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배터리 한·중·일 삼국지, 글로벌 1위를 수성하라...무협 "연 50억 달러대 주력 수출품 부상"
상태바
전기차 배터리 한·중·일 삼국지, 글로벌 1위를 수성하라...무협 "연 50억 달러대 주력 수출품 부상"
  • 박근우 기자
  • 승인 2020.08.17 11: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소재 원천 기술 및 원자재 확보, 인프라 확충, 전·후방 생태계 구축 등 노력 경주해야 "

우리나라 전기차 배터리 산업이 글로벌 리더 위치를 확고히 하기 위해 향후 2~3년 간 기술력과 인프라, 산업 혁신 생태계 구축 등에 더욱 심혈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원장 최용민)이 18일 발표한 ‘한·중·일 배터리 삼국지와 우리의 과제’에 따르면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이차전지) 시장 규모는 2016년 150억 달러에서 지난해 388억 달러로 2배 이상 증가했다.

더불어 우리나라의 해당 품목 수출도 2014-2019년 간 연평균 12.8%씩 늘어 2019년에는 46억 8,300만 달러를 기록했다. 또한 올해 상반기에는 전년 동기대비 4.0% 감소한 22억 1,700만 달러를 기록했지만, 하반기에는 상승세가 예상되어 연간으로는 50억 달러대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지난 5년 간 한·중·일 3국의 글로벌 배터리 시장 점유율(글로벌 10대 제조사, 출하량 기준)을 살펴보면, 한국이 2016년 9.5%에서 올해 34.5%를 기록, 1위로 뛰어 오른 반면, 중국은 올해 감소세로 돌아서서 32.9%로, 일본은 2018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올해 26.4%로 각각 줄어들었다.

보고서는 최근 배터리 시장의 경쟁 심화 요인으로 ▲배터리 단가 하락, ▲글로벌 합종연횡, ▲완성차 업체의 배터리 시장 진출(수직 계열화)을 꼽았으며, 이에 따라 전 세계 생산의 93.8%를 차지하는 한·중·일 간의 각축전도 치열해 질 것으로 내다 봤다.

보고서는 따라서 “앞으로 2~3년이 배터리 산업의 미래 경쟁력을 좌우할 중대 고비가 될 뿐만 아니라 중장기적으로는 경쟁력 있는 5개 미만의 업체가 시장을 독점 또는 과점하는 형태로 흘러갈 가능성이 높다”면서 핵심 경쟁력을 선점하지 못하면 시장 점유율이 후퇴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더구나, 소재 원천 기술은 한·중·일 3국이 박빙을 이루는 만큼 전고체 배터리 등 차세대 기술 특허의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할 것으로 보았다. 또한 과거 LCD 분야에서 중국이 특허 수에서 우리를 추월한 후 시장 점유율 1위를 빼앗아 간 사례를 들며 소재 기술의 특허와 상용화에 정부 관심 제고도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 밖에도 리튬, 니켈 등 원자재의 안정적 확보와 전기차 충전소와 같은 인프라 확충, 전·후방 산업의 전기차 시대로의 전환 대응, 혁신을 선도하는 생태계 구축 등도 중요한 과제로 보고서는 꼽았다.

무역협회 손창우 수석연구원은 “최근 우리 배터리 산업의 위상이 높아지고 있지만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다”면서 “향후 2~3년 내 급격한 시장 재편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노력 뿐만 아니라 산·관·학의 집중적인 협력체계 구축도 시급하다”고 말했다.

박근우 기자  lycaon@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