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을 품다] AI가 ‘당신의 최고 스타일’을 만들어준다
상태바
[과학을 품다] AI가 ‘당신의 최고 스타일’을 만들어준다
  • 정종오 기자
  • 승인 2020.04.06 12: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카이스트 연구팀, 관련 반도체 칩 개발
얼굴 이미지 수정 시스템을 통해 GANPU 칩의 성능을 확인했다. 헤어 스타일을 자연스럽게 변형했다. [사진=카이스트]
얼굴 이미지 수정 시스템을 통해 GANPU 칩의 성능을 확인했다. 원래 사진(왼쪽)에서 수정한 헤어 스타일(오른쪽)로 자연스럽게 변형했다. [사진=카이스트]

이미지 스타일 변환 등을 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반도체 칩이 개발됐다. 모바일 기기에서의 AI 활용 영역을 크게 넓혔다. 앞으로 이미지 스타일 변환, 영상 합성, 이미지 복원 등 생성적 적대 신경망(GAN)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에 다양하게 응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카이스트(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유회준 교수 연구팀이 생성적 적대 신경망(GAN,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을 저전력,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인공지능 반도체를 개발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AI 반도체는 다중-심층 신경망을 처리할 수 있고 이를 저전력의 모바일 기기에서도 학습할 수 있다. 연구팀은 이번 반도체 칩 개발을 통해 이미지 합성, 스타일 변환, 손상 이미지 복원 등의 생성형 AI 기술을 모바일 기기에서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

기존에 많이 연구된 AI 기술인 분류형 모델(Discriminative Model)은 주어진 질문에 답을 하도록 학습된 인공지능 모델로 물체 인식과 추적, 음성인식, 얼굴인식 등에 활용된다.

이와 달리 생성적 적대 신경망(GAN)은 새로운 이미지를 생성·재생성할 수 있어 이미지 스타일 변환, 영상 합성, 손상된 이미지 복원 등 광범위한 분야에 활용된다. 모바일 기기의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영상·이미지 내 사용자의 얼굴 합성)에도 사용돼 학계뿐 아니라 산업계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생성적 적대 신경망은 기존의 딥러닝 네트워크와 달리 여러 개의 심층 신경망으로 이뤄진 구조이다. 개별 심층 신경망마다 다른 요구 조건으로 최적화된 가속을 하는 것이 어렵다.

고해상도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 기존 심층 신경망 모델보다 수십 배 많은 연산량을 요구한다. 적대적 생성 신경망은 연산 능력이 제한적이고 사용되는 메모리가 작은 모바일 장치(스마트폰, 태블릿 등)에서는 소프트웨어만으로 구현할 수 없었다.

최근 모바일 기기에서 인공지능을 구현하기 위해 다양한 가속기 개발이 이뤄지고 있는데 기존 연구들은 추론 단계만 지원하거나 단일-심층 신경망 학습에 한정돼 있다.

연구팀은 단일-심층 신경망뿐 아니라 생성적 적대 신경망과 같은 다중-심층 신경망을 처리할 수 있으면서 모바일에서 학습도 가능한 인공지능 반도체 GANPU(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 Processing Unit)를 개발해 모바일 장치의 인공지능 활용범위를 넓혔다.

연구팀이 개발한 인공지능 반도체는 서버로 데이터를 보내지 않고 모바일 장치 내에서 생성적 적대 신경망(GAN)을 스스로 학습할 수 있어 사생활을 보호를 가능케 하는 프로세서라는 점에서 그 활용도가 기대된다.

모바일 기기에서 저전력으로 다중-심층 신경망을 가속하기 위해서 다양한 핵심 기술이 필요하다. 연구팀이 개발한 GANPU에 사용된 핵심 기술은 세 가지이다.

우선 적응형 워크로드 할당(ASTM)이다.  ASTM은 처리해야 할 워크로드를 파악해 칩 상의 다중-심층 신경망의 연산과 메모리 특성에 맞춰 시간·공간으로 나눠 할당함으로써 효율적으로 가속하는 방법이다. 두 번째는 입출력 희소성 활용 극대화(IOAS)이다. 인공신경망 입력 데이터에서 나타나는 0뿐 아니라 출력의 0도 예측해 연산에서 제외함으로써 추론과 학습 과정에서의 속도와 에너지효율을 극대화시킨다. 마지막으로 지수부만을 사용한 0 패턴 추측(EORS)이다. 인공신경망 출력의 0을 예측하기 위한 알고리즘으로 인공신경망 입력과 연결 강도의 부동소수점 데이터 중 지수 부분만을 사용해 연산을 간단히 수행하는 방법이다.

이 세 가지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연구팀의 GANPU는 기존 최고 성능을 보이던 심층 신경망 학습 반도체 대비 4.8배 증가한 에너지효율을 달성했다.

연구팀은 GANPU의 활용 예시로 태블릿 카메라로 찍은 사진을 사용자가 직접 수정할 수 있는 응용 기술을 시연했다. 사진상의 얼굴에서 머리·안경·눈썹 등 17가지 특징에 대해 추가·삭제 및 수정사항을 입력하면 GANPU가 실시간으로 이를 자동으로 완성해 보여주는 얼굴 수정 시스템을 개발했다.

강상훈 박사과정이 1 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결과(논문명 : GANPU: A 135TFLOPS/W Multi-DNN Training Processor for GANs with Speculative Dual-Sparsity Exploitation)는 국제고체회로설계학회(ISSCC)에서 발표됐다.

유회준 교수는 “이번 연구는 하나의 칩에서 추론만이 아니라 학습까지 모두 가능해 여러 개의 딥러닝 네트워크를 동시에 지원하는 인공지능 반도체를 개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라며, “모바일 기기에서의 인공지능 활용 영역을 크게 넓혀 앞으로 이미지 스타일 변환, 영상 합성, 이미지 복원 등 GAN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에 다양하게 응용될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말했다.

정종오 기자  science@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