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정동욱 원자력학회장 "尹정부 100일 긍정적...사용후핵연료 문제 경쟁 통해 효율성 높여야"
상태바
[인터뷰]정동욱 원자력학회장 "尹정부 100일 긍정적...사용후핵연료 문제 경쟁 통해 효율성 높여야"
  • 김의철 기자
  • 승인 2022.08.25 07:46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尹정부, 그 동안 원자력계가 건의했던 대부분 사안 수용해 긍정 평가"
- "제10차 전력수급계획 정교하게 세우고... 사용후핵연료 처리·처분 기술 개발 경쟁시켜야"
- "혁신형 SMR, 오는 2028년까지 달성해야...규제기관과의 협력채널 구축이 중요"
- "원전 수출, 국민수용성 높아져 필요...동유럽시장 수주, 원전 도약 계기 될 것"

윤석열 대통령이 취임한지 100일이 지났다. 

윤 대통령은 대선을 치르는 과정에서, 그리고 취임 이후 줄곧 원전생태계 부활을 강조해왔다. 

문재인정부는 '탄소중립'을 선언하고도 2017년 취임과 동시에 탈원전정책을 밀어부쳤다. 이 기간 동안 전례없이 많은 원자력공학자들이 언론을 통해 탈원전정책에 대한 우려와 반대견해를 쏟아내기도 했다. 

그 중에서도 약 5700여명의 원자력공학자들이 모여있는 원자력학회를 1년 동안 이끌었던 정동욱 중앙대 에너지시스템공학부 교수가 눈에 띈다. 

정동욱 교수는 지난해 9월1일부터 제 34대 원자력학회장을 맡아 탄소중립과 경제성을 위해서는 재생에너지 중심으로 발전원을 전환하되, 기저전원으로서 원자력을 잘 활용해야 한다는 차분한 논리로 많은 공감대를 만들어냈다. 

<녹색경제신문>은 오는 30일부로 학회장 임기를 마치게 되는 정 교수를 찾아 윤석열정부 100일간의 에너지정책 평가를 부탁했다...<<편집자 주(註)>>

정동욱 중앙대 에너지시스템공학부 교수 겸 원자력학회장 [사진=녹색경제]
정동욱 중앙대 에너지시스템공학부 교수 겸 원자력학회장 [사진=녹색경제]

 

윤석열정부는 취임초부터 에너지정책 특히 원전생태계 회복을 거듭 강조했다. 지난 100일간의 성과에 대해 평가해달라

- 그 동안 원자력학계에서 건의했던 대부분의 사안 수용해 긍정적으로 평가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윤석열정부는 기존원전의 계속운전과, 신한울 3, 4호기의 건설재개, 그리고 사용후핵연료 처리에 대한 특별법 제정을 추진하고 있다. 그리고 원전수출을 위해 여러가지로 노력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신규원전 건설과 차세대 원전인 소형모듈원자로(SMR) 개발도 속도를 내고 있다. 

이는 그 동안 원자력학계가 탈원전정책에 따른 원자력산업생태계 붕괴를 회복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건의했던 것들이 대부분 수용돼 다행스럽게 생각한다. 

이제부터가 중요할텐데, 윤석열정부의 남은 과제에 대해 짚어달라

- 제10차 전력수급계획 정교하게 세우고, 사용후핵연료 처리 '경쟁' 통해 '효율성' 제고해야

원자력계 입장에서는 탈원전정책 폐기가 끝이 아니라, 오히려 시작이라는 느낌이다. 이제부터는 정교한 에너지전환 계획을 세우고 차질없이 실행해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올해말부터는 제10차 전력수급계획(2022년~2035년)을 수립하게 되는데, 원전 비중을 얼마로 해야할 지 어떻게 신규원전을 건설해야 할지 등을 논의하게 된다.

현재는 대략 2030년경 원전 비중을 30% 정도로 가져가는 것으로 돼있는데, 10차 전력수급계획에서는 좀 더 정교한 계획을 세워야 한다. 

특히, 가장 중요한 이슈인 사용후핵연료 처리를 위한 특별법을 추진하고 있는데, 이를 이행하기 위한 시행령과 절차, 이를테면 국민의견을 수렴하고, 사회적합의를 형성하고, 적합한 부지확보를 위한 절차가 필요하다.

