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이후 아시아 금융허브, 싱가포르는 되고 서울은 안 되는 까닭은?
상태바
홍콩 이후 아시아 금융허브, 싱가포르는 되고 서울은 안 되는 까닭은?
  • 박종훈 기자
  • 승인 2020.08.07 07: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외부 평가는 박하고, 내부적으로 자신감도 결여, 정책은 반동적
자료 = 전경련 제공
자료 = 전경련 제공

 

홍콩보안법 시행 이후, 향후 아시아 금융허브의 지위를 어떤 도시가 가져갈 수 있을지 관심이 주목된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미중 무역갈등과 홍콩보안법의 영향조사' 자료를 내고 홍콩에 진출한 한국기업 34개사의 의견을 취합했다.

이들 중 88.2%가 홍콩보안법이 홍콩의 금융허브 지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했다.

홍콩을 대체할 아시아 금융허브로 꼽힌 도시는 싱가포르가 88.2%를 차지했다.

반면 서울이나 부산 등 한국의 도시를 대체지로 응답한 기업은 한 곳도 없었다.

영국컨설팅그룹 ‘Z/Yen’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금융경쟁력은 세계 33위로, 5위인 싱가포르나 6위 홍콩에 크게 뒤져 있다. 

경제자유지수(헤리티지재단 경제자유지수연감) 역시 25위로, 1위 싱가포르나 2위 홍콩과 비교할 수 없다. 

그나마 기업환경 평가(WB Doing Business 2020)가 5위를 차지해 2위 싱가포르, 3위 홍콩과 견줄 수준.

아시아 주요국가와 도시들이 최근 공격적인 금융허브 전략을 펴고 있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싱가포르는 물론이고, 일본 도쿄, 중국 상하이, 인도 뭄바이 등이 수시로 회자되고 있는 것.

아시아 국가들의 경제개발에 있어서 지원산업 역할을 했던 금융업이, 뉴욕이나 런던의 경우처럼,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인식되고 있다.

한국에서 금융허브와 관련된 담론이 본격 제기됐던 것은 지난 2003년부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외부에서 바라보는 시선도, 스스로를 평가하는 태도도 부정적이다.

가장 큰 원인은 금융허브가 대체 무엇인지에 확실한 그림을 그리지 않은 상태에서 정치적 수사로만 활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가령 홍콩이 그랬던 것처럼 적극적인 역외 금융시장을 지향하려면 그에 걸맞는 법제도의 정비 및 파격적인 규제완화가 불가피하다.

이를테면 자산운용시장을 육성하려고 한다면서, 자산운용업 등록기간을 현 2년에서 단축하려는 시도는 없다.

싱가포르에선 헤지펀드를 설립하는 데 24시간이면 절차가 끝난다.

이미 다양한 분야 기술과 접목돼 하루가 다르게 다양한 기법이 등장하고 있는 금융산업의 오늘을 볼 때, 당국에 권한이 집중되는 보수적 형태의 정책은 금융허브론과 걸맞지 않다.

 

 

박종훈 기자  financial@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