펀드 민원 봇물 증권사들, 내부통제·전산 민원도 급증···리스크관리 비상
상태바
펀드 민원 봇물 증권사들, 내부통제·전산 민원도 급증···리스크관리 비상
  • 황동현 기자
  • 승인 2020.12.10 16:1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올 3분기까지 증권사 펀드민원 지난해 보다 92.5% 급증
- 같은기간 내부통제·전산민원도 815건으로 지난해 보다 32.5% 증가 
여의도증권가[사진=연합뉴스]
여의도증권가[사진=연합뉴스]

올해 사모펀드 사태로 민원이 급증했던 증권사들이 내부통제와 전산민원도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리스크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금융감독원이 10일 공개한 '2020년 1~3분기 금융 민원 동향'에 따르면, 3분기까지 금감원에 접수된 민원건수는 총 6만8917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9% 증가했다. 같은기간 금융민원 처리 건수는 6만5004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9.5% 증가했다.

전년 동기 대비 민원이 가장 급증한 곳은 증권사가 포함된 금융투자권으로 전년 동기 대비 80.5% 늘었다. 금융투자에 포함되는 투자자문회사(1028건), 자산운용회사(536건), 부동산신탁회사(414건), 선물회사(71건) 모두 민원이 늘었지만, 특히 증권사가 1901건에서 3659건으로 92.5%(1758건) 늘어 폭증세를 견인했다.

증권사의 민원은 사모펀드 관련 판매사 대상 민원, WTI원유선물 연계상품 민원 등으로 ‘펀드’ 및 ‘파생’ 민원이 각각 897건, 156건으로 크게 증가했다. 민원유형별 비중으로 보면 펀드 관련이 26.3% 가장 높았고, 내부통제·전산(22.3%), 주식매매(14.0%), 파생(5.2%) 등 순이었다.

지난해 상반기의 경우, HTS·MTS 등 전산오류가 대부분을 차지했다면, 지난해 하반기와 맞물려 올해는 라임·옵티머스와 같은 사모펀드와 관련된 민원이 많았다. 이어, 올해 내부통제·전산민원도 크게 늘어 지난해 3분기까지 615건이던 것이 올해는 815건으로 32.5%나 증가했다. 

(출처=금융감독원)

올 들어 주식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과 홈트레이딩시스템(HTS)에서 전산장애가 끊이지 않았지만 증권사들의 전산 인프라 투자는 인색했다. 전체 판매관리비 대비 전산운용비 비중은 최근 5년 이래 최저 수준이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올해 3분기 기준 미래에셋대우·한국투자증권·KB증권·NH투자증권 등 전체 증권사 57곳의 전산운용비는 4239억7000만원이다. 이는 작년 3분기 3882억6000만원 보다 9.2% 늘어난 규모지만 전체 판관비 7조2000억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87%로 1년 전의 5.96%보다 0.09%포인트 줄었다. 2016년 7.2%,  2017년 6.5%, 2018년 6.5% 등 감소추세로 잦은 전산장애에도 불구하고 인프라 투자에 대한 관리는 소홀한 셈이다.

실제 지난 3월 증시가 연저점을 기록할 당시 키움증권과 NH투자증권, SK증권 등에서는 MTS접속이 지연됐으며 국제유가가 사상 처음으로 마이너스로 진입했던 4월에는 한국투자증권과 키움증권 등에서 시스템 장애가 나타났다. 기업공개(IPO)투자 열풍이 불던 지난 9월에는 삼성증권과 한국투자증권 HTS와 MTS에 전산장애가 발생하기도 했다.

근래 NH투자증권, 대신증권, 신한금융투자 등은 투자자 보호를 위한 대책을 잇따라 내놨다. 투자자 자문기구를 설치하거나 (태스크포스(TF)를 발족시키는 등 구체적인 개선안을 내놓거나, 시스템 재구축, 상시적인 금융교육을 약속하는 등이다.

그러나 증권사들의 이같은 움직임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도 적지 않다. 투자자를 보호한다는 명목 하에 조직을 완전히 바꾸고 외부 전문가를 초빙해도, 투자자와 증권사 간의 크고 작은 분쟁과 민원은 줄어들지 않고 오히려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같은 현상에는 금융당국의 느슨한 관리도 한몫했다는게 업계 안팎의 공통적인 시각이다. 지난 몇년간 투자자 보호를 위한 여러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나, 강제적인 성격을 띠지 못한 권고 수준일 뿐이라는 것이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현재 사태에 비춰봤을 때 불완전판매에 대한 처벌과 함께 가장 중요한 것은 증권사와 소속직원들의 모럴헤저드 방지와 준법정신, 철저한 리스크관리 시스템 구축, 이에 대한 체계적인 감시체계 등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황동현 기자  financial@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