들에 대한 2차 피해 방지와 신변보호를 강화하는 대책을 내놓는 등 성 관련 범죄 예방 조치를 더욱 강화하고 있다. 현행법상 사업주의 성희롱은 1000만원 이하의 과태료, 성희롱 징계 미조치는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되는 것을 일부 행위에 대해 징역형까지 가능하도록 형사처벌 규정으로 강화하는 방안을 추진중이다. 

또 여가부, 고용부, 교육부, 문화부 등 4개 부처에서는 홈페이지에 직장 내 성희롱 익명 신고시스템을 개설해 운영중이다. 
 

 

 

백성요 기자  lycaon@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