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 중국 영향 32%… 한·중·일 농도는 ‘감소’ 추세
상태바
미세먼지, 중국 영향 32%… 한·중·일 농도는 ‘감소’ 추세
  • 서창완 기자
  • 승인 2019.11.20 13: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동북아 장거리이동 대기오염물질 국제공동연구 요약 보고서 발간
한·중·일 도시별 초미세먼지(PM2.5) 상세 기여율. [자료=국립환경과학원]
한·중·일 도시별 초미세먼지(PM2.5) 상세 기여율. [자료=국립환경과학원]

한·중·일 3국의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물질 농도가 감소해 온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배출원이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은 32% 정도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은 20일 한·중·일 3국의 동북아 장거리이동 대기오염물질 연구결과를 토대로 정책결정자를 위한 ‘동북아 장거리이동 대기오염물질 국제공동연구(LTP)’ 요약 보고서를 발간했다.

한·중·일 과학자들은 2000년부터 단계적으로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등 대기오염물질에 대한 연구를 추진해 왔다. 이번 보고서는 4단계 연구기간인 2013~2017년 동안의 초미세먼지(PM2.5)에 대한 연구결과까지 추가해 작성했다.

한·중·일의 과학자들이 각국의 배경농도 관측지점에서 2000~2017년 기간 동안 장기 관측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3국 모두 황산화물(SO2), 질소산화물(NO2), 미세먼지(PM10), 초미세먼지(PM2.5)의 농도가 감소 추세였다. 장기 관측은 한국(백령, 강화, 태안, 고산), 중국(다롄, 옌타이, 샤먼), 일본(리시리, 오키)에서 이뤄졌다.

전국 규모의 국가별 초미세먼지(PM2.5) 연평균 농도는 2015년 대비 2018년 농도가 우리나라는 12%, 중국은 22% 감소했다. 일본은 2015년 대비 2017년 농도가 1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7년을 대상으로 대기질 모델 기법을 이용해 초미세먼지(PM2.5)에 대한 3국 주요도시의 국내외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자체 기여율은 연평균 기준으로 한국 51%, 중국 91%, 일본 55%로 나타났다. 영향 분석은 한국 3개(서울, 대전, 부산), 중국 6개(베이징, 톈진, 상하이, 칭다오, 선양, 다롄), 일본 3개(도쿄, 오사카, 후쿠오카) 도시에서 이뤄졌다. 국가별 최적화된 모델 사용에 따라 한국·일본은 CMAQ, 중국은 CAMx를 사용했다.

2017년 연평균 기준으로 중국 배출원에 대한 우리나라 3개 도시에 대한 평균 영향은 32%, 일본에 대한 영향은 25%로 나타났다.

같은 기준으로 우리나라 배출원의 중국에 대한 영향은 2%, 일본에 대한 영향은 8%로 산정됐다. 일본 배출원의 우리나라에 대한 영향은 2%, 중국에 대한 영향은 1%로 나타났다.

한·중·일 3국 과학자들은 이번 보고서를 위한 연구가 각국의 최신 배출량 자료를 사용해 ‘배출원-영향지역 관계’를 분석했다는 점에 큰 의미를 부여했다.

또한, 3국의 과학자들은 향후 상세 오염물질들에 대한 측정과 모델 개선, 그리고 배출량 정확도 향상 등을 위한 공동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했다.

장윤석 국립환경과학원장은 “이번 보고서는 한·중·일 3국의 연구진이 공동으로 연구를 추진하고, 3국 정부가 연구결과를 함께 검토해 발간하게 된 최초의 보고서“라며 ”이 보고서가 동북아 대기질 개선을 위한 국가 간 협의의 귀중한 과학적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서창완 기자  science@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