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대 그룹, 홍콩에 해외법인 83곳 운영 'SK 최다'...해외 계열사 수, 삼성·한화·LG·현대차·SK 순
상태바
10대 그룹, 홍콩에 해외법인 83곳 운영 'SK 최다'...해외 계열사 수, 삼성·한화·LG·현대차·SK 순
  • 박근우 기자
  • 승인 2020.06.08 00: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CXO연구소, 2020년 10大 그룹 해외 계열사(법인) 현황 분석
- 한화, 미국 142곳으로 가장 많고…SK, 중국(99곳)과 홍콩(44곳)에 해외 계열사 가장 많이 둬
- 10대 그룹, 일본보다 베트남에 해외 법인 더 많아…아시아권 국가에 절반 가까이 해외 계열사 배치

최근 홍콩 국가보안법(홍콩보안법)이 통과로 미국과 중국의 갈등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한국 10대 그룹은 홍콩에 해외 법인 83곳을 두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우리나라 10대 그룹이 지배하고 있는 2650곳이 넘는 해외 계열사 중 1000곳 정도는 미국과 중국 두 나라에 설립해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7일 기업분석 전문 한국CXO연구소(소장 오일선)가 조사한 ‘2020년 국내 10대 그룹 해외 계열사 현황’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파악된 국내 10대 그룹에서 실질적으로 지배하고 있는 해외 계열사는 101개 국가에 2652곳으로 전년도 2580곳보다 72곳 많아졌다.

조사는 공정거래위원회가 올해 밝힌 공정 자산 기준 10대 그룹이고, 해외 법인(계열사) 현황은 각 그룹이 금융감독원에 제출한 자료를 토대로 분석이 이뤄졌다.

올해 그룹별 해외 법인 숫자는 삼성이 608곳으로 가장 많았고, 한화가 402곳으로 두 번째로 파악됐다.

이어 LG(358곳), 현대차(354곳), SK(352곳), 롯데(233곳), 포스코(137곳), GS(125곳)으로 해외 계열사 수만 100곳을 넘었다.

국가별로 살펴보면 중국에 545곳(20.6%)으로 가장 많은 계열사를 둔 것으로 조사됐다. 여기에는 홍콩(83곳)에 계열사를 둔 숫자도 포함됐다.

미국은 462곳(17.4%)으로 두 번째로 많았다.

미국과 중국(홍콩 포함) 두 나라에 계열사를 둔 숫자만 해도 1006곳으로 올해 처음 1000곳을 넘어섰다. 이는 작년도 824곳보다 182곳(22.1%)이나 많아진 숫자다.

그만큼 국내 10대 그룹은 미국과 중국 시장을 중요한 먹거리 시장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방증이다.

하지만 최근 미국과 중국이 홍콩보안법으로 갈등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두 나라에 해외 법인을 많이 두고 있는 것이 향후 어떤 경영 함수로 작용할 지는 아직까지 미지수다.

10대 그룹별로도 글로벌 경영 셈법이 복잡해졌다.

10대 그룹 중 미국에 가장 많은 계열사를 두고 있는 곳은 삼성을 제치고 한화가 142곳으로 가장 많았다. 한화의 경우 태양광 사업과 관련해 미국에 해외계열사를 많이 운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어 삼성(79곳), 현대차(71곳), SK(66곳), LG(37곳) 순으로 미국에 해외 법인을 많이 두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홍콩을 제외한 중국에는 SK가 99곳이나 되는 법인으로 최다였다. 이어 LG(82곳), 삼성(77곳), 현대차(70곳), 롯데(39곳) 순으로 높았다.

홍콩에 해외 법인을 가장 많이 둔 곳 역시 SK가 먼저 이름을 올렸다. 10대 그룹 중 SK는 44곳이나 되는 계열사를 홍콩에 배치 놓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홍콩보안법 통과로 미국이 기존에 유지해오던 홍콩 특별지위 박탈이 현실화 하면 홍콩은 금융 허브로서의 메리트가 떨어질 수도 있는 상황이다.

이럴 경우 SK 그룹이 홍콩에 계열사를 둔 회사들을 향후 어떻게 지배해나갈 지과 관심사로 대두됐다.

롯데(18곳)와 삼성(13곳)도 10곳 넘는 회사를 홍콩에 두고 있는 상황이다.

국내 10대 그룹은 중국, 미국 다음으로 베트남(98곳)에 많은 해외 계열사를 두고 있는 상황이다. 롯데는 31곳이나 되는 회사를 베트남에 세워 10대 그룹 중에서는 가장 많이 운영 중이다.

이어 삼성(19곳), LG(14곳), 한화(11곳) 순으로 베트남에 해외 법인이 많았다.

반면 일본에 둔 계열사 수는 95곳으로 베트남보다 적었다. 10대 그룹 중 8개 그룹은 모두 일본 내 법인 숫자가 10곳 이하로 적었다.

특히 삼성(9곳), 롯데(5곳), 현대차(3곳) 일본 계열사 숫자는 미국과 중국은 물론 베트남보다도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10대 그룹은 베트남 시장을 일본보다 더 메리트 있게 보고 있다는 방증으로 풀이된다.

이외 10대 그룹은 인도네시아 85곳, 인도 84곳, 캐나다 83곳, 싱가포르 79곳, 멕시코 69곳, 터키 68곳 순으로 해외 계열사를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대륙별로는 아시아 지역 국가에 1240곳(46.8%)으로 최다였다. 국내 10대 그룹은 아시아 시장을 제품 생산 기지와 판매 시장으로 가장 크게 염두 해두고 있는 것으로 풀이되는 대목이다.

이어 북미 615곳(23.2%), 유럽 597곳(22.5%), 남미 103곳(3.9%), 오세아니아 66곳(2.5%), 아프리카 31곳(1.2%) 순으로 해외계열사를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일선 CXO연구소장은 “지난해보다 올해 미국과 중국의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있어 미중 경제 전쟁 불씨가 크게 확산될 경우 직간접적으로 국내 주요 그룹들의 입지도 좁아질 수 있다”며 “특히 코로나19로 인한 국내 수출 약화, 홍콩보안법 통과, 한일 간 경제 갈등 불씨 등은 국내 그룹들에게 대외적인 불확실성을 가중시켜 국내 그룹들의 글로벌 경영이 더욱 힘든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나라 서울 등도 홍콩에 버금가는 세계적 금융 도시가 되기 위한 장기 플랜 마련이 절실하다”고 덧붙였다. 

박근우 기자  lycaon@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