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철성의 주간증시] '사드보복-금리인상' 영향 불가피
상태바
[박철성의 주간증시] '사드보복-금리인상' 영향 불가피
  • 박철성 칼럼리스트
  • 승인 2017.03.06 10: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내증시의 횡보 국면이 불가피해졌다.

중국의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관련 보복이 장기화할 것이라는 우려감과 연방준비위원회(연준·Fed)의 3월 금리 인상 가능성 때문이다. 이는 3월 중순까지 시장 상승 탄력을 약화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경기 펀더멘탈은 여전히 견고하다. 하지만 정치·경제 이슈에 대한 민감도가 높다. 3월 중반까지 보수적인 시각을 유지해야 하는 배경이다.

중국 발 사드 관련 보복 장기화 우려는 국내 증시에 걸림돌로 작용할 전망이다. 단기적으로는 중국의 사드 보복에서 비교적 자유로울 수 있는 업종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즉 반도체와 금융 업종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또 업종별 펀더멘털을 충실히 반영한 운용 전략이 필요하다. 특히 매출액 증가 전망에 따른 이익률 개선이 기대되는 산업 중심의 포트폴리오를 유지하는 전략이 유효하다는 보고다.

국내증시는 지난주 초반 외국인이 대형주 IT를 중심으로 순매도하며 하락했다. 그러나 28일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의회 연설 이후 정책 기대감이 반영, 투자심리가 살아났다. 여기에 2월 수출입지표 호조에 따른 외국인 순매수로 2,100선을 회복했다.

하지만 3일 사드 배치와 관련한 중국 정부의 보복 여파로 중국 관련주들이 폭락했다. 지수는 2,070선으로 하락 마감했다.

지난 4거래일간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은 4,923억 원을 순매수했다. 반면 개인과 기관은 각각 1,496억 원, 5,557억 원을 순매도했다.

지난 3일(현지시각) 재닛 옐런 미국 연준 의장이 3월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강하게 내비쳤다. 이달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은 높아진 상황이다.

옐런 의장은 3일 시카고 경영자클럽 연설 자료에서 “이달 회의에서 고용지표와 물가가 우리의 예상과 맞는지 확인할 것”이라며 “(예상에서 벗어나지 않을 경우) 연방기금(FF) 금리의 추가 조정이 적절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옐런 의장에 앞서 주요 연준 이사들도 “최근 미국 경제가 뚜렷한 회복세를 보인다”며 기준금리 인상 필요성을 시사했다.

연준은 오는 14~15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열고 기준금리를 결정할 예정이다.

금리 상승 기조는 정해진 순서다 상승 모멘텀은 재개될 것이란 예상이다. 따라서 이에 대한 민감도가 높은 업종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관건은 미국의 금리 인상을 신흥국 시장이 어느정도의 스트레스로 받아 들일지다. 글로벌 경기 개선 과정에서 금리 인상은 유동성 축소 우려보다는 경기 개선 자신감으로 해석될 가능성이 높다. 연 3번의 금리 인상은 글로벌 금융시장이 버틸만한 수준으로 판단된다.

물론 신흥국 입장에서는 다소 자금 이탈에 대한 우려도 존재다. 그러나 FOMC 이후 불확실성 해소 차원의 여지는 충분하다고 분석한다.

한편 코스피와 코스닥지수 격차가 30개월 만에 최대치로 벌어졌다. 수출 대형주가 포진한 유가증권시장과 중·소형주가 많은 코스닥시장이 상반된 모습을 보이기 때문이다.

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2일 기준으로 코스피(2,102.65)와 코스닥지수(608.93) 격차가 1,493.72포인트까지 벌어졌다. 이는 2014년 9월 1일(1,500.91) 이후 30개월 만에 가장 컸다.

이번 주(3월 6~10일) 국내증시 키워드는 세 가지로 압축된다.

먼저 영국 EU 탈퇴를 위한 리스본 조약 50조 발동(7~8일)이 꼽힌다. 상원의 최종 승인 시, 10~15일 중 본격적인 브렉시트 통지 및 EU 회원국과의 개별 협상에 착수할 전망이다.

이는 유로존 정치 불확실성 확산과 함께 그간 쉼 없이 내달려왔던 글로벌 위험자산 시장의 숨 고르기 전환 및 차익실현 욕구를 자극할 소지가 다분하다고 분석한다.

두 번째 키워드는 오는 9일, 3월 선물옵션 동시 만기. 매도우위의 3월 동시 만기 주 시장의 수급이 전개될 예상이다.

세 번째로 오는 9~10일 또는 13일, 헌법재판소의 대통령 탄핵 결정이 예정을 꼽을 수 있다. 2015년 브라질 호세프 탄핵 당시 금융시장은 ▲질서 있는 탄핵안 확정, ▲정책 기대감의 부활과 함께 방향을 선회했다.

이미 시장은 국민 여론에 부합하는 헌재 선고를 상당 부분 선반영하고 있다. 탄핵안 인용이 시장의 서프라이즈로 작용할 가능성은 극히 제한적이다. 단, 민심에 반하는 결론이 도출될 경우 증시의 단기 충격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박철성 칼럼리스트  pcseong@naver.com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추천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