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100대 기업 영업이익률, 7년 중 최저 '인건비율 최고'..."저효율 고비용 현상 고착화"
상태바
작년 100대 기업 영업이익률, 7년 중 최저 '인건비율 최고'..."저효율 고비용 현상 고착화"
  • 박근우 기자
  • 승인 2020.04.29 01: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지속성장연구소, 2013년부터 7년간 100大 상장사 인건비 및 고용 현황 분석
- 최근 7년 중 지난 해 100대기업 영업이익률 4.5%로 최저…인건비율은 7.1%로 높아 대비
- 임직원 1인당 평균 보수 9천만 원 넘는 기업 2013년 5곳서 2019년 20곳으로 4배 증가

작년 국내 100대 기업의 영업이익률은 4.5%로 2013년 이후 7년 중 최저 수준을 기록할 때 인건비율은 7.1%로 가장 높아 경영 부담이 가중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경영 내실이 감소하는데도 임직원 한 명에게 주는 평균 연간 보수를 9천만 원 넘게 주는 기업 숫자도 2013년 5곳에서 작년에는 20곳으로 4배 많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28일 조직개발 전문업체 지속성장연구소(대표이사 신경수)가 ‘2013년~2019년 7년 간 국내 100大 기업 경영 성과에 따른 인건비 및 고용 현황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는 한국CXO연구소에 의뢰해 각 년도별 매출액 기준 100대 상장사를 대상으로 매출·영업이익(개별 및 별도 재무제표 기준)과 인건비 및 고용 현황 등을 분석해 이뤄졌다.

인건비, 1인당 평균 연간 보수 등은 미등기임원과 부장급 이하 직원을 합친 숫자 기준이다. 고용 현황은 실제 보수를 지급받은 인원수로 계산됐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00대 기업의 매출액은 964조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2018년 1006조 원 때의 95.8% 수준이고, 2013년(995조 원)과 2014(978조 원) 때보다 더 적은 매출 외형이다.

국내 대기업의 매출 외형 성장은 이미 한계점에 도달했다는 의미가 강하다.

매출 외형 성장이 한계점에 도달했다는 것보다 더 심각한 문제는 영업 내실이 더 부실해졌다는 점이다.

지난 해 100대 기업이 올린 영업이익 규모는 43조 6309억 원이다.

2017년 94조 1213억 원, 2018년 97조 6422억 원과 비교하면 각각 46.4%, 44.7%로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특히 작년 100대 기업 영업이익은 2013년 이후 최근 7년 중 가장 적어 문제의 심각성은 더했다. 2014년(47조 9866억 원), 2015년(52조 511억 원), 2016년(58조 3336억 원)에 올린 영업이익보다 낮았다.

지난 해 국내 100大 기업 영업내실이 크게 쪼그라든 원인은 명확했다. 제품 및 서비스 등의 판매 부진 등으로 인한 매출 하락이 가장 컸다. 여기에 인건비 부담도 일정 부분 작용한 것으로 분석됐다.

국내 100대 기업이 임직원에게 지급한 인건비 규모는 2013년 57조 2505억 원→2014년 59조 6362억 원→2015년 63조 2869억 원→2016년 63조 9196억 원→2017년 64조 3584억 원→2018년 68조 1949억 원으로 지속 증가했다. 작년에는 68조 1528억 원으로 전년과 비슷했다.

통상적으로 인건비가 증가하게 되면 고용이 늘거나 임직원 1인당 평균 보수가 높아지는 것으로 연결된다. 때문에 인건비 증가로 고용이 증가했다는 단면적인 수치만 놓고 보면 긍정적 의미로 해석될 여지도 있다.

실제 최근 7년 간 임직원 고용 숫자는 2013년 80만 4182명→2014년 81만 9443명→2015년84만 4387명으로 증가했다. 이후 고용 인력은 2016명 83만 132명으로 줄었다가 2017년(82만 1410명)→2018년(83만 3214명)→2019년(84만 2586명) 최근 3년간은 연속 증가세로 돌아섰다.

문제는 매출과 영업내실 등의 경영성과 대비 인건비 및 고용과의 상관관계를 따져보면 얘기는 달라진다.

특히 지난 해 100대 기업의 매출 대비 영업이익 비율(이익률)은 4.5%로 2013년 이후 최저를 기록했다. 이와 달리 매출대비 인건비 비율(인건비율)은 7.1%로 최근 7년 중 가장 높아 대조를 보였다.

지난 2017년에는 이익률(9.7%)이 인건비율(6.6%)보다 더 컸다. 2018년에도 상황은 비슷했다. 2017년과 2018년에는 이익률이 인건비율 보다 2.9~3.1% 정도 높았던 것.

반면 지난해는 인건비율이 이익률보다 2.5%나 높았다. 이는 2013년~2016년 사이 0.3~1.2%로 인건비율이 이익률보다 더 높은 것과 비교해도 2배에서 8배 정도 높은 비율이다.

지난 해 100대 기업 인건비가 높아진 이유 중에는 고액 보수를 주는 기업이 늘어난 것도 한 요인으로 꼽혔다. 실제 임직원 1인당 평균 보수를 9천만 원 이상 고액 보수를 주는 기업 수는 2013년에는 5곳 밖에 되지 않았다.

이후 2014년 7곳→2015년 8곳→2016년→11곳→2017년 12곳→2018년 17곳으로 점점 증가했다.

지난해는 처음으로 20곳이나 됐다. 최근 7년 중 영업이익이 가장 적을 때 고액 보수를 지급한 기업 수는 역설적이게도 가장 많았던 것. 특히 임직원 1인당 평균 급여가 1억 원 넘는 기업 숫자도 2013년 2곳에서 작년에는 처음으로 10곳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경수 대표는 “국내 대기업의 경우 경영 성과와 상관없이 임직원들의 보수는 꾸준히 상승하다 보니 저효율 고비용 현상이 고착화되고 있는 상황이다”며 “높아지는 인건비 부담으로 인해 중소기업의 경우 우수 인재의 이탈화 현상은 물론 대기업조차 해외로 공장을 이전하려는 오프 쇼어링(Off-shoring) 등이 나타나고 있어 국내 기업의 경쟁력을 위해서는 인건비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선결 과제 중 하나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신 대표는 "최근 코로나19로 인해 해외 기업들이 국내로 복귀하려는 리쇼어링(Reshoring) 바람이 활발해지려면 인건비 문제를 어떻게 풀지가 가장 핵심"이라고 덧붙였다. 

박근우 기자  lycaon@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