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임 1년 허창수 전경련 회장 '절반의 성공?'
상태바
취임 1년 허창수 전경련 회장 '절반의 성공?'
  • 인터넷뉴스팀
  • 승인 2012.02.24 10:5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동반성장 성과에도 재벌개혁 논란은 부담

 허창수 전경련 회장이 24일로 취임 1주년을 맞았다. 그동안 전경련의 쇄신 문제와 대기업의 중소적합업종 진출 제한, 정치권 로비 파문 등 여러 문제들에 부닥쳐 어려움을 겪었다. 그러는 새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며 대중소기업 성과공유제나 동반성장 등 성과를 냈지만 반감되는 분위기다.

특히 지난해 말 대기업의 골목상권 진출로 촉발된 재벌개혁 논란 앞에서 이를 대변해야 할 전경련과 허 회장은 제대로 된 의견을 펴지 못했다. 정치권의 압박에 부담을 느꼈기 때문이지만 재계에서는 전경련의 위상과 관계된 일인데도 별다른 대응을 하지 못했다며 기대 이하라는 평을 내리고 있다.

  24일로 취임 1주년을 맞은 허창수 회장
실제로 허 회장의 전경련은 재계의 생각처럼 움직이지 못했다. 상생 경영이나 투자 확대, 일자리 창출 등 각종 현안에 대해서는 적극적인 대응을 하고 있지만 재계의 대변인 역할은 다소 부족했기 때문이다.

특히 지난해 8월 터진 기업별 정치인 로비 사건은 허 회장은 물론 전경련의 존립 자체를 뒤흔든 사건이었다. 허 회장이 취임 이후 전경련과 국민 사이의 간극을 메우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했지만 이 사건 이후 진척이 없다. 외려 전경련의 해체를 요구하는 거센 반발을 불렀을 뿐이다.

기업에 호의적인 이명박 대통령도 지난해 10월 전경련 창립 50주년 기념식에서 "전경련은 대기업의 이익을 대변하는 이익단체로 오인 받을 수 있는 위기에 처하고 있다는 것을 우리 스스로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며 "이제는 새로운 혁신의 기업가 정신을 가져야 한다"고 언급했을 정도였다.

대통령까지 나서서 전경련의 새로운 모습을 기대하는 와중에 터진 정치권의 재벌 길들이기는 시각에 따라 기회이기도 했다. 내부의 발전적 논의가 어려운 상황에서 나름의 근거를, 퇴로를 마련해 준 것이기 때문이다.

◇재계 대변자 역할 제대로 해야

허 회장은 재벌개혁 논란이 최고조에 달했던 지난 8일 올해 첫 이사회에서 '서민생활 안정과 경제 활력 회복을 위한 경제계 다짐'을 내놓았다. 전경련이 이사회에서 결의문을 채택한 것은 2003년('경제난국 극복을 위한 경제계의 제언') 이후 처음이다.

그러나 이는 정치권의 공세에 적극 대응한 것이라기보다는 날선 칼끝을 피하느라 급급한 모습으로 비쳤다. 결국 양대 선거가 있는 올해 이 문제는 허 회장이 안고 가야할 과제로 남게 됐다. 갈수록 재계에 대한 정치권과 사회적 압박이 거세질 것이기 때문이다.

때문에 앞으로 4월 총선과 12월 대선에서 어떤 식으로 든 허 회장이 앞장서서 재벌 개혁에 대한 정제된 의견을 내야 한다는 데 이견이 없다. 이미 정치권이 출자총액제한제 부활, 재벌세 도입 등 다양한 방법으로 재계를 압박하고 있다. 전경련의 존재 이유와도 직결된 문제인 만큼 정치권과의 마찰은 피할 수 없다.

그나마 전경련이 허창수 회장 취임 1주년을 맞아 정치권의 재벌개혁 논란에 대한 대응방안을 마련키로 해 재계의 시선을 모으고 있다. 재계 대표로서 선거 때마다 반복되는 반기업정서 확산을 막아보겠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23일 전경련은 서울 플라자호텔에서 정기총회를 열고 반기업정서 대응책 마련과 기업경영환경 개선 등에 대해 논의했다.

특히 올해 사업의 주안점을 최근 정치권을 중심으로 진행되는 대기업 규제강화와 조세제도 개편에 대한 대국민 인식전환에 두기로 했다.

재계의 눈에는 다소 늦은 감이 있겠지만 허 회장이 취임 1주년을 맞아 재계의 입장을 대변하려 나섰다는 점에서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하지만 허 회장의 전경련에 대한 재계의 평가는 박하다. 전경련의 쇄신에 대한 답이 없고, 이슈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할 정도로 소통이 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또 4대기업 총수들의 출석률이 저조한 것도 허 회장의 힘을 빼는 요인이다. 이날 회의에도 허 회장과 강신호 동아제약 회장, 이준용 대림 회장 등만 참석했다.

한 대기업 임원은 "정치권과 여론의 뭇매를 기업들이 나서서 맞고 있는 상황이다. 기업이 일일이 대응할 수 없는 사안인데도 전경련이 주도적으로 나서지 않고 있어 답답하다"며 "전경련에 대한 혁신은 차치하고라도 내부 소통도 안 되는 것 같아 걱정된다"고 말했다.

반면 전경련은 정치권의 이슈에 대해 일일이 대응하기보다 선거 이후 정치권에 재계의 입장을 한데 모아 전달한다는 방침이다. 전경련 쇄신 요구에 대해서는 한국경제연구원을 싱크탱화하고 대국민 홍보를 강화하기 위해 예산도 확대한 상태라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뉴시스] 

인터넷뉴스팀  green@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