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이야기] 인간을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영화 '공각기동대'
상태바
[과학이야기] 인간을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영화 '공각기동대'
  • 한익재 기자
  • 승인 2017.08.04 10: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나' 자신이 인간인지 컴퓨터인지 구분할 수 없다면, 어떤 기분일까.

영화 공각기동대(1995)는 서기 2029년, 인간의 뇌와 컴퓨터가 상호 연결되는 '전뇌화' 기술이 발달된 미래를 그리고 있다. 영화는 인간, 기계, 생명, 기억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들을 관객들에게 던지며 큰 충격을 주었고, 매트릭스, 제 5원소 등의 작품에 큰 영향을 끼친 SF 애니메이션의 걸작으로 꼽힌다.

박성우 IBS 분자활성 촉매반응 연구단 연구위원은 영화 매트릭스 장면을 컴퓨터 화면보호기로 설정해놓을 정도로 좋아한다. 그는 영화 공각기동대가 매트릭스의 효시가 되는 작품으로, 컴퓨터와 인간의 경계가 사라지는 미래에 생명과 인간다움은 무엇인지를 생각해보게 한다며 이 영화를 추천했다.

'공각기동대'는 테러 진압을 주 임무로 하는 수상 직속의 특수부대다. 서기 2029년, 인간이 네트워크와 자유롭게 연결될 수 있는 시대에 정체불명의 해커 '인형사'가 등장한다.

인형사는 사람들을 마치 인형처럼 조종한다는 뜻에서 붙은 별명으로, 네트워크에서 정보를 빼낼 뿐 아니라 인간의 뇌에 가짜 기억을 심어 조종하기까지 한다. 공각기동대의 부대원인 주인공 쿠사나기와 동료들은 인형사를 잡기 위해 수사하던 중, 인형사가 외무부의 비밀 외교 업무용 프로그램이지만, 네트워크 내에서 생명력을 지니게 되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쿠사나기는 뇌의 일부 외에는 전신이 로봇인 사이보그(cyborg)로, 인형사를 보면서 자신의 정체성에 대해 크게 혼란스러워한다. 마침내 인형사 체포에 성공하지만, 이는 인형사가 쿠사나기를 만나기 위해 의도했던 것이었다. 쿠사나기는 인형사의 바람대로 그와 융합하여 새로운 존재로 다시 태어난다.

인간과 네트워크‧기계가 혼재하는 시대, 정체성에 대한 필연적 고민

"인간이 인간으로 살기위해 많은 부품이 필요하듯이, 자신이 자신답게 살려면 아주 많은 것이 필요하지. 타인을 대하는 얼굴, 자연스러운 목소리, 눈 뜰 때 응시하는 손, 어린 시절 기억, 미래의 예감, 그것만이 아냐! 전자두뇌가 접속할 정보와 네트워크 그 모든 것이 '나'의 일부이며 '나'라는 의식을 낳고 동시에 계속해서...'나'를 어떤 한계로 제약하지...'

쿠사나기는 사이보그와 인간 사이의 존재인 자신의 정체성에 대해 동료 바트에게 이렇게 말한다.

인간과 컴퓨터의 구분이 모호해지는 세계에서 살아가는 존재에게 정체성에 대한 고민은 필연적이다. 영화 속에서 다뤄지는 '전뇌화'는 인간이 컴퓨터와 직접 연결돼 원하는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컴퓨터로 인간의 뇌를 해킹해 기억과 의식까지 조작하는 데 활용될 수 있는 기술이다. 인간과 컴퓨터의 경계가 희미해지고, '진짜 나'의 정체성을 의심하게 되는 지점이다.

박연구원은 "내가 누군지 찾아가는 길은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이 영화를 통해서 한 가지 더 알게 된 느낌입니다. 쿠사나기는 인형사에게 기억을 조작당한 청소부 사건을 접하면서 혼란스러웠던 것 같아요. 자신의 기억은 진짜인지 의심하기 시작한 것 같습니다. 사이보그가 되면서, 자신 또한 기억이 조작될 만한 상황은 충분했을 거라는 의심이 드는 것이죠. 외형은 인간과 똑같지만, 뇌의 일부만이 인간인 존재이기 때문에 쿠사나기는 자신의 정체성에 대해 더욱 고민합니다."고 말했다.

영화는 쿠사나기를 통해 정체성의 고민을 다룸과 동시에, 더 나아가 생명체를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영화 속 인형사는 일부러 정부 조직원들에게 붙잡힌 뒤, "하나의 생명체로서 정치적 망명을 요청한다."라고 말한다.

조직원들이 인형사의 주장을 부정하자, 인형사는 인간의 유전자도 자기 보존을 위한 프로그램에 지나지 않는다며, 자신을 정보의 바다에서 태어난 생명체로 규정짓는다. 이 장면은 우리가 일반적으로 믿고 있던 생명체에 대한 정의 자체를 흔들어 놓는다.

