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쿠시마 방사능 대응 않는 일본, 그 속셈이 궁금하다
상태바
후쿠시마 방사능 대응 않는 일본, 그 속셈이 궁금하다
  • 서창완 기자
  • 승인 2019.11.29 17:4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우리나라 비롯한 주변국 소극적 자세에 일본은 '무대응'
하늘에서 본 후쿠시마 제1원전 부지 전경. [사진=연합뉴스]
하늘에서 본 후쿠시마 제1원전 부지 전경. [사진=연합뉴스]

"오염된 빗물이 땅 속으로 스며들었다."-NHK 보도.

"오염된 빗물이 땅속에 새고 있을 가능성은 있다."-도쿄전력 해명.

"주변 지하수 분석 결과 방사성 물질 농도 변화는 없다."-도쿄전력 설명.

후쿠시마 오염수를 두고 여전히 도쿄전력의 설명과 해명은 설득력을 얻지 못하고 있다. 오염된 빗물이 땅 속으로 스며들었는데 방사성 물질 농도 변화는 없다는 '과학적'으론 이해되지 않는 설명만 이어가고 있다. 이 같은 태도를 두고 도대체 일본의 '속셈'이 어디에 있는 지, 주변 국가와 국제적 압박이 약하기 때문이란 분석도 나왔다.   

원전 사고가 일어난 지 8년이 지났음에도 후쿠시마 환경 오염 문제는 끊이지 않고 있다. 우리 정부가 좀 더 적극적으로 이 문제를 접근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우리나라는 후쿠시마 오염수 방출 등 사고로 인한 피해를 직접적으로 입을 수 있는 인접 국가다. 이런 우려를 반영한 듯 정부는 최근에 와서야 국제공조 등 일본을 압박하는 방안을 시도하고 있다. 뒤늦은 문제 제기인 만큼 일본에 통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지난 28일 일본 공영방송 NHK는 후쿠시마 제1원전 배기탑에서 나온 방사성 물질로 오염된 빗물이 땅속으로 스며든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배기탑에서 흘러나온 빗물을 모으기 위해 설치한 콘크리트 상자에 구멍이 난 것으로 추정된다는 내용이었다. 수위 40cm가 되면 전용 탱크에 물을 보내게 설계된 콘크리트 상자가 물을 탱크로 보내지 않을 때도 수위가 낮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도쿄전력은 콘크리트 상자에 생긴 구멍으로 오염된 빗물이 땅속에 새고 있을 가능성은 인정했다. 다만 주변 지하수 분석 결과 방사성 물질 농도 변화가 보이지 않는다고 했다.

콘트리트 상자는 후쿠시마 사고를 대하는 일본 정부의 안일한 인식을 보여주는 상징적 장치다. 2011년 원전 사고 뒤 내부가 심하게 오염된 높이 약 120m 배기탑에서 생긴 고농도 방사성 물질을 외부로 보내지 않기 위해 만들었다. 도쿄전력이 이 상자의 누수 방지 대책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는데 국내에서는 믿을 수 없다는 반응이 높다.

이정윤 원자력안전과미래 대표는 “후쿠시마 사고 원전 안에 고 방사능이 아직까지 잔뜩 쌓여 있는 상황”이라며 “원자로가 오염이 심한 상황에도 접근을 할 수 없어 해체도 못 하고 있다. 도쿄전력이 모든 문제에 있어 거짓말로 일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일본 정부는 후쿠시마 오염수 문제를 감추는 데 급급하고 있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28일 열린 한·중·일 원자력안전 고위규제자회의(TRM)에서 오염수 처리 문제에 국제 공조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전달했다. 일본 측은 회의에서 “오염수 처리 방법이 결정되지 않았고, 방법이 결정되면 규제 기관은 따를 뿐”이라는 입장을 재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시민사회에서는 우리나라 정부가 자료 제출 요구에 좀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보고 있다.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 문제 등이 시민사회에서 이미 오래전 지적됐음에도 지난 8월에야 행동에 시작한 만큼 기일을 정해 자료 제출 요구 등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장마리 그린피스 기후에너지 캠페이너는 “정부 부처에서 우려 표시를 하거나 자료 제공 요청을 하는 등 할 건 해 놓은 상황”이라며 “이제 해당 자료를 언제까지 받아서 국민들과 어떻게 소통하겠다는 다음 단계가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일본 정부가 고려하고 있는 후쿠시마 오염수 장기 저장 등이 이행이 제대로 되지 않았을 때 국제법상 소송 등의 여부도 고려해야 한다”며 “좀 더 신속하게 이 문제를 대처하는 자세를 보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우리나라를 비롯해 중국 등이 적극적 모습을 보이지 않으면서 일본은 '무대응' '무책임' '비과학적' 태도로 일관하고 있다. 국제 공조가 필요하다고만 하지 말고 구체적 다음 단계 대응 계획 등이 나와야 한다고 시민단체는 주문했다.  

서창완 기자  science@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