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반도체·배터리 등 공급망 100일간 검토...LG에너지솔루션·SK이노베이션 소송전 영향 미치나
상태바
바이든, 반도체·배터리 등 공급망 100일간 검토...LG에너지솔루션·SK이노베이션 소송전 영향 미치나
  • 박근우 기자
  • 승인 2021.02.25 22: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바이든, 4대 핵심 품목 공급 체인 검토 행정명령
- 반도체·전기차 배터리·희토류·의약품 4대 검토 대상...배터리 미국 시장 기회 확대
- SK이노베이션, LG에너지솔루션에 패소 이후 바이든 거부권 가능성 기대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반도체·배터리 등 중요 산업 품목의 공급망에 대한 검토에 착수한 가운데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한국 기업들의 반사이익이 기대되고 있다. 

반면 미국이 4대 핵심 품목에 대해 금융 인센티브 등을 제공하면서 자국 내 생산을 독려할 경우 한국 업체들이 피해를 볼 수도 있어 치밀한 전략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배터리 소송전에 패소한 SK이노베이션에게는 바이든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에 기대를 걸게 됐다는 분석도 나온다.

백악관에 따르면 24일(현지시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반도체, 전기차 배터리, 희토류, 의약품 등 4개 분야에 대한 미국의 공급망을 100일 동안 검토하도록 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미국 국민들은 그것이 자동차이든 처방약이든, 지역 식료품점의 음식이든 그들이 필요로하는 상품과 서비스가 부족한 상황에 처해서는 안된다"고 밝혔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백악관 홈페이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백악관 홈페이지]

행정명령에는 국방과 보건, 에너지 등 6개 산업에 대해 1년간 공급망을 검토하는 내용도 담겼다.

검토 대상인 주요 품목들은 코로나19 사태 등으로 인해 미국이 수급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차량용 반도체의 경우 전 세계에서 부족현상이 일어나면서 제너럴모터스(GM)의 경우 일부 북미 공장의 가동을 다음달까지 중단한 상황이다. 

이들 품목의 공급선을 다변화해, 필수 부품 부족 등으로 자국 제조업 기업들이 생산 라인을 멈추는 일을 없게 하려는 취지다.

특히 이들 품목은 세계 시장에서 중국 기업의 시장점유율 비중이 높다는 점에서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려는 목적이란 해석이 나온다. 실제로 중국은 지난 2010년 센카쿠열도(댜오위다오)를 놓고 영유권 분쟁을 벌인 일본에 대해 희토류 공급을 줄여 일본 산업계에 피해를 입혔다.

미국 정부는 한국·일본·대만 등 기존 동맹국과의 협력을 확대해 공급망을 강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반도체의 경우 2030년 중국의 생산량이 전세계의 24%까지 늘어나 1위가 될 전망이라는 점에서 미국은 향후 수급 리스크를 피하기 위해 견제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메모리 반도체 분야에서 세계 1위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한국 기업의 반사이익이 예상된다. 일각에서는  국내 주요 반도체 기업의 대(對) 중국 수출 비중이 40~50%를 차지하고 있어 신중론도 제기된다. 국내 기업 입장에서는 미국도 중요하지만 중국 시장도 수성해야 하기 때문. 미국 정부가 한국 기업에 양자택일을 요구할 경우 난감한 처지에 몰릴 수 있다. 

국내 전기차 배터리 업계는 청신호가 켜졌다. 현재 중국 배터리 시장은 자국 기업들이 정부 보조금 등 지원에 힘입어 절대적인 우위를 점하고 있다. 한국 기업으로서는 미국 시장이 크게 열리면서 점유율을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되는 셈이다. 

SK이노베이션은 LG에너지솔루션과의 배터리 소송에서 패소한 상황에서 호재라는 관측이 나온다. 바이든 정부는 '2026년까지 전기차 보급률 25%'라는 공약을 달성하기 위해 배터리 공급망이 중요하다. 중국 기업을 배제한 상황에서 LG에너지솔루션과 SK이노베이션이 대안이다. SK이노베이션은 미국 조지아주(州)에 배터리 공장을 건설 중인 가운데 국제무역위원회(ITC)의 패소 판결에 대해 바이든 대통령의 거부권 가능성에 기대를 걸 수 있다. 

재계 관계자는 "바이든 행정부가 반도체, 배터리 등 투자 유치가 필요한 상황이기 때문에 한국 기업에는 기회 요인"이라며 "한편으론 바이든 행정부가 4대 핵심 품목에 대해 금융 인센티브 등을 제공하면서 미국 내 생산을 독려할 경우 한국 업체들이 피해를 볼 수 있는 상황도 면밀히 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박근우 기자  lycaon@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