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래건’ 우주선의 끝없는 진화…화물→인형→2인승→4인승→?
상태바
‘드래건’ 우주선의 끝없는 진화…화물→인형→2인승→4인승→?
  • 정종오 기자
  • 승인 2020.06.01 17: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스페이스X, 다음 목표는 ‘다인승’ 우주선
'크루 드래건'이 팔콘9 로켓에 실려 우주로 발사되고 있다.[사진=NASA]
'크루 드래건'이 팔콘9 로켓에 실려 우주로 발사되고 있다.[사진=NASA]

2020년 5월 31일.

전 세계적으로 가장 관심 있는 뉴스는 ‘크루 드래건(Crew Dragon)’ ‘드래건 인데버(Dragon Endeavour)’가 됐다. 민간기업이 만든 최초의 유인우주선이 발사에 성공했다. 발사 이후 19시간 비행 끝에 국제우주정거장(ISS)에 무사히 도착했다. 196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미국과 러시아 중심의 우주개발이 민간기업으로 넘어왔다는 점에서 우주개발의 ‘터닝 포인트(Turning Point)’가 마련됐다는 평가이다.

일론 머스크(Elon Musk)가 이끄는 스페이스X가 개발한 ‘크루 드래건’은 우리나라 시간으로 5월 31일 오전 4시 22분 발사됐다. 발사 이후 2분 뒤에 1단 로켓이 분리되는 등 자동으로 이뤄진 일련의 과정이 성공적으로 진행됐다. ‘크루 드래건’은 본궤도에 오른 뒤 19시간 동안 ISS와 도킹하기 위한 준비에 들어갔다.

ISS는 지구 상공 약 400km를 공전하고 있다. 이 궤도를 따라잡기 위해서는 고도를 높이고 가속하는 작업이 필요했다. 이 모든 과정 또한 자동으로 이뤄졌다. 마침내 31일 오후 11시쯤 ‘크루 드래건’은 ISS에 무사히 도킹했다. 가슴을 졸이던 미국 항공우주국(NASA)과 스페이스X 관계자들은 환호성을 질렀다.

'크루 드래건'이 팔콘9 로켓에서 분리되고 있다.[사진=NASA]
'크루 드래건'이 팔콘9 로켓에서 분리되고 있다.[사진=NASA]

◆화물→인형→2인승→4인승→?=스페이스X의 우주개발은 한마디로 ‘진화의 역사’를 실천하고 있는 것으로 표현된다. 스페이스X는 NASA와 손잡고 그동안 우주개발을 공동으로 시작해 왔다. 컬럼비아호 폭발 등 잦은 사고가 이어지면서 2011년 NASA의 우주왕복선 임무가 종료됐다. 관련 예산도 많이 줄었다. NASA는 위기에 휩싸였다. 이를 돌파한 게 민간기업과 제휴였다. 그 대상자로 일론 머스크의 스페이스X가 선정됐다. 스페이스X는 NASA의 기술지원 아래 화물우주선 개발부터 나섰다.

스페이스X의 화물우주선 ‘드래건’은 수십 차례 ISS에 화물을 실어 날랐다. 이를 통해 유인우주선을 만드는 기초 체력을 다진 셈이다. 지난해 3월 인형을 태운 유인우주선 실험체가 ISS에 도킹한 바 있다. 화물에서 시작해 인형을 태워 시험에 나선 것이다.

이어 로버트 벤켄과 더글라스 헐리 2명의 우주비행사가 ‘크루 드래건’을 직접 타고 이번에 우주 비행에 성공했다. 스페이스 X의 다음 목표는 4인승 유인우주선에 있다. 화물에서 인형으로, 인형에서 2인승으로, 2인승으로 다인승 유인우주선으로 계속 진화하고 있다.

'크루 드래건' 승무원인 벤켄 우주비행사가 ISS에 도킹한 뒤 '크루 드래건'에서 ISS로 나오고 있다.[사진=NASA]
'크루 드래건' 승무원인 벤켄 우주비행사가 ISS에 도킹한 뒤 '크루 드래건'에서 ISS로 나오고 있다.[사진=NASA]

◆우주 관광 시대 왔다=‘크루 드래건’은 우주비행사가 직접 타고 ISS 도킹에 성공했는데 이번 우주선 또한 엄격히 말해 실험 비행이다. 지난해 인형을 태운 유인우주선이 실험체인 ‘데모-1’이었고 이번 비행은 ‘데모-2’이다. 아직 일반인이 우주선을 타고 여행하기에는 이르다는 것이다.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게 많다.

실제 이번에 비행에서도 ‘크루 드래건’이 상승할 때 많이 흔들리고 진동이 심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전문 우주비행사가 아닌 일반인이 탑승해 우주로 가기 위해서는 이런 문제 등 해결해야 할 숙제가 아직 남아 있다.

다만 이번에 2명의 우주비행사를 태우고 ISS 도킹에 성공한 만큼 우주 관광의 꿈은 현실이 됐다. 스페이스X의 다음 목표가 4인승 유인우주선에 있는 것과 무관하지 않다. 스페이스X의 차세대 우주개발은 더 많은 사람을 태우고 우주 공간을 오갈 수 있는 왕복선에 있다.

한편 이번 ‘크루 드래건’은 ‘인데버(Endeavour)’라는 이름을 사용하기로 했다. ‘인데버’라는 명칭은 로버트 벤켄 우주비행사가 NASA 전통에 따라 자신들이 타고 온 우주선에 별칭을 붙여주면서 생긴 이름이다. 벤켄이 명명한 ‘인데버'(Endeavour)’는 자신들이 과거에 탑승했던 우주왕복선 이름과 같다.

일론 머스크 스페이스X 최고기술책임자는 1일 “민간이 만든 우주선으로 두 명의 우주비행사가 ISS로 들어서는 모습은 역사적 사건으로 기록될 것”이라며 “벤켄과 더그 두 명의 우주비행사가 ‘드래건 인데버(Dragon Endeavour)’ 우주선의 실험실에 도착했다”고 전했다.

짐 브리든스틴(Jim Bridenstine) NASA 국장은 “미국 땅에서 미국 로켓에 실린 우주선으로 NASA 소속 우주비행사가 ISS로 향한 것은 새로운 우주 비행의 시작을 알리는 것”이라며 앞으로 달과 화성으로 인류를 보내기 위한 프로젝트에도 속도가 날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지난달 31일 미국 플로리다 케네디우주센터 발사현장에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직접 참석했다. 발사 장면을 지켜봤다. 성공적으로 발사된 이후 트럼프는 “믿을 수 없다”며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트럼프의 이 같은 행동이 NASA로서는 불편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행정부가 들어서면서 NASA 관련 예산이 많이 삭감됐다. 여기에 ISS 운영에 필요한 예산도 장기적으로 줄여나가겠다는 게 트럼프 행정부의 입장이다. 관련 예산은 삭감하면서 NASA의 성과 발표 자리에 대뜸 나타난 것을 두고 ‘공짜 숟가락’을 얹는 행동으로 비칠 수 있다는 해석도 있다.

정종오 기자  science@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