"기억에 영혼도 담겨있을까요? DNA 정보만 갖고 있으면 모두 생명체일까요?"

영화에서는 영혼과 생명을 이루는 데 '기억'이나 '정보'가 중요하다는 일반적인 생각에 의문을 제기한다. 인형사의 말대로 인간도 기억이 주입된 프로그램에 지나지 않을지도 모른다. 때문에 주인공 쿠사나기는 기억이나 정보가 자신의 전부가 아닐 거라고 의심했다. 영화는 개인의 정체성이나 생명체의 정의에 대해 어떤 결론도 내리지 않지만, 기억과 영혼, 유전 정보와 생명체 간의 관계에 대해 되돌아보게 한다.

인류가 선택할 미래는 어떤 모습일까

박 연구위원은 영화 속에서 가장 인상 깊은 장면으로 수몰 지역의 박물관에서 전차가 박물관 벽에 그려진 '헤켈의 생명의 나무' 그림에 총탄을 쏘는 장면을 꼽았다. '생명의 나무'는 진화 계통도로, 인간을 진화의 정점으로 그려놓은 그림이다.

공통 조상에서 인간으로 진화하기까지 생명의 나무는 하나의 줄기에서 여러 갈래의 가지 끝까지 뻗어나간다. 이 장면은 인간이 진화의 정점에 있다는 그림의 주제가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음을 선언한 장면으로 해석되기도 하지만, 박 연구위원은 다른 해석을 내놓았다.

"총탄이 생명의 나무를 아래에서 위로 드르륵 쏘면서 올라가지요. 총탄이 생명의 근원에서부터 현재까지, DNA에 담겨 있는 기억을 훑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이 장면은 마치 '우리 몸 속 DNA는 진화의 역사를 다 기억하고 있을까? 생명의 본질에 대해서 기억하고 있는가?' 라고 제게 묻는 것 같았어요. 총격전의 장소를 자연사 박물관으로 택한 것이 바로 이런 질문을 던지고 싶었던 감독의 의도라고 생각합니다."

박 연구위원은 영화가 2029년의 미래상을 1990년대 당시의 사회와 비슷하게 그린 것 또한 어떤 문명이든 본질은 변하지 않음을 반영한 것으로 보았다. 감독은 실제 홍콩 거리의 모습을 영화에 그대로 반영하고자 했는데, 오래된 것과 새로운 것이 공존하는 홍콩의 모습이 '정보 홍수' 시대를 표현하는 데 적합해 보였기 때문이라고 분석한다.

"문명이 발달해도 변하지 않는 것들이 있겠죠. 주어진 상황과 그에 대해 내리는 인간다운 선택 같은 것들 말입니다. 영화의 결말 부분에서 쿠사나기와 인형사의 융합으로 새로운 존재가 탄생합니다. 제가 쿠사나기였다면, 존재 방식 자체가 변할 수도 있는 그런 위험한 선택을 하지 않았을 거에요. 사이보그지만 정체성에 대해 누구보다 강한 의지를 보인 쿠사나기가 제게는 인간보다 더 인간적으로 느껴졌습니다."

불가능해 보이는 가정에서 답을 얻다

영화는 '우리 뇌에 있는 정보를 디지털화해 컴퓨터 저장파일처럼 다룰 수 있다면?'이라는 가정에서 출발한다. 전뇌화 기술을 통해 프로그램이 인체에 주입되는 고스트(ghost) 과정이 가능하다는 미래 상황을 설정한 것이다. 인간이라고 말하기 어려운 존재를 통해 완전한 인간은 무엇으로 정의할 수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박 연구위원은 영화에서 비현실적인 가정을 세우고, 그로부터 답을 얻는 과정이 자신의 연구와 많이 닮아 있다고 했다.

박연구위원은 "과학 분야에서 반드시 실험을 해야만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영화에서는 현재로서는 불가능한 미래, 사이보그와 전뇌화 기술이 발달된 2029년의 상황을 가정하고, 인간을 정의하는 다양한 방식들을 찾아냈습니다."고 말했다.

주인공 쿠사나기는 영화의 마지막 장면에서 "이제 어디로 갈까. 네트는 광대하거든."이라는 말을 남기며 어디론가 떠난다. 마지막 대사는 이제까지와는 전혀 다른 새로운 세계가 열릴 것임을 암시한다. 박 연구위원은 영화에 대해 어떤 결론도 섣불리 내리지 않았다. 다만, 사이보그의 자아 정체성을 향한 강한 의지를 보면서 자신을 돌아보게 되었다고 말했다. 박 연구위원 역시 과학자로서 자신만의 새로운 연구 지평을 넓혀가기를 기대한다.

한익재 기자  gogreen@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