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후쿠시마 원전 사고이후 방사능 제거 특허 급증세...6년만에 15배 폭발적 증가
상태바
日 후쿠시마 원전 사고이후 방사능 제거 특허 급증세...6년만에 15배 폭발적 증가
  • 한익재 기자
  • 승인 2017.07.11 12: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내에서도 고리 1호기 해체작업이 시작되는 등 관심 크게 높아져

2011년 日 후쿠시마 원전 사고이후 방사능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흡착제 관련 특허가 급증세를 보이고 있다.

국내에서도 국내최초의 원자력발전소인 고리 1호기의 해체작업이 시작되는 등 방사성 물질에 대한 관심이 자주 부각되고 있다. 

특히 반감기가 길어서 체내에 흡수되면 인체에 해로운 방사성 세슘(Cs-137, 반감기 30년)을 제거하는 흡착제에 관한 출원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특허청에 따르면, 작년(2016년) 한 해 관련 기술의 출원 건수는 2010년 대비 15배에 이르러, 올해 4월 기준으로 총 61건(2010년 ∼ 2017년 4월)이 출원된 것으로 밝혀졌다.

출원된 특허는 대부분 국내 기업·기관의 것으로 조사되었다. 외국 기업·기관의 출원 건수는 전체 출원 건수의 10% 수준에 불과하다.

특히, 전체 출원 건수의 21%가 한국원자력연구원, 16%가 경북대 및 안동대의 출원인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원자력발전소가 위치한 울진·월성 등의 지역이 관련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고, 연구개발 역시 활발하였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방사성 원소 중에서는 세슘에 대한 흡착 기술이 전체 출원의 56%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세슘은 반감기가 30년에 이르고, 사람의 장기와 근육에 쉽게 축적되어, 불임증, 전신마비, 골수암 등의 질병을 유발하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된다.
    
그 밖에도 혼합된 방사성 원소를 흡착하는 기술이 26%, 요오드에 대한 흡착 기술이 8%인 것으로 밝혀졌으며, 우라늄, 루테늄, 텅스텐 및 몰리브덴을 흡착하는 기술도 출원되었다.

또한, 과거에는 천연 무기 물질을 흡착제로 사용하기 위한 방법 등, 세슘 흡착제를 구성하는 재료에 대한 연구가 주로 진행되었으나, 최근에는 기존에 연구된 흡착용 물질의 성능을 개량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한 것으로 파악됐다.

세슘과 같이 반감기가 긴 방사성 원소는 미량이라도 인체에 흡수되면 오랜 기간 체내에 잔존하여 유해한 영향을 끼치므로, 극소량이라도 완벽하게 흡착할 수 있는 기술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특허청 반용병 정밀화학심사과장은 “정부는 지난 2011년 이후 원자력안전법 개정 등 원자력 에너지의 안전한 사용을 위한 노력을 경주해왔다.”며, “특허청 역시 방사성 물질로 인한 피해의 예방을 위해 매진하는 발명자들을 위하여, 관련 특허 동향을 제공하는 등의 노력을 계속하겠다”고 밝혔다.

 

한익재 기자  gogreen@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