사용후핵연료 처리 문제는 안전을 위한 기술적 접근과 함께 경제성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 경제성이 원전의 가장 큰 장점이기 때문에 이를 살리면서 안전한 대안을 찾아내야 한다.

안전과 경제성은 원자력이 저렴하면서도 안전한 에너지원이 되기 위해 꼭 필요한 양대조건이다. 이 두가지 조건을 충족해야 원전이 지속가능한 에너지원으로서 기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후핵연료를 지하에 매립한다고 했을 때, 얼마나 깊이 묻어야 안전하면서도 경제적인지를 잘 따져봐야 한다. 효율성도 고려해야 한다는 의미다. 

학회내에서도 사용후핵연료 처리와 처분의 두가지 대안을 놓고 이미 경쟁이 시작됐다. 경쟁을 통해 보다 효율적인 대안을 찾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우리나라의 사용후핵연료 처리기술은 아직 사용후핵연료 처분에 직접 활용하기에는 기술개발이 조금 더 필요한 것 같다. 안전을 위한 기술로는 문제가 없지만, 경제성을 조금 더 확보해야 한다. 

하지만, 이 기술은 원전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고, 세계적으로도 확보가 어려운 기술이기  때문에 꾸준히 추진해나가야 한다. 

- 혁신형 SMR, 오는 2028년까지 달성해야...규제기관과의 협력채널 구축이 중요

혁신형 SMR은 오는 2028년까지 원자력계가 힘을 합쳐 달성해야 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규제 기관이 상당한 열쇠를 갖고 있고 협력이 필요하다. 안전성을 확보하면서도 기술 개발을 성공시킬 수 있는 협력채널이 잘 구축돼야 한다. 

- 원전 수출, 국민수용성 높아져 필요...동유럽시장 수주하면 원전산업 도약 계기 될 수 있어

원전 수출의 중요성은 두번 강조할 필요도 없다. 우선 원전 수출을 통해 국민수용성이 획기적으로 높아질 수 있어서 반드시 필요하고, 지금 동유럽시장이 열리면서 좋은 기회가 만들어졌다. 

아마도 오는 2024년까지 어쩌면 내년에는 폴란드나 체코에서 어느 사업자가 수주할 것인지 윤곽이 드러날 것으로 본다. 향후 동유럽 시장이 크게 확대될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둘 중 하나라도 수주할 수 있다면 원전산업의 도약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 尹 대통령, 원전세일즈 외교 나서고 한미 원자력 공조 활용하면 성과 기대할 만

따라서 윤 대통령이 올 하반기나 내년 상반기 원전세일즈 외교에 나서준다면 도움이 될 것이다. 우리나라의 기술경쟁력은 강점이 있지만, 원전수주는 외교력도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이다. 

또한 원칙적으로 한미 양국의 원자력 공조를 잘 활용하면 좋겠다. 미국은 수주를 하더라도 공급망이 갖춰져 있지 않아 우리나라와 공조를 해야 한다.

하지만, APR1400같은 우리나라 고유 원전이 진출한다면 발전소 설계, 건설, 운전, 운영, 정부. 보수까지 더 나아가서 해체에 이르기까지 훨씬 더 부가가치가 커지고, 상당한 경력을 축적할 수 있고 후속사업에도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집트 원전은 거의 확정됐고, 발전계통에서 공사와 기기를 공급하는 2~3조원 규모가 우리나라의 수주 몫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 

 

◇정동욱 중앙대 에너지시스템공학부 교수는 서울대 원자핵공학 학사, KAIST 원자력공학 석사,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MIT) 원자력공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수력원자력 중앙연구원 수석연구원으로 APR1400개발에 참여했고, 경제협력개발기구 산하 원자력기구(OECD/NEA) Gen-4 기술사무국 기술조정역,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에너지환경전문위원장, 한국원자력안전재단 이사, 한국연구재단 원자력단장을 역임했다. 

지난해 9월 약 5700명의 회원을 둔 한국원자력학회 제34대 학회장직을 맡아 탈원전정책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논리적인 대안을 제시해 중도층의 넓은 공감대를 얻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김의철 기자  lycaon@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박상길 2022-08-25 08:19:16
존경합니다. 정동욱 학회장님. 학회장님의 그간의 큰 수고와 한없는 헌신은 원자력계 모두가 다 잘 알고 고마워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