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 녹조, 수돗물 안전한가?’ 국회 토론회
상태바
‘4대강 녹조, 수돗물 안전한가?’ 국회 토론회
  • 편집부
  • 승인 2012.08.22 09: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민관합동 조사 및 수돗물 수질 안전성 다각적 검토 촉구

 
‘4대강 녹조, 수돗물 안전한가?’라는 주제의 토론회가 21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렸다.

민주통합당 4대강 특위와 환경운동연합이 주최하고 (사)대한하천학회, (사)수돗물시민회의, (사)시민환경연구소가 주관한 이날 토론회에서는 “독성조류에 대한 가장 현실적이고 효과적인 대안으로 4대강 16개 보 수문을 열어야 한다”는 쪽으로 의견이 모아졌다.

이미경 4대강사업조사특별위원회 위원장은 “이 토론회 자리를 대책을 논의하는 중요한 자리라 여긴다”며, “문제를 계속해서 은폐하려는 태도를 가져서는 안된다”고 말했다.

또한 “물의 유속이 미치는 영향이 얼마나 크냐가 핵심일 수 있는데 이에 대해 환경부는 모호한 입장을 취하고 있다”며, “꾸준히 모니터링해서 자료를 축적하는데 환경부가 일조해야 한다”고 발언했다.

박창근 관동대 교수는 물 사용에 대한 대책이 없다고 지적했다.
시민들의 주요 관심사는 녹조현상이 일시적인 현상인지 아니면 지속적인 것인지에 대한 것과 식수가 안전한가에 대한 것이라며 정부는 원수 수질을 깨끗하게 유지해야 한다고 발언했다.

토론자 장하나 의원은 국토부훈령에 방류지침(13조)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규정을 따르지 않았다는 점을 지적했고 환경부의 8.11일 발표한 대책 중에 ‘댐 방류량 증대’ 및 ‘Flushing’ 추진 대책이 주요하게 담겨져 있는 것에 대해 2010년 10월에 발행된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KEI)의 '낙동강 조류발생 특성분석 및 관리정책 방안‘의 보고서에서 조류 제어효과가 없다는 결론을 냈다며 문제를 제기했다.

또한 국무총리실 산하 국책 연구기관인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KEI)이 이 보고서를 발간하면서 4대강 사업으로 인한 조류발생의 대책수립을 이미 2년 전에 촉구했다고 언급했다.

한명숙 전 총리도 참석, “수질 대책과 관련해서 환경부와 시민단체 간에 입장차가 커서 이에 대한 대안으로 공동조사를 제안했었다. 환경부 전 장관으로서 환경부의 위상을 되찾을 수 있도록 문을 열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발언했다.

마지막으로 좌장이었던 장재연 아주대 예방의학과 교수이자 환경운동연합 공동대표는 “폭염은 어쩌다 오는 것이 아니라 기후변화에 의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보를 설치하여 체류시간이 길어진 점이 문제를 악화시켰다고 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작은 중소도시에서의 정수처리 및 관리에 대한 우려도 나타냈다.

녹조 확산에 대한 원인과 전망

 
김좌관 부산가톨릭대 교수는 조류 발생의 원인을 수온, 일사량, 인농도, 체류시간의 영향이 복합적으로 적용된다고 한다. 수온이 높고, 일사량이 많고 물속 인농도가 높더라도 유속이 빠르다면 조류의 성장은 쉽지 않다는 주장이다. 이에 수온과 광량은 자연현상이고 총인과 체류시간은 인간이 통제할 수 있는 요인이므로 이를 통제하지 못한 점에 대해 지적했다.

‘정부가 4대강 사업 일환으로 하폐수처리장에 5천억원을 투여하여 총인처리시설을 설치 및 가동하고 있지만 보로 인한 조류 번성을 억제할 정도는 아니다’라고 판단했다.

낙동강의 경우, 4대강 사업 이후 인농도가 줄고 있는 것은 사실이나 본류 내 주요지점인 구미(0.088mg/L), 고령(0.129mg/L), 남지(0.098mg/L), 물금(0.09mg/L) 등에서 측정된 수치는 하천 내(정체구간) 0.05mg/L 이하로 유지되어야 하는 기준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내고 있었다. 이 때문에 녹조현상은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다.

남한강에 비해 북한강이 하천 수질면에서 상대적으로 양호한 편임에도 불구하고 녹조가 북한강에서 먼저 발생한 것에 대해서는 ‘체류시간’, ‘방류량’, ‘수온’, ‘철 농도’ 등 다양한 원인이 있다고 보았는데, 우선 북한강이 남한강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데 댐이 많아 긴 체류시간을 가진다는 점을 언급했다.

북한강 및 남한강 수계의 지난 3년간 3개월 평균 댐 방류량을 비교해 본 결과, 모든 댐에서 올해 지난 3개월 동안의 방류량이 51%에서 68%까지 급격히 감소했다. 이는 체류시간을 더욱 길게 만들었고 긴 체류시간은 같은 일사량에서 수온을 높이는 효과를 가져왔다고 한다.

이 외에도 조류 성장에 ‘철 농도’도 중요한데, 남한강에는 북한강에 비해 ‘철 농도’가 낮아서 조류 성장 자체를 제한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독성조류에 대한 대책

이런 종합적인 의견을 통해 김좌관 교수는 가장 현실적이고 효과적인 대안으로 4대강 16개 보 수문을 열어야 한다고 재차 주장했다.

추가로 향후 한강과 낙동강 등에 마이크로시스티스 농도가 다시 번성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또한 오존처리 과정에서 수중에 다량의 마이크로시스틴을 용해시킬 우려에 대해 언급하면서 앞으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의 필요성과 독성조류의 검출방법 개선을 주장했다.

신동천 연대의대 예방의학과 교수 또한 조류의 번무가 지나간 이후에도 독성물질은 잔존해 있을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해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안전성 평가는 동물 종간의 차이가 매우 클 수 있다는 점, Falconer와 Ressom이 장기간 노출되었을 때 허용기준을 0.1ug/L로 제안해야 한다고 논문(1994, 1993)에서 주장했던 점 등을 들어 주의를 요청했다.

최승일 고려대 환경시스템공학과 교수는 조류독성에 의한 안전성뿐만 아니라 독성조류를 제거하기 위한 정수처리 과정에서의 발암성을 가진 소독부산물질의 증가에 대한 우려를 지적했다.

염소소독 과정에서 조류의 체내에 있던 여러 유기물질들이 수중에 흘러나오는데 이 중의 일부는 소독 과정에서 발암성물질로 전환된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원수 수질의 개선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수돗물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했다.

한편, 이항진 4대강범대위 상황실장은 환경단체의 수질분석을 거부하고, 시료 채취를 방해하는 정부 당국의 태도와 정부에서 발표한 자료에 대한 객관성에 대해 신뢰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대구환경연합이 채수한 물을 대구보건환경연구원에서 거부했는데 그 이유가 “수질 결과가 환경부의 결과와 다른 적이 많아서 입장이 난감‘하다는 점이나 환경단체가 채수하려 할 때 보를 관리하는 관계자가 의도적으로 방해하고 심지어 몸싸움까지 벌이고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또한 환경부가 녹조 발생원인을 ’부족한 강수량과 높은 기온 때문‘이라며, 의도적으로 4대강 공사의 원인을 회피하는 것은 과학적이지 못하다고 주장했다.

 

편집부  ggalba@naver.com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