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단체 “두산重에 2.4조 지원한 산은·수은” 공익감사 청구
상태바
환경단체 “두산重에 2.4조 지원한 산은·수은” 공익감사 청구
  • 김의철 전문기자
  • 승인 2020.05.06 22: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검증 없는 금융지원…손실나면 국가 예산으로 메꿔야” 
-  "두산重, 해외 석탄화력에 수조원 추가 지원 필요...KDI, 인니 석탄화력 6000억 손실날 것"
-  "가스터빈 상용화 실적 없는 두산重...가스발전 시장은 이미 포화상태"
국내 주요 환경단체들이 두산중공업 금융지원과 관련 감사원에 공익감사를 청구하고 기자회견을 하는 모습. [사진=기후솔루션]

그린피스와 기후솔루션, 경남환경연합, 마창진 환경운동연합 등 4개 국내 환경단체들은 6일 감사원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두산중공업에 약 2.4조원 금융 지원을 결정한 산업은행, 수출입은행(이하 산은, 수은)에 대해 공익감사를 청구했다. 

이들은 두산중공업의 미래 현금흐름 창출가능성과 사업전망에 대한 충분한 검토가 이루어졌는지 철저한 감사가 필요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들 단체들은 “두산중공업에 대한 최근의 금융 제공은 재무구조 개선 약정이나, 정밀 실사 등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지난 3월 26일 1조원 대출을 시작으로 추가 지원이 거듭 이뤄졌다”면서 “두산중공업이 내세우는 석탄, 가스발전 사업에 대한 전망이 과대평가된 점이 지원을 이끌었다”고 지적했다. 

산은과 수은은 은행의 적립금으로 손실을 보존하지 못하면 정부가 손실을 보전하는 공공기관이므로 채무상환에 대해 엄격히 판단하고 여신을 집행할 의무가 있는데, 이번 두산중공업 금융지원 과정에서 기업의 잠재성과 미래가치를 제대로 검토했는지 판단이 필요하다는 것이 감사청구의 요지다.

단체들은 두산중공업에 집행된 막대한 공적 금융의 직접 이익이 두산중공업의 임직원이나 국민이 아니라 사실상 국내외 채권자, 사채권자에게 돌아간 점도 지적했다. 최근 논란이 된 2200억 원이 골프장 클럽모우 CC에 돌아간 것이 그 일부라며, 코로나19(COVID-19) 여파가 예견된 상황에서 2.4조원에 달하는 공적 금융 지원의 공공성이 확보됐는지 의심하는 근거라고 밝혔다. 

두산중공업의 투자자 설명자료 및 2020년 주주총회 발표에 의하면, 두산중공업은 향후 기존의 신규 해외 석탄화력 사업을 지속하고 신산업으로서 가스발전에 주력할 것으로 알려졌다. 

단체들은 이 두가지 사업 부문에 대한 낙관적 전망이 대출금 회수 가능성에 대한 객관적 평가가 부실하다고 보는 결정적 근거라고 주장했다. 전 세계 석탄화력발전 발주가 급감한 데다, 두산중공업이 추진 중인 해외 석탄화력 사업을 위해서는 수출신용, 프로젝트 금융 같은 추가 정부지원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앞서 한국개발연구원(KDI)은 두산중공업의 최대 석탄화력발전 사업인 인도네시아 자와 9∙10 호기 사업 예비타당성 평가에서 두산중공업과 한국전력공사의 예상 손실 규모를 6000억원 이상으로 예측하고 투자 부적합 판단을 내린 바 있다.

장마리 그린피스 기후에너지 캠페이너는 “두산중공업과 두 은행은 석탄화력 사업을 중심으로 형성된 파국적 관계”라고 비판했다. “수출입은행과 무역보험공사 등 공적 금융기관이 지난 10년간 진행한 국내외 석탄발전 사업의 절반 이상을 담당한 것이 두산중공업”이라며 “구조조정이 필요한 기업이 손실 사업을 도려내지 못한 원인에는 끊임없이 지원된 석탄금융도 한 몫했다"고 분석했다.

단체들은 가스발전의 미래에 대한 장밋빛 전망도 문제라고 비판했다. 

두산중공업은 가스터빈 기술력과 국내외 가스발전 건설 기회 확대로 재무 위기를 돌파한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국제에너지기구(IEA)에 의하면, 가스발전 관련 최종투자결정 용량은 미국과 중동에서 각각 30%, 50% 감소한 것을 비롯해 전세계적으로 3년 연속 감소했다. 이미 제너럴일렉트릭, 지멘스, 미쓰비시 등이 각축을 다투며 포화 상태에 이른 가스발전 시장에서 두산중공업은 2023년에야 첫 상용화가 가능한 실정이라며 우려했다. 

김주진 기후솔루션 대표는 “지금의 가스발전 시장은 불과 10년 전과도 매우 다르다. 유럽과 미국 시장에서 이미 가스발전은 재생에너지와의 가격 경쟁에서 졌다"며 "시장 축소로 가스발전 시장이 포화상태로 변해 생존이 불확실한 상태에서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의 대규모 자금 지원은 위험한 도박을 하는 것과 같다. 이는 공적 금융기관으로서의 책무에 반한다”고 지적했다.

박종권 마창진 환경운동연합 운영위원은 "장래가 불투명한 대기업에 퍼붓는 수조원이 석탄화력 확대에 꾸준히 쓰였다. 이는 기후위기로 고통 받을 시민과 미래 세대에 대한 철저한 외면"이라고 꼬집었다.

이날 단체들은 감사 청구와 함께 두산중공업에 대한 실사정보, 2.4조원 대출의 근거자료, 두산중공업 자구안 정보 공개 등을 요구했다. 앞서 기후솔루션은 지난달 7일 자구안을 비롯해 대출 관련 정보공개를 요청했으나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은 관련 결정을 연기한다고 통보했다.

감사원은 이날 접수된 감사 청구에 대해 규정상 1개월 내 회신할 의무가 있다. 

단체들은 “산업은행, 수출입은행이 제공한 채무 상환에 대한 감시와 더불어 예비타당성 평가를 통해 부적합한 투자로 규정된 인도네시아 자와 9∙10호기 투자 결정 문제도 지속적으로 감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의철 전문기자  defence@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